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금_산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심상건 가야금 산조

● 심상건은?

● 심상건 가야금 산조의 선율 전개과정

2. 김삼태 가야금 산조

● 김삼태는?

● 김삼태 가야금산조 진양조의 조구성

(1) 단락 1 (제1장단 - 제17장단)

(2) 단 락 2 (제 18장단- 제 20장단)

(3) 단 락 3 (제21장단 - 제25장단)

(4) 단 락 4 (제26장단 - 제43장단)

(5) 단 락 5 (제44장단 - 제46장단)

(6) 단 락 6 (제47장단- 제57장단)

본문내용

, 제24장단에서 쫑(g')을 떨지않고, 쨍(a')도 꺾지 않으며 액센트를 주고 농현을 해주고, 제25장단에서도 찡(d')을 가볍게 떨어주고 잇Sms 것이 평조청 평조임을 보여준다.
(4) 단 락 4 (제26장단 - 제43장단)
① 제26장단 - 제30장단
정확한 음구조를 나타내 주는 제26장단은 땅(a)을 눌러 b♭을 강하게 꺾어주며 징(g)을 평으로 내어주고, 당(d)을 굵게 떨어주고, 제27장단에서도 제 26장단에서와 같이 땅(a)을 누러 b♭을 강하게 꺾어주며 당(d)을 굵게 떨어 주고 징(g)을 평으로 내어 주는 것이 평조청 계면조임을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제28장단에서 제30장단 까지도 제26,27장단처럼 당(d)을 굵게 떨고, 징(g)을 평으로 내어주고 땅(a)을 눌러 b♭을 강하게 꺾어주는 평조청 계면조의 특징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② 제 31장단 - 제35장단
제31장단과 제32장단에서 쫑(g')과 징(g)을 평으로 내주고 제33장단에서 찡(d')을 떨어주며, 제34,35장단에서 땅(a)을 눌러 b♭을 강하게 꺾어주는 특징을 보이고 있어 평조청 계면조임을 알 수 있다.
③ 제 36장단 - 제39장단
제 36,37장단은 제31,32장단처럼 쫑과 징을 평으로 내주고 찡을 굵게 떨어주고 있고, 제38,39장단에서도 쨍을 눌러 b'♭을 강하게 꺾고 찡을 굵게 떨어주며 또한 땅을 눌러 b♭을 강하게 꺾고, 당을 굵게 떨며 징을 평으로 내주는 것이 평조청 계면조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④ 제 40장단 -제 43장단
제40장단에서는 쫑을 평으로 내주고 찡을 떨며 땅을 눌러 b♭을 꺾어주는 것이 평조청 계면조임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제41,42,43 장단에서도 당을 굵게 떨고 징을 평으로 내주며, 땅을 눌러 b♭을 강하게 꺾어주고 있어 평조청 계면조의 특징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5) 단 락 5 (제44장단 - 제46장단)
제43장단에서 땅을 꺾어주고 당을 굵게 떨며 징을 평으로 내는 것으로 보아 평조청 계면조 인데 반해 제44장단에서 보면 첫 박 찡을 평으로 내어 주고 땅을 흘려주며 제45장단의 첫 박에서 찡을 눌러 칭으로 꺾어주고 제46장단에서 마찬가지로 칭을 눌러서 f음을 꺾어주는 것으로 보아 평조청 계면조에서 완전5도 올라간 평조 엇청 계면조임을 알 수 있다.
(6) 단 락 6 (제47장단- 제57장단)
① 제47장단 -제53장단
제46장단의 칭을 눌러서 f음을 꺾어주고 b♭음을 흘려주며 쨍음을 평으로 내어주는 단락5와는 달리 제47장단에서부터 제53장단까지 단락4에서 나타난 것처럼 땅을 눌러 b♭을 강하게 꺾어주고 당을 굵게 떨며 징을 평으로 내어주는 것이 평조청 계면조임을 알 수 있다.
② 제54장단 -제57장단
제 54장단은 위의 제47장단 - 제53장단에서처럼 평조청 계면조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고, 제55장단은 뚜렷하게 평조청 계면조의 특징은 찾아 볼 수 없으나 제56장단과 제57장단에서는 땅을 눌러 b♭을 강하게 꺾어주고, 당을 굵게 떨며 징을 평으로 내어주는 특징으로 평조청 계면조임을 알 수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12.20
  • 저작시기2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24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