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계에 작용하는 약물에 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혈관계에 작용하는 약물에 대하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씨병, 폐색성동맥경화증, 당뇨병성 말초혈관 병증 등)에 의한 궤양, 동통 및 냉감등의 허혈성 제증상의 개선
(2) 용법 및 용량 : 1일 2회, 1회 100㎎ (식전 1시간 또는 식후 2시간에 복용)
(3) 부작용
두통, 어지러음, 구토, GOT/GPT/BUN의 증상, 오심, 발진,
5. urokinase, TPA-혈전용해제
▣ 이뇨제
효과 및 효능 : 고혈압,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저칼륨혈증, 심성부종(울혈성 심부전)
1. 스피로노락톤 (알닥톤)
(1) 적응증 :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간성 부종, 말초 혈관 부종
(2) 용법 및 용량
- 성인 : 1일 50㎎으로 시작, 혈압과 혈중 K+농도에 따라 용량을 조절. (1일 Max100㎎)
- 식사 직후에 복용하며 야뇨증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지막 복용량은 이른 저녁(오후 6시 이전) 에 복용하는 것이 좋다.
(3) 약리 작용
- 원위세뇨관에서 aldosterone의 작용을 억제하고 Na+ 재흡수를 억제함으로써 K+ 배설을 억제하는 K+저류성 이뇨제임.
- 혈압 강하, 이뇨 작용이 약하여 단독으로 보다는 Lasix 사용 시 저칼륨혈증의 예방 목적으 로 사용함.
- CHF, 간 경변, K+결핍으로 인한 실조성 심부전증에 사용.
- Aldosterone 의 길항제로 1차 Hyper-aldosteronism 에 의한 부종에 사용.
(4) 부작용 및 주의 사항
- 고칼륨혈증 ( 지각마비, 근무력감, 피로, 빈맥, shock, EKG변화, 사지마비)
- 오심, 구토, 식욕부진, 설사, 보통
- BUN 상승
- 탈수, 저나트륨혈증, 구강 건조, 구갈
- 여성형 유방, 리비도 감소, 월경 이상, 발기부전
- 체내에 칼륨이 축적되게 하므로 칼륨이 많이 함유된 음식(바나나, 오렌지 쥬스) 섭취는 피하고, 식이요법(저나트륨 식이), 운동요법을 병행하면서 복용한다.
- Lithium 화합물과의 병용 투여로 Lithium 화합물의 배설을 지연시킬 수 있음.
(5) 금기
고칼륨혈증 환자, 무뇨증 환자, 심한 심 기능 부전증 환자, K+저류성 환자 또는 K 염 투약 환자.
2. 퓨로세마이드 (라식스)
(1) 적응증 :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간성 부종, 말초 혈관 부종
(2) 용법 및 용량
- 성인 : Tab 40㎎ 1일 1~2회 (1일 Max 600㎎ #2)
Inj 20㎎/2㎖/amp 1일 1회
- 소아 : 2㎎/㎏
- 식후 30분에 복용하며 야뇨증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지막 복용량은 이른 저녁(오후 6시 이전)에 복용하는 것이 좋다.
(3) 약리 작용
- 근위 세뇨관에서 Na+과 물의 재흡수를 차단하고 헨레고리의 수질과 피질 상행부와 원위 세뇨관의 시작부위에서 Na+재흡수를 방해한다.
- 정맥 주사는 위독한 경우에 유효하며 경구 투여는 신 기능 장애 시 사용.
(4) 부작용 및 주의 사항
- 오심, 구토, 변비, 고혈당, allergy성 피부 발진, 빈혈, CNS 장애
- 저칼륨혈증; 이뇨 작용으로 체내 칼륨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칼륨이 많이 함유된 음식 (바나나, 오렌지쥬스)을 섭취한다. 약물 복용 중 햇빛에 과다 노출되면 10~14일 후에 광 과민 반응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외출 시 선글라스 착용, 자외선 차단을 한다.
(5) 금기
- 무뇨증, 이 약에 과민한 환자
- 중증 신, 간질환자 ( azotemia 및 oliguria, Hepatic coma)
- Aminoglycoside계 항균제와 병용 시 독성 증가
▣ 저혈압제
이름
분류
작용
부작용
투여량
Norepinephrine
(Levophed)
=Nor-adrenalin
α, β-receptor에 모두 작용하지만 α-수용체에 더 강력하게 작용.
급성 저혈압, MI로 인한 shock, 아나필락시스성 shock, 순환혈액량 저하에 따른 급성저혈압, 심정지의 보조치료
심박출량 감소, 심계항진, 서맥, 호흡곤란, 혈압이상상승, 진전, 오심 등.
epinephrine hcl (Adrenaline)
αβ-수용체 모두 장용, β-수용체가 더 강함.
α기관지천식, 혈청병(血淸病), 두드러기, 약물에 의한 shock, 심정지 및 국소마치의 효력을 지속하기 위해 병용 투여한다.
. 빈맥, 심실세동. 고혈압. 폐색성 혈관장애. 고혈당.
기관지 천식- 0.1%용액을
5-10배로 희석해서 흡입.(1회 투여량은 0.3mg 이내)
dobutamine
adrenergic agonist
beta1 adrenergic 수용체 자극에 의한 심박수증가, 심장 질환이나 심장 수술로 인해 수축력이 저하된 심부전증의 단기 치료시 심박출량 증가
(심장의 베타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빈맥이나 말초혈관 효과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심근 수축력 증가)
* 본 약물과 동일한 iv line 을 통해 투여하면 안되는 약물: heparin, hydrocortisone, penicillin .
협심증. 흉통. 빈맥. 고혈압. 맥박증가.
성인- 2.5-15mcg/kg/min (max 40)
dopamine
adrenergic agonist
심근경색. 외상 . 울혈성 심부전. 핍뇨. 무뇨증 저혈압.
adrenergic and dopamin receptor 효능약
주로 dopamin 효능 작용과 신장 및 장관의 혈관 이완작용
중간용량: 주로 dopamin 효능 작용과 beta1 adrenergic 효능작용으로 심장 흥분과 신장혈관 이완 작용
고용량 alpa adrenergic 효능 작용
저용량 1-3mcg/kg/분,신장 혈류.요배설량 증가
중간용량 ; 3-10mcg/kg/분, 신장혈류. 심박수. 심박출량 증가.
고용량 10 이상mcg/kg/분 alpha adrenergic 효과가 발현되어 혈관수축. 혈압상승
심전도 이상. 기외성 맥박. 저혈압 . 빈맥 혈관수축. 두통. 오심
성인 1-5mcg/kg/ 분 (max 50) 최대효과가 나타날때까지 10-30분 간격으로 1-4 mcg/kg/분 간격으로 증량투여
Atropine
부교감 신경 차단제로서 서맥, 말초혈관 저항 감소, 저혈압 치료
0.5mg이상 투여시빈맥 고열 의식장애, 혼수 발생, 녹내장 환자에서는 안압 증가로 사용 금함.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6.17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05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