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어 규정과 오용 사례, 방송, 맞춤법 오류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표준어 규정과 오용 사례, 방송, 맞춤법 오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표준어 규정

2. 표준 어문 규정
제 1 장. 총 칙
제 2 장. 자 모
제 3 장. 소리에 관한 것
제 4 장. 형태에 관한 것
제 5 장. 띄어쓰기

3. 방송 자막 오기
제 1 장. 방송오기의 심각성
제 2 장. 방송오기의 사례

4. 자주 쓰이는 맞춤법 오류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표준어 규정과 오용 사례, 방송 오용 사례, 맞춤법 오류
1. 표준어 규정
2. 표준 어문 규정
제 1 장. 총 칙
제 2 장. 자 모
제 3 장. 소리에 관한 것
제 4 장. 형태에 관한 것
제 5 장. 띄어쓰기
3. 방송 자막 오기
제 1 장. 방송오기의 심각성
제 2 장. 방송오기의 사례
4. 자주 쓰이는 맞춤법 오류
5. 결론
6. 참고 문헌
1. 표준어규정
- <언어> 표준어 사정의 원칙과 표준 발음법을 체계화한 규정. 1936년에 조선어 학회에서 사정하여 공표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을 크게 보완하고 합리화하여 1988년 1월에 문교부가 고시하였다.
2. 표준 어문 규정
제1장 총 칙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제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제2장 자 모
제4항 한글 자모의 수는 스물넉 자로 하고,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ㄱ(기역)ㄴ(니은)ㄷ(디귿)ㄹ(리을)ㅁ(미음)
ㅂ(비읍)ㅅ(시옷)ㅇ(이응)ㅈ(지읒)ㅊ(치읓)
ㅋ(키읔)ㅌ(티읕)ㅍ(피읖)ㅎ(히읗)
ㅏ(아)ㅑ(야)ㅓ(어)ㅕ(여)ㅗ(오)
ㅛ(요)ㅜ(우)ㅠ(유)ㅡ(으)ㅣ(이)
[붙임 1] 위의 자모로써 적을 수 없는 소리는 두 개 이상의 자모를 어울러서 적되,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ㄲ(쌍기역)ㄸ(쌍디귿)ㅃ(쌍비읍)ㅆ(쌍시옷) ㅉ(쌍지읒)
ㅐ(애)ㅒ(얘)ㅔ(에)ㅖ(예)ㅘ(와)ㅙ(왜)
ㅚ(외)ㅝ(워)ㅞ(웨)ㅟ(위)ㅢ(의)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1절 된소리
제5항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1. 두 모음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
소쩍새어깨오빠으뜸아끼다
기쁘다깨끗하다어떠하다해쓱하다가끔
거꾸로부썩어찌이따금
2. ‘ㄴ, ㄹ, ㅁ, ㅇ’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
산뜻하다잔뜩살짝훨씬담뿍
움찔몽땅엉뚱하다
다만, ‘ㄱ, ㅂ’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경우가 아니면 된소리로 적지 아니한다.
국수깍두기딱지색시싹둑(~싹둑)
법석갑자기몹시
제2절 구개음화
제6항‘ㄷ, ㅌ’ 받침 뒤에 종속적 관계를 가진 ‘-이(-)’나 ‘-히-’가 올 적에는, 그 ‘ㄷ, ㅌ’이 ‘ㅈ, ㅊ’으로 소리 나더라도 ‘ㄷ, ㅌ’으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ㄴㄱㄴ
맏이마지핥이다할치다
해돋이해도지 걷히다거치다
굳이구지 닫히다다치다
같이가치 묻히다무치다
끝이끄치
제3절 ‘ㄷ’ 소리 받침
제7항‘ㄷ’ 소리로 나는 받침 중에서 ‘ㄷ’으로 적을 근거가 없는 것은 ‘ㅅ’으로 적는다.
덧저고리돗자리엇셈웃어른핫옷
무릇사뭇얼핏자칫하면뭇[衆]
옛첫헛
제4절 모 음
제8항 ‘계, 례, 몌, 폐, 혜’의 ‘ㅖ’는 ‘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ㅖ’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ㄴㄱㄴ
계수(桂樹)게수혜택(惠澤)헤택
사례(謝禮)사레계집게집
다만, 다음 말은 본음대로 적는다.
게송(偈頌)게시판(揭示板)휴게실(休憩室)
제9항 ‘의’나,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ㅢ’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ㄴㄱㄴ
의의(意義)의이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1.12.16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09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