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목차
심전도란..
심전도 검사의 적응증
심장의 전도계
전기생리학
탈분극과 재분극
활성전위곡선
Action Potential 의 세포 모형
표준 12유도 심전도
심전도 파형의 모양
심전도 기록지
심박동수 계산법
심박동수 계산법 – 실제 예제
심전도의 기본적인 파형
심전도 각 파형의 의미
P wave
PR interval
QRS complex
T wave
ST segment
QT interval
심전도 판독순서
Normal ECG
부정맥
동빈맥/동서맥 (sinus tachycardia/bradycardia)
동부정맥/동정지 (sinus arrhythmia/sinus arrest)
APB (심방조기박동)
APC (artrial premature complexes)
VPB (심실조기박동)
VPC = PVC (vetricular premeature complexes)
AF (atrial flutter)
A-fib (atrial fibrillation)
PSVT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
VT (심실빈맥)
심실조동/심실세동
방실전도장애
각차단 (bundle branch block)
심방확장 (Atrial enlargement)
심실비대 (ventricular Hypertrophy)
RVH
LVH
AMI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cute pericarditis
Pericardial effusion
Digitalis에 의한 심전도 변화
고칼륨혈증/저칼륨혈증
hypokalemia
Hyperkalemia
고칼슘혈증/저칼슘혈증
참고문헌
심전도 검사의 적응증
심장의 전도계
전기생리학
탈분극과 재분극
활성전위곡선
Action Potential 의 세포 모형
표준 12유도 심전도
심전도 파형의 모양
심전도 기록지
심박동수 계산법
심박동수 계산법 – 실제 예제
심전도의 기본적인 파형
심전도 각 파형의 의미
P wave
PR interval
QRS complex
T wave
ST segment
QT interval
심전도 판독순서
Normal ECG
부정맥
동빈맥/동서맥 (sinus tachycardia/bradycardia)
동부정맥/동정지 (sinus arrhythmia/sinus arrest)
APB (심방조기박동)
APC (artrial premature complexes)
VPB (심실조기박동)
VPC = PVC (vetricular premeature complexes)
AF (atrial flutter)
A-fib (atrial fibrillation)
PSVT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
VT (심실빈맥)
심실조동/심실세동
방실전도장애
각차단 (bundle branch block)
심방확장 (Atrial enlargement)
심실비대 (ventricular Hypertrophy)
RVH
LVH
AMI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cute pericarditis
Pericardial effusion
Digitalis에 의한 심전도 변화
고칼륨혈증/저칼륨혈증
hypokalemia
Hyperkalemia
고칼슘혈증/저칼슘혈증
참고문헌
본문내용
심전도(electrocardiogram)
┃ 심전도란..
┗━━━━━━━━━━─────────…
심박동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전위변화를 심전계(electrocardiograph)에 의해 그림으로 기록한 것.
◉ 1887년 Waller AD의 capillary electrometer에 의해 처음 기록.
◉ 1901년 Einthoven W가 string galvanometer electrograph 발명.
◉ 이후 심전계와 유도법 발전으로 본격적으로 임상에 이용.
┃ 심전도 검사의 적응증
┗━━━━━━━━━━─────────…
◉ 부정맥
◉ 심방 및 심실비대
◉ 심근허혈 및 심근경색
◉ 심낭염
◉ 심장에 영향을 주는 전신질환
(갑상선질환, 폐질환)
◉ 심장약의 효과(특히 digoxin 및 quinidine)
◉ 전해질대사의 이상(K, Ca)
◉ 인공심박조율기 기능의 평가 등에 유용.
┃ 심장의 전도계
┗━━━━━━━━━━─────────…
≪ 그 림 ≫
〓〓〓〓〓〓〓〓〓〓〓〓〓〓〓〓〓〓〓〓〓〓〓〓〓〓〓〓〓〓〓〓〓〓〓〓〓〓〓〓〓〓〓〓〓〓〓〓〓〓〓
(a) the S-A node (sino-atrial node)(동결절)
normal rhythmic self-excitatory impulse가 생성되는 것
(b) the internodal pathways(결절간 심방내 전도로)
S-A node에서 A-V node로 impulse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
① 전결절간 심방내 전도로
② 중결절간 심방내 전도로
③ 후결절간 심방내 전도로
(c) the A-V node(방실결절)
: atrium에서 생성된 impulse가 ventricle로 가기 전에 전달이 늦어지는 곳
(d) His 속(His bundle)
(e) 각(bundle branch)
① 우각
② 좌각
ⓐ 좌각 전섬유속(left anterior fascicle)
ⓑ 좌각 후섬유속(left posterior fascicle)
(f) 푸르키니에 섬유Purkinje fiber: 전달된 cardiac impulse를 ventricle의 각 부분으로
전달하는 것
동결절(sinus node):
상대정맥(superior vena cava)하부의 우심방심내막하에 위치, 크기는 5*20mm정도. 정상인의 심박동을 조율(pacing)하는 부위.
1-1) 결절간 심방결로(internodal atrial pathway)
2)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관정맥동입구(coronary sinus orifice)와 삼첨판막 중격엽판(septal leaflet) 사이의 우심방 심내막하에 위치
크기는 2*5mm.
방실결절내 자극전도속도는 자극전도계 중 가장 느려 심전도의 PR 간격은 대부분 방실결절내 전도시간임.
3) His 속(His bundle):
심실중격 상방의 우측 심내막에 위치. 길이 15~20mm.
대동맥판막, 삼첨판막, 승모판막을 유지시키는 central fibrous body를 통과하기 때문에
판막 질환 시 영향을 주어 방실전도장애 발생.
4) 각(bundle branch):
우각-심실중격의 우측 심내막 지남.
좌각-심실중격의 좌측 심내막 지남
좌각전섬유속(좌심실, 심실중격의 전/상부), 좌각후섬유속(좌심실과 심실중격의 후/하부)
5) Purkinje섬유:
좌우심실의 심내막하에 널리 퍼져있는 Purkinje 섬유를 통하여 좌우각으로부터의 전기자극이 심근에 전도.
┃ 심장의 전도계
┗━━━━━━━━━━─────────…
(1) the S-A node (sino-atrial node)(동결절)
normal rhythmic self-excitatory impulse가 생성되는 것
(P) the internodal pathways( 결절간 심방내 전도로)
S-A node에서 A-V node로 impulse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
① 전결절간 심방내 전도로 ② 중결절간 심방내 전도로 ③ 후결절간 심방내 전도로
(2) the A-V node(방실결절)
: atrium에서 생성된 impulse가 ventricle로 가기 전에 전달이 늦어지는 곳
(3) His 속(His bundle)
(4) 각(bundle branch)
① 우각
② 좌각 ⓐ 좌각 전섬유속(left anterior fascicle)
ⓑ 좌각 후섬유속(left posterior fascicle)
(5) Purkinje fiber
: 전달된 cardiac impulse를 ventricle의 각 부분으로 전달하는 것
┃ 심전도란..
┗━━━━━━━━━━─────────…
심박동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전위변화를 심전계(electrocardiograph)에 의해 그림으로 기록한 것.
◉ 1887년 Waller AD의 capillary electrometer에 의해 처음 기록.
◉ 1901년 Einthoven W가 string galvanometer electrograph 발명.
◉ 이후 심전계와 유도법 발전으로 본격적으로 임상에 이용.
┃ 심전도 검사의 적응증
┗━━━━━━━━━━─────────…
◉ 부정맥
◉ 심방 및 심실비대
◉ 심근허혈 및 심근경색
◉ 심낭염
◉ 심장에 영향을 주는 전신질환
(갑상선질환, 폐질환)
◉ 심장약의 효과(특히 digoxin 및 quinidine)
◉ 전해질대사의 이상(K, Ca)
◉ 인공심박조율기 기능의 평가 등에 유용.
┃ 심장의 전도계
┗━━━━━━━━━━─────────…
≪ 그 림 ≫
〓〓〓〓〓〓〓〓〓〓〓〓〓〓〓〓〓〓〓〓〓〓〓〓〓〓〓〓〓〓〓〓〓〓〓〓〓〓〓〓〓〓〓〓〓〓〓〓〓〓〓
(a) the S-A node (sino-atrial node)(동결절)
normal rhythmic self-excitatory impulse가 생성되는 것
(b) the internodal pathways(결절간 심방내 전도로)
S-A node에서 A-V node로 impulse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
① 전결절간 심방내 전도로
② 중결절간 심방내 전도로
③ 후결절간 심방내 전도로
(c) the A-V node(방실결절)
: atrium에서 생성된 impulse가 ventricle로 가기 전에 전달이 늦어지는 곳
(d) His 속(His bundle)
(e) 각(bundle branch)
① 우각
② 좌각
ⓐ 좌각 전섬유속(left anterior fascicle)
ⓑ 좌각 후섬유속(left posterior fascicle)
(f) 푸르키니에 섬유Purkinje fiber: 전달된 cardiac impulse를 ventricle의 각 부분으로
전달하는 것
동결절(sinus node):
상대정맥(superior vena cava)하부의 우심방심내막하에 위치, 크기는 5*20mm정도. 정상인의 심박동을 조율(pacing)하는 부위.
1-1) 결절간 심방결로(internodal atrial pathway)
2)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관정맥동입구(coronary sinus orifice)와 삼첨판막 중격엽판(septal leaflet) 사이의 우심방 심내막하에 위치
크기는 2*5mm.
방실결절내 자극전도속도는 자극전도계 중 가장 느려 심전도의 PR 간격은 대부분 방실결절내 전도시간임.
3) His 속(His bundle):
심실중격 상방의 우측 심내막에 위치. 길이 15~20mm.
대동맥판막, 삼첨판막, 승모판막을 유지시키는 central fibrous body를 통과하기 때문에
판막 질환 시 영향을 주어 방실전도장애 발생.
4) 각(bundle branch):
우각-심실중격의 우측 심내막 지남.
좌각-심실중격의 좌측 심내막 지남
좌각전섬유속(좌심실, 심실중격의 전/상부), 좌각후섬유속(좌심실과 심실중격의 후/하부)
5) Purkinje섬유:
좌우심실의 심내막하에 널리 퍼져있는 Purkinje 섬유를 통하여 좌우각으로부터의 전기자극이 심근에 전도.
┃ 심장의 전도계
┗━━━━━━━━━━─────────…
(1) the S-A node (sino-atrial node)(동결절)
normal rhythmic self-excitatory impulse가 생성되는 것
(P) the internodal pathways( 결절간 심방내 전도로)
S-A node에서 A-V node로 impulse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
① 전결절간 심방내 전도로 ② 중결절간 심방내 전도로 ③ 후결절간 심방내 전도로
(2) the A-V node(방실결절)
: atrium에서 생성된 impulse가 ventricle로 가기 전에 전달이 늦어지는 곳
(3) His 속(His bundle)
(4) 각(bundle branch)
① 우각
② 좌각 ⓐ 좌각 전섬유속(left anterior fascicle)
ⓑ 좌각 후섬유속(left posterior fascicle)
(5) Purkinje fiber
: 전달된 cardiac impulse를 ventricle의 각 부분으로 전달하는 것
추천자료
수술 전ㆍ후 간호 (마취 전 간호 포한)
울혈성 심부전 환자의 케이스 스터디
비후성 심근병증의 증상과 치료방법
전기자극을 이용한 검사
심장혈관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
병원 부서별 기능
성인간호학 - 승모판협착증 문헌고찰
수술실레포트
심혈관계에 작용하는 약물에 대하여
[성인간호학][CRF][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Chronic Renal Failure]문헌고찰
응급 및 재해 실습 나갈때..
성인간호학 협심증(angina) 간호과정
[허혈성 심질환] 허혈성 심장질환(허혈성심질환)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방법, 허혈성 심장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