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내용
1) 힘과 연모
2. 분석
3. 심화 학습
1) 전기장과 자기장
2) 저항의 연결
3) 전위
4) 옴의 법칙
5) 직선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4. 반성 및 제언
1) 힘과 연모
2. 분석
3. 심화 학습
1) 전기장과 자기장
2) 저항의 연결
3) 전위
4) 옴의 법칙
5) 직선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4. 반성 및 제언
본문내용
) ( = 온도계수)
5) 직선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직선 전류 주위의 자기장
다음 그림과 같이 전류가 흐르는 도선 밑에 나침반을 놓으면 나침반의 자침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생겨 마치 자석과 같은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직선 도선 주위의 자침의 움직임 : 도선 주위에 놓인 나침반의 N극이 가리키는 방향을 따라 나침반을 옮겨가면 하나의 원이 그려진다. 이 선이 직선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을 표시하는 자기력선이 된다.
①
자기력선은 도선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이 된다.
②
도선에서 멀어질수록 자기장이 약해진다.
③
전류의 방향을 반대로 하면 자기력선의 방향도 반대로 된다.
자기장의 방향①
쇳가루의 모양 : 직선 도선에 전류가 흐를 때, 그 주위에 쇳가루를 뿌리면 다음 그림과 같이 도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을 이루며 일정한 모양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전류가 흐르는 직선 도선 주위에는 자기장이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②
자기장의 표시 : 직선 도선에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을 자기력선으로 그리면 다음 그림과 같이 도선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이 된다.
자기장의 세기 : ①
오른나사의 법칙 : 전류의 방향으로 오른나사를 진행시킬 때에 나사를 돌리는 방향이 자기장의 방향이 된다.
②
앙페르의 법칙 :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전류의 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 도선을 감아 쥐면 네 손가락의 방향이 자기장의 방향이 된다.
③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바꾸면 자침의 N극이 가리키는 방향이 반대로 된다. 이것은 전류의 방향이 바뀌면 자기장의 방향도 바뀌기 때문이다.
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는 전류가 많이 흐를수록 강하고, 도선에 가까울수록 강하다. 즉, 도선에서 멀어질수록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진다.
4. 반성 및 제언
: 추를 하나하나 추가하면서 용수철 길이를 잴 때, 자의 눈금 읽는 것에 주의를 기울여야겠다. 눈을 그 위치에 맞추어도 미세한 차이를 가끔 구분하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탄성계수 범위에 있는 것은 거의 비슷한 수치로 나왔다. 나름대로 주의를 많이 기울인 덕이라 생각한다.
이번 용수철 실험은 같은 실험이 계속 반복 되니 약간 지루함이 있었다. 그러나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공식이나 수치가 이런 작업을 무수히 반복해서 나온 결과라는 것을 생각하면 5번쯤은 아무것도 아니었다. 끈질긴 인내심을 가진 많은 과학자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5) 직선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직선 전류 주위의 자기장
다음 그림과 같이 전류가 흐르는 도선 밑에 나침반을 놓으면 나침반의 자침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생겨 마치 자석과 같은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직선 도선 주위의 자침의 움직임 : 도선 주위에 놓인 나침반의 N극이 가리키는 방향을 따라 나침반을 옮겨가면 하나의 원이 그려진다. 이 선이 직선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을 표시하는 자기력선이 된다.
①
자기력선은 도선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이 된다.
②
도선에서 멀어질수록 자기장이 약해진다.
③
전류의 방향을 반대로 하면 자기력선의 방향도 반대로 된다.
자기장의 방향①
쇳가루의 모양 : 직선 도선에 전류가 흐를 때, 그 주위에 쇳가루를 뿌리면 다음 그림과 같이 도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을 이루며 일정한 모양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전류가 흐르는 직선 도선 주위에는 자기장이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②
자기장의 표시 : 직선 도선에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을 자기력선으로 그리면 다음 그림과 같이 도선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이 된다.
자기장의 세기 : ①
오른나사의 법칙 : 전류의 방향으로 오른나사를 진행시킬 때에 나사를 돌리는 방향이 자기장의 방향이 된다.
②
앙페르의 법칙 :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전류의 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 도선을 감아 쥐면 네 손가락의 방향이 자기장의 방향이 된다.
③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바꾸면 자침의 N극이 가리키는 방향이 반대로 된다. 이것은 전류의 방향이 바뀌면 자기장의 방향도 바뀌기 때문이다.
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는 전류가 많이 흐를수록 강하고, 도선에 가까울수록 강하다. 즉, 도선에서 멀어질수록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진다.
4. 반성 및 제언
: 추를 하나하나 추가하면서 용수철 길이를 잴 때, 자의 눈금 읽는 것에 주의를 기울여야겠다. 눈을 그 위치에 맞추어도 미세한 차이를 가끔 구분하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탄성계수 범위에 있는 것은 거의 비슷한 수치로 나왔다. 나름대로 주의를 많이 기울인 덕이라 생각한다.
이번 용수철 실험은 같은 실험이 계속 반복 되니 약간 지루함이 있었다. 그러나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공식이나 수치가 이런 작업을 무수히 반복해서 나온 결과라는 것을 생각하면 5번쯤은 아무것도 아니었다. 끈질긴 인내심을 가진 많은 과학자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추천자료
RLC 공진회로 실험보고서
일반 물리실험 RC회로에서의 충,방전 실험
압력측정 실험보고서
체배회로 실험 결과
굽힘 실험
[전자회로 실험] 07.TR AC Bias
(결과, 분석) 쿨롱의 법칙
수분및고형물측정 폐기물의 성상 분석
[화학공학실험] (결과) 스핀코팅
[전자회로실험] (결과) 버퍼(Buffer) &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 OP Amp이용하...
[전자회로실험] (결과) 위상 편이 발진기(Wave Generator) & 슈미트 트리거(Schmidt Trig...
[전자회로실험] (결과) 555 Timer, Push-pul(푸시-폴) : 555timer 펄스파 출력, B급 동작 정...
[기계공학실험] 계측장비의 사용법 - DMM, Function generator 함수발생기, Root-Mean-Square...
[물리학 실험] 보다진자를 이용한 중력가속도 측정 : Borda의 진자를 이용하여 그 지점의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