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들어가며.
Ⅱ.1. 문학사적 흐름 속의 적도.
Ⅱ.2. 현진건의 생애와 작품경향
Ⅱ.3. <적도>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유형분석.
Ⅱ.3.1. 개화기의 허상적 인간상: 박병일, 원석호
Ⅱ.3.2. 이상적 인간형: 열정의 행동형-김여해
Ⅱ.3.3. 식민지 시대의 개혁론자: 독립운동자-김상열
Ⅱ.3.4. 여성의 희생-홍영애, 명화
Ⅲ. 결론
<참고문헌>
Ⅱ.1. 문학사적 흐름 속의 적도.
Ⅱ.2. 현진건의 생애와 작품경향
Ⅱ.3. <적도>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유형분석.
Ⅱ.3.1. 개화기의 허상적 인간상: 박병일, 원석호
Ⅱ.3.2. 이상적 인간형: 열정의 행동형-김여해
Ⅱ.3.3. 식민지 시대의 개혁론자: 독립운동자-김상열
Ⅱ.3.4. 여성의 희생-홍영애, 명화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반 독자 대중의 흥미에 염두를 두어야 했을지 모르지만 이 작품이 결코 간과해서 안될 중요한 사실은 위의 <적도>의 인물분석을 통해 알아봤듯이, 작가가 그러한 소설의 흥미 본위의 대중소설을 다만 목적 그 자체로 추구하지 아니하고, 보다 근본적이고 중대한 작가의 현실 지향적인 강렬한 의식과 태도의 표현을 전달하기 위하여 교묘한 방법으로 이용하였다는 점이다. 빙허는 통속적 애정소설을 씀으로써 독자에게 세속적 의미의 ‘즐거움’만을 제공하려 하지 않았다. 그는 대개의 대중소설답게 표면상 그러한 ‘즐거움’을 충실하게 제공하려 노력하는 태도를 보이면서 실은 이면에 감춘 작가의 진정한 의도, 곧 확고한 민족주의적 지사로서 일제에 대한 저항의식과 보다 직접적인 투쟁방법의 교시를 독자 대중에게 간접적으로 전달하려 하였으며, 그러기 위하여 제재의 선택, 플롯의 형성 인물의 설정 등 작품의 형상화 과정에 있어 교묘한 표현상의 기교와 위장의 방법을 통용하였던 것이라고 하며, 안일과 무위한 생활 속에서 그들의 정열과 힘을 그릇된 방향으로 발산하고 있던 당시의 청년들에게 그들을 가르치고 각성시켜, 그들의 무한한 잠재력을 조국 해방을 위한 직접적 항쟁이라는 가장 정당한 방법으로 발휘하게 하려는 것이 작품의 숨은 주제라고 했다. 한상무, 「저항의 정신과 위장의 방법」, 강원대학연구논문집8, 1974, p.185~ 200.
현진건은 <적도>를 통해 식민지 현실의 어두운 힘으로 군림하고 있는 구체적인 실체로서의 억압 세력에 대해 투쟁을 통한 시대적 모순을 극복하려는 적극적 비판의 자세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당시대의 피지배 민족인 우리 민족이 취해야 할 가장 절실한 독립이라는 것을 투쟁을 통해 모순을 극복하려는 자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런 점을 바탕으로 <적도>가 문학사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변정선, 앞의논문.
<참고문헌>
조동일, 한국문학통사5, 지식산업사, 1994
김재용외, 『한국근대민족문학사』, 한길사, 1993
장석주,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0
최시한, 「현진건의 현실의식과 기법」, 문학과 비평, 1987
한경아, 「현진건 소설의 반어 연구」, 영남대 교육대학원, 2000
변정선, 「현진건 소설 연구」, 세종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0
심명섭, 「<삼대>와 <적도>의 작중인물 연구」, 대구대 대학원 석사논문, 1984
한상무, 「저항의 정신과 위장의 방법」, 강원대학연구논문집8, 1974
현진건은 <적도>를 통해 식민지 현실의 어두운 힘으로 군림하고 있는 구체적인 실체로서의 억압 세력에 대해 투쟁을 통한 시대적 모순을 극복하려는 적극적 비판의 자세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당시대의 피지배 민족인 우리 민족이 취해야 할 가장 절실한 독립이라는 것을 투쟁을 통해 모순을 극복하려는 자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런 점을 바탕으로 <적도>가 문학사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변정선, 앞의논문.
<참고문헌>
조동일, 한국문학통사5, 지식산업사, 1994
김재용외, 『한국근대민족문학사』, 한길사, 1993
장석주,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0
최시한, 「현진건의 현실의식과 기법」, 문학과 비평, 1987
한경아, 「현진건 소설의 반어 연구」, 영남대 교육대학원, 2000
변정선, 「현진건 소설 연구」, 세종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0
심명섭, 「<삼대>와 <적도>의 작중인물 연구」, 대구대 대학원 석사논문, 1984
한상무, 「저항의 정신과 위장의 방법」, 강원대학연구논문집8, 1974
추천자료
소설가의 영화보기
19세기이후 고소설에 대하여
목로주점- 민중의 냄새를 맡을 수 있다
[한국문학사]1950년대의 우리문학 연구
박완서 연구
[과외]중학 국어 1-1학기 중간 1단원 문학의 즐거움 예상문제(교사용)
전기 소설의 문제
[한국문학개론] 작품 분석과 감상 정리
김종회 저, 문학과 예술혼(문학의숲, 2007)을 읽고, 전체 4장 중 각 장에서 글 한 편씩을 선...
1920년대 소설 경향,현진건의 ‘운수 좋은날’,1920년대 여성 문인
인정세태를 보여준 소설 몽당치마
[작문과독서] 공지영의 문학세계
1950년대 전후소설 - 송병수 - 쇼리킴 이범선 - 오발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