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부유물질 (Suspended Solids)
■ 실험목적
■ 실험이론
1. 정의
1.1 고형물 (Solid)
1.2 부유물질 [浮游物質, suspended solids]
1.3 총고형물 (total solids)
1.4 휘발성부유물질(Volatile Suspended Solids)
1.5 콜로이드 [colloid]
1.6 SS
2. 응결과 응집
3. 고형물의 특성의 의의
■ 실험방법
1. 총 고형물 (TS)
2. 총 부유성 고형물 (TSS)
3. 총 용존성 고형물 (TDS)
건조시키는 증발접시
■ 주의사항
○ 실험 결과
1. 총 고형물(TS)
2. 총 부유성 고형물(TSS)
3. 총 용존성 고형물(TDS)
○ 실험 결과에 대한 고찰
■ 실험목적
■ 실험이론
1. 정의
1.1 고형물 (Solid)
1.2 부유물질 [浮游物質, suspended solids]
1.3 총고형물 (total solids)
1.4 휘발성부유물질(Volatile Suspended Solids)
1.5 콜로이드 [colloid]
1.6 SS
2. 응결과 응집
3. 고형물의 특성의 의의
■ 실험방법
1. 총 고형물 (TS)
2. 총 부유성 고형물 (TSS)
3. 총 용존성 고형물 (TDS)
건조시키는 증발접시
■ 주의사항
○ 실험 결과
1. 총 고형물(TS)
2. 총 부유성 고형물(TSS)
3. 총 용존성 고형물(TDS)
○ 실험 결과에 대한 고찰
본문내용
물 무게(g)
■ 주의사항
1) 시료량은 건조 후의 부유물질이 5mg이상 되도록 통상 시료는 200ml 정도로 한다.
- 이유 : 슬러지는 매우 불균질하기 때문에 소량의 시료로는 대표적인 분석 결과를 얻기가 힘들다. 즉, 시료가 적으면 불균일하고 덩어리지기 쉬운 성질 때문에 오차가 크게 난다.
2) 시료를 계량하여 검수를 만들 때, 시료를 완전하게 혼합하여 시료 중의 SS가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하여 가라앉기 전에 즉시 시험을 행한다. 특히, 침강속도가 빠른 생 슬러지나 활성슬러지 혼합액의 경우와 같이 SS 농도가 짙은 시료에서는 주의가 요한다.
3) 필터는 흡입시 작은 부스러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미리 증류수를 통과하여 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4) 시료채취 후 즉시 실시 : 10°C 이하 (동결되지 않게 4°C)의 암소에 보존
- 이유 : 부유물질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으로 변화되기 쉽다.
< SS 실험 결과 >
· 시험일자 : 2009년 12월 1일 화요일
· 시 험 조 : 화(7,8) 5조
○ 실험 결과
1. 총 고형물(TS)
시료량 (mL)
200
200
증발접시무게 (g)
108.2301
106.0647
110℃ 건조 후 무게(g)
108.2800
106.1286
550℃ 강열 후 무게(g)
108.2557
106.1013
(b-a) (mg)
0.0499
0.0639
(b-c) (mg)
0.0243
0.0273
TS (mg/L)
(0.2495+0.3195)/2=0.2845
VS (mg/L)
(0.1215+0.1365)/2=0.1290
FS (mg/L)
0.1555
2. 총 부유성 고형물(TSS)
시료량 (mL)
200
200
증발접시무게 (g)
54.5736
57.2877
증발접시 + 필터 (g)
54.8412
57.5563
110℃ 건조 후 무게(g)
54.8596
57.5771
550℃ 강열 후 무게(g)
54.8459
57.5637
(b-a) (mg)
0.0184
0.0208
(b-c) (mg)
0.0137
0.0134
TSS (mg/L)
(0.0920+0.1040)/2=0.0980
VSS (mg/L)
(0.0685+0.0670)/2=0.0678
FSS (mg/L)
0.0302
3. 총 용존성 고형물(TDS)
시료량 (mL)
200
200
증발접시무게 (g)
113.9099
113.8300
110℃ 건조 후 무게(g)
113.9491
113.8625
550℃ 강열 후 무게(g)
113.9305
113.8561
(b-a) (mg)
0.0392
0.0325
(b-c) (mg)
0.0186
0.0064
TDS (mg/L)
(0.1960+0.1625)/2=0.1793
VDS (mg/L)
(0.0930+0.0320)/2=0.0625
FDS (mg/L)
0.1168
오차
0.0072
0.0013
0.0085
TS
〓
VS
+
FS
∥
∥
∥
TSS
〓
VSS
+
FSS
+
+
+
TDS
〓
VDS
+
FDS
0.2845
=
0.1290
+
0.1555
∥
∥
∥
0.0980
=
0.0678
+
0.0302
+
+
+
0.1793
=
0.0625
+
0.1168
○ 실험 결과에 대한 고찰
이번 실험은 부유물질(SS) 실험으로, 110°C로 건조 후 무게, 550°C 강열 후 무게를 비교하여 TS, TSS, TDS, VS, FS, VSS, VDS, FSS, FDS를 측정할 수 있었다. 이 값들은 위의 표를 만족시켰어야 하는데, 결과 값은 0.0072g, 0.0013g, 0.0085g 을 내면서 표를 정확하게 만족시키지 못했다. 이렇게 오차가 난 데에는 몇 가지 추측을 해볼 수 있는데 첫 번째로 부유물질이 고르게 퍼져 있지 않을 수 있었다. 실험의 주의사항 중에 시료 중의 SS가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하여 가라앉기 전에 즉시 시험을 행해야 한다는 항목이 있는데, 이번 실험에 휘젓기는 했지만 SS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았을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실험 과정 중에 먼지 등의 불순물이 들어가서 무게가 정확하게 측정되지 않았을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주의사항 중에는 필터 흡입시 작은 부스러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주의사항이 있다. 세 번째는 시료량에 따른 부유물질 g수의 부족이다. 주의사항 중에 SS가 5mg이상 되도록 해야 한다고 했는데, 이번 실험에서 부유물의 g수는 소수점 넷째 자리까지 측정해야 할 만큼 적었다. 이러한 이유로 오차의 결과를 내는 실험이 이루어 졌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 주의사항
1) 시료량은 건조 후의 부유물질이 5mg이상 되도록 통상 시료는 200ml 정도로 한다.
- 이유 : 슬러지는 매우 불균질하기 때문에 소량의 시료로는 대표적인 분석 결과를 얻기가 힘들다. 즉, 시료가 적으면 불균일하고 덩어리지기 쉬운 성질 때문에 오차가 크게 난다.
2) 시료를 계량하여 검수를 만들 때, 시료를 완전하게 혼합하여 시료 중의 SS가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하여 가라앉기 전에 즉시 시험을 행한다. 특히, 침강속도가 빠른 생 슬러지나 활성슬러지 혼합액의 경우와 같이 SS 농도가 짙은 시료에서는 주의가 요한다.
3) 필터는 흡입시 작은 부스러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미리 증류수를 통과하여 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4) 시료채취 후 즉시 실시 : 10°C 이하 (동결되지 않게 4°C)의 암소에 보존
- 이유 : 부유물질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으로 변화되기 쉽다.
< SS 실험 결과 >
· 시험일자 : 2009년 12월 1일 화요일
· 시 험 조 : 화(7,8) 5조
○ 실험 결과
1. 총 고형물(TS)
시료량 (mL)
200
200
증발접시무게 (g)
108.2301
106.0647
110℃ 건조 후 무게(g)
108.2800
106.1286
550℃ 강열 후 무게(g)
108.2557
106.1013
(b-a) (mg)
0.0499
0.0639
(b-c) (mg)
0.0243
0.0273
TS (mg/L)
(0.2495+0.3195)/2=0.2845
VS (mg/L)
(0.1215+0.1365)/2=0.1290
FS (mg/L)
0.1555
2. 총 부유성 고형물(TSS)
시료량 (mL)
200
200
증발접시무게 (g)
54.5736
57.2877
증발접시 + 필터 (g)
54.8412
57.5563
110℃ 건조 후 무게(g)
54.8596
57.5771
550℃ 강열 후 무게(g)
54.8459
57.5637
(b-a) (mg)
0.0184
0.0208
(b-c) (mg)
0.0137
0.0134
TSS (mg/L)
(0.0920+0.1040)/2=0.0980
VSS (mg/L)
(0.0685+0.0670)/2=0.0678
FSS (mg/L)
0.0302
3. 총 용존성 고형물(TDS)
시료량 (mL)
200
200
증발접시무게 (g)
113.9099
113.8300
110℃ 건조 후 무게(g)
113.9491
113.8625
550℃ 강열 후 무게(g)
113.9305
113.8561
(b-a) (mg)
0.0392
0.0325
(b-c) (mg)
0.0186
0.0064
TDS (mg/L)
(0.1960+0.1625)/2=0.1793
VDS (mg/L)
(0.0930+0.0320)/2=0.0625
FDS (mg/L)
0.1168
오차
0.0072
0.0013
0.0085
TS
〓
VS
+
FS
∥
∥
∥
TSS
〓
VSS
+
FSS
+
+
+
TDS
〓
VDS
+
FDS
0.2845
=
0.1290
+
0.1555
∥
∥
∥
0.0980
=
0.0678
+
0.0302
+
+
+
0.1793
=
0.0625
+
0.1168
○ 실험 결과에 대한 고찰
이번 실험은 부유물질(SS) 실험으로, 110°C로 건조 후 무게, 550°C 강열 후 무게를 비교하여 TS, TSS, TDS, VS, FS, VSS, VDS, FSS, FDS를 측정할 수 있었다. 이 값들은 위의 표를 만족시켰어야 하는데, 결과 값은 0.0072g, 0.0013g, 0.0085g 을 내면서 표를 정확하게 만족시키지 못했다. 이렇게 오차가 난 데에는 몇 가지 추측을 해볼 수 있는데 첫 번째로 부유물질이 고르게 퍼져 있지 않을 수 있었다. 실험의 주의사항 중에 시료 중의 SS가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하여 가라앉기 전에 즉시 시험을 행해야 한다는 항목이 있는데, 이번 실험에 휘젓기는 했지만 SS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았을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실험 과정 중에 먼지 등의 불순물이 들어가서 무게가 정확하게 측정되지 않았을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주의사항 중에는 필터 흡입시 작은 부스러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주의사항이 있다. 세 번째는 시료량에 따른 부유물질 g수의 부족이다. 주의사항 중에 SS가 5mg이상 되도록 해야 한다고 했는데, 이번 실험에서 부유물의 g수는 소수점 넷째 자리까지 측정해야 할 만큼 적었다. 이러한 이유로 오차의 결과를 내는 실험이 이루어 졌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