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상건 가야금 산조
● 심상건은?
● 심상건 가야금 산조의 선율 전개과정
2. 김삼태 가야금 산조
● 김삼태는?
● 김삼태 가야금산조 진양조의 조구성
(1) 단락 1 (제1장단 - 제17장단)
(2) 단 락 2 (제 18장단- 제 20장단)
(3) 단 락 3 (제21장단 - 제25장단)
(4) 단 락 4 (제26장단 - 제43장단)
(5) 단 락 5 (제44장단 - 제46장단)
(6) 단 락 6 (제47장단- 제57장단)
● 심상건은?
● 심상건 가야금 산조의 선율 전개과정
2. 김삼태 가야금 산조
● 김삼태는?
● 김삼태 가야금산조 진양조의 조구성
(1) 단락 1 (제1장단 - 제17장단)
(2) 단 락 2 (제 18장단- 제 20장단)
(3) 단 락 3 (제21장단 - 제25장단)
(4) 단 락 4 (제26장단 - 제43장단)
(5) 단 락 5 (제44장단 - 제46장단)
(6) 단 락 6 (제47장단- 제57장단)
본문내용
, 제24장단에서 쫑(g')을 떨지않고, 쨍(a')도 꺾지 않으며 액센트를 주고 농현을 해주고, 제25장단에서도 찡(d')을 가볍게 떨어주고 잇Sms 것이 평조청 평조임을 보여준다.
(4) 단 락 4 (제26장단 - 제43장단)
① 제26장단 - 제30장단
정확한 음구조를 나타내 주는 제26장단은 땅(a)을 눌러 b♭을 강하게 꺾어주며 징(g)을 평으로 내어주고, 당(d)을 굵게 떨어주고, 제27장단에서도 제 26장단에서와 같이 땅(a)을 누러 b♭을 강하게 꺾어주며 당(d)을 굵게 떨어 주고 징(g)을 평으로 내어 주는 것이 평조청 계면조임을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제28장단에서 제30장단 까지도 제26,27장단처럼 당(d)을 굵게 떨고, 징(g)을 평으로 내어주고 땅(a)을 눌러 b♭을 강하게 꺾어주는 평조청 계면조의 특징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② 제 31장단 - 제35장단
제31장단과 제32장단에서 쫑(g')과 징(g)을 평으로 내주고 제33장단에서 찡(d')을 떨어주며, 제34,35장단에서 땅(a)을 눌러 b♭을 강하게 꺾어주는 특징을 보이고 있어 평조청 계면조임을 알 수 있다.
③ 제 36장단 - 제39장단
제 36,37장단은 제31,32장단처럼 쫑과 징을 평으로 내주고 찡을 굵게 떨어주고 있고, 제38,39장단에서도 쨍을 눌러 b'♭을 강하게 꺾고 찡을 굵게 떨어주며 또한 땅을 눌러 b♭을 강하게 꺾고, 당을 굵게 떨며 징을 평으로 내주는 것이 평조청 계면조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④ 제 40장단 -제 43장단
제40장단에서는 쫑을 평으로 내주고 찡을 떨며 땅을 눌러 b♭을 꺾어주는 것이 평조청 계면조임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제41,42,43 장단에서도 당을 굵게 떨고 징을 평으로 내주며, 땅을 눌러 b♭을 강하게 꺾어주고 있어 평조청 계면조의 특징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5) 단 락 5 (제44장단 - 제46장단)
제43장단에서 땅을 꺾어주고 당을 굵게 떨며 징을 평으로 내는 것으로 보아 평조청 계면조 인데 반해 제44장단에서 보면 첫 박 찡을 평으로 내어 주고 땅을 흘려주며 제45장단의 첫 박에서 찡을 눌러 칭으로 꺾어주고 제46장단에서 마찬가지로 칭을 눌러서 f음을 꺾어주는 것으로 보아 평조청 계면조에서 완전5도 올라간 평조 엇청 계면조임을 알 수 있다.
(6) 단 락 6 (제47장단- 제57장단)
① 제47장단 -제53장단
제46장단의 칭을 눌러서 f음을 꺾어주고 b♭음을 흘려주며 쨍음을 평으로 내어주는 단락5와는 달리 제47장단에서부터 제53장단까지 단락4에서 나타난 것처럼 땅을 눌러 b♭을 강하게 꺾어주고 당을 굵게 떨며 징을 평으로 내어주는 것이 평조청 계면조임을 알 수 있다.
② 제54장단 -제57장단
제 54장단은 위의 제47장단 - 제53장단에서처럼 평조청 계면조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고, 제55장단은 뚜렷하게 평조청 계면조의 특징은 찾아 볼 수 없으나 제56장단과 제57장단에서는 땅을 눌러 b♭을 강하게 꺾어주고, 당을 굵게 떨며 징을 평으로 내어주는 특징으로 평조청 계면조임을 알 수 있다.
(4) 단 락 4 (제26장단 - 제43장단)
① 제26장단 - 제30장단
정확한 음구조를 나타내 주는 제26장단은 땅(a)을 눌러 b♭을 강하게 꺾어주며 징(g)을 평으로 내어주고, 당(d)을 굵게 떨어주고, 제27장단에서도 제 26장단에서와 같이 땅(a)을 누러 b♭을 강하게 꺾어주며 당(d)을 굵게 떨어 주고 징(g)을 평으로 내어 주는 것이 평조청 계면조임을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제28장단에서 제30장단 까지도 제26,27장단처럼 당(d)을 굵게 떨고, 징(g)을 평으로 내어주고 땅(a)을 눌러 b♭을 강하게 꺾어주는 평조청 계면조의 특징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② 제 31장단 - 제35장단
제31장단과 제32장단에서 쫑(g')과 징(g)을 평으로 내주고 제33장단에서 찡(d')을 떨어주며, 제34,35장단에서 땅(a)을 눌러 b♭을 강하게 꺾어주는 특징을 보이고 있어 평조청 계면조임을 알 수 있다.
③ 제 36장단 - 제39장단
제 36,37장단은 제31,32장단처럼 쫑과 징을 평으로 내주고 찡을 굵게 떨어주고 있고, 제38,39장단에서도 쨍을 눌러 b'♭을 강하게 꺾고 찡을 굵게 떨어주며 또한 땅을 눌러 b♭을 강하게 꺾고, 당을 굵게 떨며 징을 평으로 내주는 것이 평조청 계면조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④ 제 40장단 -제 43장단
제40장단에서는 쫑을 평으로 내주고 찡을 떨며 땅을 눌러 b♭을 꺾어주는 것이 평조청 계면조임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제41,42,43 장단에서도 당을 굵게 떨고 징을 평으로 내주며, 땅을 눌러 b♭을 강하게 꺾어주고 있어 평조청 계면조의 특징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5) 단 락 5 (제44장단 - 제46장단)
제43장단에서 땅을 꺾어주고 당을 굵게 떨며 징을 평으로 내는 것으로 보아 평조청 계면조 인데 반해 제44장단에서 보면 첫 박 찡을 평으로 내어 주고 땅을 흘려주며 제45장단의 첫 박에서 찡을 눌러 칭으로 꺾어주고 제46장단에서 마찬가지로 칭을 눌러서 f음을 꺾어주는 것으로 보아 평조청 계면조에서 완전5도 올라간 평조 엇청 계면조임을 알 수 있다.
(6) 단 락 6 (제47장단- 제57장단)
① 제47장단 -제53장단
제46장단의 칭을 눌러서 f음을 꺾어주고 b♭음을 흘려주며 쨍음을 평으로 내어주는 단락5와는 달리 제47장단에서부터 제53장단까지 단락4에서 나타난 것처럼 땅을 눌러 b♭을 강하게 꺾어주고 당을 굵게 떨며 징을 평으로 내어주는 것이 평조청 계면조임을 알 수 있다.
② 제54장단 -제57장단
제 54장단은 위의 제47장단 - 제53장단에서처럼 평조청 계면조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고, 제55장단은 뚜렷하게 평조청 계면조의 특징은 찾아 볼 수 없으나 제56장단과 제57장단에서는 땅을 눌러 b♭을 강하게 꺾어주고, 당을 굵게 떨며 징을 평으로 내어주는 특징으로 평조청 계면조임을 알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초등교육과 유아교육과 중등교육의 차이
프로젝트 접근법(유아교육)
미술과교육과정의 변천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특성과 목표,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문학활용학습과 연...
초등학교1학년 바른생활 교과의 성취기준, 초등학교1학년 바른생활 교과의 내용체계, 초등학...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성격과 이론적 배경,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내용체계와 ...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 교육개념과 교육의의,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 차시별 수업원...
초등영어(초등학교 영어교육)의 의미와 성격, 초등영어(초등학교 영어교육)의 목표와 필요성,...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차시별 지도,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말하기지도와 듣기...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목표와 특성,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학습과정, 초등학교...
수준별수업(수준별학습, 교육과정)의 유형과 특징, 수준별수업(수준별학습, 교육과정)의 도입...
초등학교 국어과 영역별 평가와 7차 평가의 문제점, 평가 방안에 관한 논의
[초등학교 도덕교육 교훈이야기]초등학교 도덕교육 교훈이야기의 중요성, 초등학교 도덕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