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k의 개념 및 핸더슨 하셀발히 식(Henderson-Hasselbalch equation)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pk의 개념
(1) 산·염기 반응은 많은 생화학 과정들에서 매우 중요하다.
(2) 산·염기 반응은 이중나선을 분열시킬 수 있다.
(3) 생물계에서 pH변화에 대한 완중작용과 pH조절

2. Henderson - Hasselbalch equation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며 이것은 척추동물의 형액과 조직에서 완충작용과 산염기 평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식이다. 이 식은 어떤 산의 해리상수의 표현을 간단하게 표현하는 좋은 방법이다. 약산 (HA) 이 H+ 과 A- 로 해리되는 것에 대하여 Henderson - Hasselbalch equation은 다음과 같이 유도할 수 있다.
우선 [H+]에 대하여 풀면,
다음에 양변의 마이너스의 대수를 취하면,
가 된다.
마이너스 로그 [H]를 pH로, 마이너스 로그 Ka를 pKa로 바꾸면
가 된다.
이제 -log[HA]/[A-] 의 부호를 바꾸는 것을 포함해서 역으로 하면 Henderson - Hasselbalch equation은
로 얻을 수 있으며, 이식은 모든 약산의 적정곡선에 적합하며 수많은 중요한 정량적인 관계를 유도해 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어떤 약산의 pKa가 왜 그 적정곡선의 중간점의 pH와 같은 것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 중간점에 있어서 [HA] = [A-] 이므로 다음 식이 된다.
Henderson-Hasselbalch equation에 의하면 주어진 pH와 양성자 주개와 양성자 받개의 몰비로부터 pKa 값을 계산할 수 있고, 주어진 pKa 와 양성자 주개와 양성자 받개의 몰비로부터 pH를 계산살 수 있으며, 주어진 pH 와 pKa 로부터 양성자 주개와 양성자 받개의 몰비를 계산할 수 있다.
3. 참고문헌
1. Biochemistry Berg, Tymoczko, Stryer p.14~17
2.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Nelson, Cox (번) p.60~69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12.21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27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