현미경 사용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제목 : 현미경 사용법

2. 실험 날짜

3. 실험 목적

4. 재료 및 방법

5. 결과

6. 고찰

본문내용

현미경의 활용
1. 제목 : 현미경 사용법
동, 식물세포 관찰
세포분열 관찰
2. 실험 날짜 : 20011
3. 실험 목적
-1 현미경의 구조와 사용법 및 슬라이드 제조법을 숙지한다
-2 식물과 동물세포의 구조와 슬라이드 제조법을 비교한다
-3 각 세포 주기에 따른 세포의 구조를 관찰한다
4. 재료 및 방법
- 1 재료
@ 현미경, 슬라이드 글라스, 커버 글라스
@ 시료 : 작게 인쇄된 글자, 제명호 물, 양파 표피 세포,
구강 표피 세포, 양파 뿌리 세포
- 2 방법
@ 1 시료
- 시료를 준비한다
* 한 글자만 남도록 종이 커팅,
* 짚신벌레가 번식할 수 있도록 제명호 물 숙성
* 양파의 표피를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자른다
* 이쑤시개나 면봉으로 입 안쪽을 살짝 긁어낸다
* 양파 뿌리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 에탄올:아세트산=3:1용액에
2시간~1일 동안 담가 고정시키고, 물중탕으로 섭씨 60도정도의 묽은 HCl용액(1노르말)에 약 1분간 해리시킨다
(각 과정마다 증류수에 시료를 한동안 두어 용액을 빼낸다)
- 슬라이드 제조
*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증류수 한 방울(동물세포는 식염수)을
떨어뜨린다
* 물방울 위에 시료를 두고 얇게 펴 준다(도말)
* 시료를 염색한다 (식물-아세트산카민/아세트올세인, 동물-메틸렌블루)
* 1~2분간의 염색후 물방울이 생기지 않도록 커버글라스 모서리부터 덮 는다
* 커버글라스를 눌러 압착하고 배어나온 액체들을 닦아준다.
@ 2 관찰
* 제물대를 최대한으로 내리고 대물렌즈를 최저배율로 둔다
* 제물대의 유효 구경위에 슬라이드를 고정시킨다
* 제물대를 최대한으로 올린다
* 제물대를 미동나사로 내리면서 초점을 맞추고,
빛의 세기로 명암을 조절한다(명암조절은 염색으로도 가능)
* 관찰 위치에 오도록 슬라이드글라스의 위치를 조정한다
(눈금자의 위치를 기록해둔다-재 관찰시의 편의를 위해)
* 배율을 높여가며 관찰한다
5. 결과
- 1 작게 인쇄된 글씨
100배
400배
1000배
상하 좌우가 바뀌었다
배율을 높일수록 큰 상이 보이나 보이는 범위(개체수)와 밝기는 줄어든다
(위 사진은 밝기 조절을 한 사진임)
- 제명호 물에 서식하는 짚신벌레
400배
1000배
짚신벌레의 운동을 관찰했다
- 양파 표피세포
40배
100배
400배
1000배
- 구강상피세포
40배
회색조 처리
100배
400배
1000배
- 양파 뿌리 세포
400배
6. 고찰
- 짚신벌레의 위치를 찾는 것이 매우 힘들었다. 또한, 광학현미경의 배율한 계로 인해 짚신벌레의 구조를 자세히 살필 수가 없었다.
- 40배 100배 사진을 찍을 때 회절현상으로 인해 물결무늬가 생겨
좋은 사진을 얻기가 매우 힘들었다.
- 양파뿌리세포는 탐침으로 찢는 과정을 잘 못해서 스스로의 시료로는
위와 같은 사진을 찍을 수 없었다. 또한 1000배 사진은 렌즈에 묻은
이물질과 핵의 염색질이 구분이 안 갈 뿐만 아니라 매우 어두워서
명암을 제대로 조절할 수가 없어 사진 촬영이 거의 불가능했다.
-참고자료
- 분해능(Resolving power)
분해능이란 서러 떨어진 두 물체를 구별할 수 있는 것으로, 광학기기의
질의 기준이 된다. 분해능에 신경을 써야 하는 이유는 빛의 회절현상 때문에
2개의 점이 잘 분리되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상 번짐 현상)
d=분해능, n=굴절률,
θ=렌즈로 입사하는 빛의 각도의 1/2
참고-Wikipedia
- 액침법 (Immersion method)
대물렌즈와 시료 사이에 공기 대신 굴절률이 렌즈에 가까운 시더유
(굴절율 1.6)를 써서 개구수를 늘려 분해능과 배율을 높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통해 개구수는 0.66∼1.4로 늘고, 배율은 1,500배로 높아진다
- 개구수 (Numerical aperture)
현미경의 해상력을 결정하는 수이다. 대물렌즈를 통과한 빛과 광축이 이루는 최대각과 대물렌즈와 시료 사이의 매질의 굴절률을 이용하여 정의된다.
이 값이 클수록 현미경으로 분별가능한 최소의 길이는 작아진다.
현미경의 대물렌즈의 바깥 통에 그 수치가 표시되어 있다. 가령 10×0.25라 표시되어 있는 것은 배율 10배, 개구수 0.25인 렌즈임을 나타낸다. 대물렌즈로 들어오는 광선이 광축과 이루는 각의 최대값을 u, 대물렌즈와 관찰할 시료 사이의 매질의 굴절률을 n(공기일 때는 n=1)이라 하면, 개구수는 n sin u의 값으로 정의된다. 현미경으로 분별할 수 있는 최소의 길이는 개구수에 역비례한다. 즉, 개구수가 클수록 보다 많은 광선속(光線束)이 이용되어 상이 더 밝아지며, 근접한 두 점을 식별하는 분해능(分解能)도 커져 매우 작은 물체라도 볼 수가 있다. 현미경에서는 개구수를 늘리기 위해 대물렌즈와 물체의 덮개유리 사이를 굴절률이 큰 액체에 담그는 액침법(液浸法)이 사용된다. 개구수를 측정하는 데는 일반적으로 E.아베가 고안한 아파트미터(apartmeter)를 사용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12.13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01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