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정체감의 개념과 자아정체감을 구성하는 네 가지 차원과 마샤의 자아정체감의 네 유형 및 자아정체감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아정체감의 개념과 자아정체감을 구성하는 네 가지 차원과 마샤의 자아정체감의 네 유형 및 자아정체감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자아개념
2. 자존감
3. 자아정체감의 개념
4. 개인의 자아정체감은 4개의 기본 차원으로 구성
5. 자아정체감 형성의 의의
6.마샤의 자아정체감의 네 유형
7.자아정체감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문내용

그대로 수용하여 그들 과 비슷한 선택을 하는 경우
④ 정체감 혼미 (identity diffusion)
- 자아에 대해 안정되고 통합적인 견해를 갖는데 실패한 상태를 말한다.
예) 위기를 경험하지 않고, 의사결정도 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문제에 관심도 없 는 사람들.
- 그외 부정적 정체감은 부모의 가치관이나 사회적 가치관과 정반대가 되는 자아 개념을 의미함.
예) 소년범죄자, 불량소년 등
자아에 대해 안정되고 통합적인 견해를 갖는데 실패한 상태
부정적 정체감
부모의 가치관이나 사회적 가치관과 정반대되는 자아개념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행위를 내면화할 기회가 없어 사회적 가치에 반대되는 태 도, 행동 등을 자신의 것으로 수용하여 그것을 암암리에 드러내는 등 악순환적 과정을 통해 부정적정체감을 형성하게 된다.
정체감 유실의 특수한 경우로 간주함.
7.자아정체감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체감 형성은 다양한 내적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영향을 미친다.
(1) 부모나 위인들에 대한 동일시 정도 / [예] 아버지 부재 하의 소년
(2) 부모의 양육 형태 / [예] Baumrind의 부모 양육 형태 유형
① 권위적인 부모 (authoritative parenting)
② 권위주의적인 부모 (authoritarian parenting)
③ 허용적 부모 (permissive parenting)
(3) 개인의 성격특성
(4) 연령 / [예] 청소년 초기 vs. 청소년 후기
(5) 가족 (가정 분위기, 가족 구성원, 가족간의 자율감과 친밀감)
(6) 사회계층
(7) 성차
(8) 문화
(9) 또래 집단
  • 가격3,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12.19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18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