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Purpose
2) Introduction
3) Material
4) Method
5) Result
6) Discussion
7) Reference
2) Introduction
3) Material
4) Method
5) Result
6) Discussion
7) Reference
본문내용
값을 측정한 후 이를 통해 동력학 계수를 산출 하고, 궁극적으로 시스템의 효과적인 설계와 운전을 위하여 미생물의 성장을 어떻게 제어해야 할지를 파악하는데 있었다.
실험은 총 7개의 조를 나누어 각 조당 3명씩 같은 실험을 하였고, 이때의 평균값을 결과 값으로 산출하였다. 하지만 4시간 이후부터 COD값이 low로 산출되어 실제 결과 값에서는 제외를 하였다.
또한 SS값은 이론적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해야하는데, 실제 실험에서는 측정에 오차가 생겨 신뢰할 수없는 data값이 나와 적용하지 않고 이론적 data를 이용하였다.
COD값과 SS값은 회분식 조건하에 서로 상반되는 모습을 보였다. 즉 반응조 내 미생물의 체류시간이 길어질수록 유기물의 농도가 줄어듬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원리는 반응조에 용해되어 있는 유기물질이 미생물세포와 반응하여 제거하기 쉬운 물질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이때 체류하고 있는 시간이
길면 길수록 반응하는 정도도 비례하기 때문에, 유기물의 제거도 시간에 따라 감소 한 것이다.
Monod식과 Lawrence & McCarty식에 의해 동력학 계수들을 산출 하였고, 이 때 1/u와 1/s의 선형방정식과 1/q와 1/s의 선형방정식에서 도출된 반속도 상수 값은 다르지만,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그 평균값을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그 결과 Ks는 111.72g/m3, umax는 0.024h-1, k는0.045h-1 이
산출되었다.
이렇게 동력학 계수를 산출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수 처리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서이다. 동력한 인자들을 통해 유기물의 양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탱크의 부피, 산소와 질소, 인의 요구량, 폐기되는 슬러지량을 구해, 이 기준들이 현 법규상 요구하는 기준을 충족시키는지를 판단해야 한다.
이론적으로 하수에 대한 동력학 계수의 범위를 보면, Ks의 범위는 25mg/L~100mg/L이고, 평균적으로 60mg/L인데 실험결과 100을 초과하였기 때문에 효율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7) Reference
http://blog.naver.com/alstnek34?Redirect=Log&logNo=70022899586
http://cafe.naver.com/risks.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03
폐수처리공학Ⅱ / 고광백 외 12명/ 2004, 9, 1/ p.1013 ~ 1033
실험은 총 7개의 조를 나누어 각 조당 3명씩 같은 실험을 하였고, 이때의 평균값을 결과 값으로 산출하였다. 하지만 4시간 이후부터 COD값이 low로 산출되어 실제 결과 값에서는 제외를 하였다.
또한 SS값은 이론적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해야하는데, 실제 실험에서는 측정에 오차가 생겨 신뢰할 수없는 data값이 나와 적용하지 않고 이론적 data를 이용하였다.
COD값과 SS값은 회분식 조건하에 서로 상반되는 모습을 보였다. 즉 반응조 내 미생물의 체류시간이 길어질수록 유기물의 농도가 줄어듬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원리는 반응조에 용해되어 있는 유기물질이 미생물세포와 반응하여 제거하기 쉬운 물질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이때 체류하고 있는 시간이
길면 길수록 반응하는 정도도 비례하기 때문에, 유기물의 제거도 시간에 따라 감소 한 것이다.
Monod식과 Lawrence & McCarty식에 의해 동력학 계수들을 산출 하였고, 이 때 1/u와 1/s의 선형방정식과 1/q와 1/s의 선형방정식에서 도출된 반속도 상수 값은 다르지만,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그 평균값을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그 결과 Ks는 111.72g/m3, umax는 0.024h-1, k는0.045h-1 이
산출되었다.
이렇게 동력학 계수를 산출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수 처리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서이다. 동력한 인자들을 통해 유기물의 양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탱크의 부피, 산소와 질소, 인의 요구량, 폐기되는 슬러지량을 구해, 이 기준들이 현 법규상 요구하는 기준을 충족시키는지를 판단해야 한다.
이론적으로 하수에 대한 동력학 계수의 범위를 보면, Ks의 범위는 25mg/L~100mg/L이고, 평균적으로 60mg/L인데 실험결과 100을 초과하였기 때문에 효율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7) Reference
http://blog.naver.com/alstnek34?Redirect=Log&logNo=70022899586
http://cafe.naver.com/risks.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03
폐수처리공학Ⅱ / 고광백 외 12명/ 2004, 9, 1/ p.1013 ~ 1033
키워드
추천자료
이온교환수지
오존산화
혐기성분해와 호기성분해
수질 환경 기준 및 규제 기준
[마케팅] 유한킴벌리의 성공과 소니(sony) VTR의 실패
흡착실험 보고서
풀무원 사회적책임과 기업윤리경영사례분석
부유물질 (SS : Suspended Solids) 측정 실험 ( 고형물, 부유물질, 층고형물, 휘발성부유물질...
국내기업의 환경경영 성공사례 (한솔제지주식회사)
[중금속][농경지][맥반석][Zeolite][제올라이트][카드뮴][납][아연]중금속의 종류, 중금속의 ...
[국고보조사업, 국고보조사업 예산신청, 노인보건사업, 노인보건복지]국고보조사업의 예산신...
[중소기업 성공사례][중소기업][기업]중소기업 사업 성공사례, 중소기업 생산자동화 성공사례...
[수질오염] 수질오염의 피해와 대책 - 수질오염물질에 의한 영향, 수질오염의 지표, 수질오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