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교육과정의 의미
1. 어원적 의미
2. 정의
3. 바람직한 교육과정의 조건
Ⅱ 교육과정의 유형
1. 교과중심 교육과정
2. 경험중심 교육과정
3. 학문중심 교육과정
4. 인간중심 교육과정
Ⅲ 구성
1. 교육목표의 설정
2. 교육내용의 선정
3. 교육내용 조직
4. 단원의 계획
5. 수업전략
6. 교육과정 평가
Ⅳ 교육과정 체제 수준 기능
1. 교육과정 체제
2. 교육과정 수준
3. 교육과정의 기능
1. 어원적 의미
2. 정의
3. 바람직한 교육과정의 조건
Ⅱ 교육과정의 유형
1. 교과중심 교육과정
2. 경험중심 교육과정
3. 학문중심 교육과정
4. 인간중심 교육과정
Ⅲ 구성
1. 교육목표의 설정
2. 교육내용의 선정
3. 교육내용 조직
4. 단원의 계획
5. 수업전략
6. 교육과정 평가
Ⅳ 교육과정 체제 수준 기능
1. 교육과정 체제
2. 교육과정 수준
3. 교육과정의 기능
본문내용
지역·학교가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이고, 후자는 교육과정 활동이 지역·학교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것이다.
그러나 중앙집권적 교육과정 체제는 ① 운영이 획일화·경직화되기 쉽다는 점, ② 권위주의적 교육 풍토가 조성되기 쉽다는 점, ③ 시행 후에 개정이 어렵다는 점, ④ 교사가 교육과정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 ⑤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과 같은 단점이 있으며, 지방분권적 교육과정 체제의 경우 ① 전국적인 합의가 어렵다는 점, ② 전문가·예산·시간 등의 부족으로 질적 수준이 낮은 교육과정이 될 수 있다는 점, ③ 지역·학교·교사 중심에 치우쳐 교육 개혁의 전파가 어려울 수 있다는 점, ④ 지역·학교 간 격차가 심화될 수 있다는 점, ⑤ 국가수준 정책 시행에 한계가 있다는 점과 같은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양 체제를 절충하여 우리의 교육과정에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2. 교육과정 수준
교육과정은 네 수준으로 나눌 수 있다.
국가 수준은 교육과정 수준의 최상위로서, 교육법에 의거하여 시행되는 전국 공통적인 일반기준이다. 학교 교육의 규범성과 균질성을 꾀하지만, 각 지역·학교·학급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렵고 지나치게 구체적일 경우, 지역·학교의 자율성과 교사의 전문성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다.
지역 수준은 시·도 및 교육자치단체가 지역 특성에 맞게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변형하는 것이고, 학교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결정하는 실질적 권한을 가지기에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을 새로이 편성할 수 있다. 교수·학습 수준은 교육과정을 실제 교수·학습으로 실현하는 현상으로서, 창의적이고 개별화된 수업을 꾀할 수 있고 이를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이 중요시 된다.
3. 교육과정의 기능
교육과정은 교육공동체가 어떤 결정을 내릴 때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교육과정의 규범성과 균질성을 꾀할 수 있게 한다. 즉, 교육과정은 교육의 과정을 통제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수업의 시간을 배당하고, 교육의 목표·수준·영역·선택과목 등 교육공동체의 합의가 필요한 부분의 표준이 되어 교육의 체제를 관리한다. 또한 언제 무엇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지 교수·학습 계획의 기준이 되며, 교육의 목표·내용·방법 간의 유기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시대의 교육 이론과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도록 교수·학습 내용의 기준이 된다. 구체적인 방법은 학교 교육 현장에서 시행되는데 교수·학습 방법의 기준이 되며 교수·학습 평가의 기준이 된다.
그러나 중앙집권적 교육과정 체제는 ① 운영이 획일화·경직화되기 쉽다는 점, ② 권위주의적 교육 풍토가 조성되기 쉽다는 점, ③ 시행 후에 개정이 어렵다는 점, ④ 교사가 교육과정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 ⑤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과 같은 단점이 있으며, 지방분권적 교육과정 체제의 경우 ① 전국적인 합의가 어렵다는 점, ② 전문가·예산·시간 등의 부족으로 질적 수준이 낮은 교육과정이 될 수 있다는 점, ③ 지역·학교·교사 중심에 치우쳐 교육 개혁의 전파가 어려울 수 있다는 점, ④ 지역·학교 간 격차가 심화될 수 있다는 점, ⑤ 국가수준 정책 시행에 한계가 있다는 점과 같은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양 체제를 절충하여 우리의 교육과정에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2. 교육과정 수준
교육과정은 네 수준으로 나눌 수 있다.
국가 수준은 교육과정 수준의 최상위로서, 교육법에 의거하여 시행되는 전국 공통적인 일반기준이다. 학교 교육의 규범성과 균질성을 꾀하지만, 각 지역·학교·학급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렵고 지나치게 구체적일 경우, 지역·학교의 자율성과 교사의 전문성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다.
지역 수준은 시·도 및 교육자치단체가 지역 특성에 맞게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변형하는 것이고, 학교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결정하는 실질적 권한을 가지기에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을 새로이 편성할 수 있다. 교수·학습 수준은 교육과정을 실제 교수·학습으로 실현하는 현상으로서, 창의적이고 개별화된 수업을 꾀할 수 있고 이를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이 중요시 된다.
3. 교육과정의 기능
교육과정은 교육공동체가 어떤 결정을 내릴 때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교육과정의 규범성과 균질성을 꾀할 수 있게 한다. 즉, 교육과정은 교육의 과정을 통제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수업의 시간을 배당하고, 교육의 목표·수준·영역·선택과목 등 교육공동체의 합의가 필요한 부분의 표준이 되어 교육의 체제를 관리한다. 또한 언제 무엇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지 교수·학습 계획의 기준이 되며, 교육의 목표·내용·방법 간의 유기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시대의 교육 이론과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도록 교수·학습 내용의 기준이 된다. 구체적인 방법은 학교 교육 현장에서 시행되는데 교수·학습 방법의 기준이 되며 교수·학습 평가의 기준이 된다.
추천자료
교과교육론-통합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을 기술하고 하나의 주제를 선정하여 교육계획안을 구...
7차 교육과정( 6차비교,특징, 비판점과보완점)
초중등교등학교 1~7차 교육과정 비교 분석
교육과정 개발
수준별학습(교육, 수업) 교수학습자료의 특징, 수준별학습(교육, 수업) 교수학습자료의 유형,...
중학교(중등) 사회교육(사회과)의 교육과정변천과 목표, 중학교(중등) 사회교육(사회과)의 실...
사회과교육과정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 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개념과 필요성,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연구사례, 특별보충...
[교육과정][교육과정 법령 문제점][교육과정 추진 방향]교육과정의 개념, 교육과정의 목표, ...
제7차 교육과정
[교과교육론B형]누리과정의 생활주제 1개를 자유롭게 선택, 만4세를 대상으로 월간교육(보육)...
[유아교육과정 공통] 1. 아동중심 교육과정 통합교육과정의 개념 및 배경, 구성 교수학습방...
유아교육과정3) 아동중심 교육과정과 통합 교육과정의 개념 및 배경, 구성, 교수학습방법, 환...
초등학교 국어 교육과정 내용 상세화 읽기 6-(4) 주장에 대한 근거의 적절성을 판단하며 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