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정 영역과 방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사정 영역
1) 가족의 욕구
2) 가족체계
3) 가족생활주기

2. 사정 방법
1) 면접
2) 관찰
3) 사정도구에 의한 사정

본문내용

시킨다.
다섯째, 가족과 환경체계의 관계를 다양한 선으로 표현한다.
<그림 6-3> 생태도에서 흔히 사용하는 기호
출처 : 최경석 외, 2003: 198.
<그림 4> 생태도 예시
출처 : 김규수 외 역, 2002: 468.
(3) 생활력 도표
생활력 도표(Life Chronology)는 가족사정도구의 하나로 가족이나 가족구성원에게 발생한 중요한 사건이나 시기를 중심으로 해서 연대기적으로 작성한다. 생태도나 가계도처럼 원이나 원이나 선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표를 이용한다.
생활력 도표의 활용은 특정 발달단계의 생활 경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아동과 청소년 대상의 활동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가족의 다양한 시기의 자료를 조직화하여 표현하며, 가족구성원의 삶의 중요한 사건을 시계열적으로 나열한다.
<표 3> 생활력 도표의 예시
연 도
나 이
장 소
가 족
주요 사건
문 제
1980
27
서울시
첫째 자녀
출생
미숙아로 태어남
1982
29
광주
남편
실직과 잠적
빚독촉을 심하게 받아서 남편이 잠적
1986
33
광주
남편
입원
심한 알코올중독
1988
35
김해
가족모두
친정근처로 이사
극심한 생활고
(4) 사회적 관계망 그리드
사회적 관계망 그리드(social network grid)는 개인, 가족의 사회적 지지체계를 사정하는 도구이다. 사회적 관계망을 그림이나 표로 보여줌으로써 가족의 관계망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게 해 준다(Tracy & Whittaker, 1990; 허남순 외 역, 2004: 188).
외부체계의 영향 중 가장 많이 미치는 것은 사회적 관계망의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란 “사회적으로 친밀한 사람이나 존재라고 생각되는 사람들이 제공하는 언어적비언어적 정보나 충고, 가시적인 유형의 도움이나 행동, 수혜자에게 정서적으로나 행동적으로 바람직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다. 사회적 관계망은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관계들의 망을 의미한다. 가족구성원의 사회적 관계망을 그림이나 도표로 그리는 것은 관계의 양과 질을 한눈에 파악하고 지속적인 사정과 개입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대인적 역동성을 보다 명확히 함으로써 사정평가를 잘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도 가족, 친구, 기타 사람들에 대한 자신의 감정과 태도를 명확하게 검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회적 관계망 표는 관계망 안에 있는 사람들이 클라이언트 혹은 가족과 어떤 관계에 있고 이들이 주고받는 물질적정서적정보적 지원은 어느 정도이며, 도움의 방향은 어떠한지, 그리고 근접성과 접근의 빈도는 어느 정도인지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표 4> 사회적 관계망 그리드 예시
번 호:
응답자:
이름 #
생활영역
1.동거가족
2.다른 가족
3.직장/학교
4.조직들
5.다른 친구
6.이웃
7.전문가
8.기타
물질적 지원
1.거의 없음
2.간혹 있음
3.거의 항상
정서적 지지
1.거의 없음
2.간혹 있음
3.거의 항상
정보 / 조언
1.거의 없음
2.간혹 있음
3.거의 항상
비판
1.거의 없음
2.간혹 있음
3.거의 항상
원조의 방향
1.양방향
2.당신이 그들에게 향함
3.그들이 당신에게 향함
친밀성
1.친밀성이
없음
2.친밀한 정도
3.매우 친밀
만나는 빈도
0.보지 않음
1.몇 회/년
2.매달
3.주별
4.매일
알고 지낸 기간
1. 1년 미만
2. 1년-5년
3. 5년 이상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출처 : 장인협오세란, 1996: 98.
(5) 가족범주도식
가족범주도식(family categories schema)은 Epstein, Bishop & Levin, 1978의 연구를 기초로 하며 가족사회복지사가 가족들과 첫 만남 이후 가족의 기능 수행을 사정할 수 있도록 고안한 도구이다. 다음의 8개 범주에 대하여 60개 항목의 자기보고(self-report)형식의 설문으로 이루어져 있다(이화여자 대학교 사회복지연구회 역, 2001: 96-97).
가족범주도식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① 문제해결: 가족은 정서적육체적 안녕 또는 기능 수행 단위로서 가족의 생존에 대한 위협에 어떻게 대처하는가와 관련이 있다.
② 정서적 반응: 가족성원은 가족 내에서 행복한 정서와 위급한 정서 모두를 다양하게 표출할 수 있는지에 관련된다.
③ 정서적 관여: 가족구성원은 서로의 활동과 관심에 대해 어느 정도 정서적으로 관여하고 있는지에 관련된다.
④ 의사소통: 가족의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을 관찰한다.
⑤ 역할행동: 가족이 매일 접하는 여러 종류의 압력, 과제, 의무를 파악한다.
⑥ 자주성: 가족구성원들이 독립적으로 행동하고, 독자적이고 책임 있는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 있다.
⑦ 행동 통제방식: 행동 통제는 가족이 충격을 이겨내고, 표준 행동을 유지하며, 위협적인 상황에 대처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다.
⑧ 일반적인 역할: 통합기술 사정도구이다.
(6) 가족조각
가족조각(Family Sculpture)이란 가족구성원들이 가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가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기법이다. 가족조각은 가족구성원들이 공간적으로 스스로 위치하여 가족관계를 몸으로 표현하면서 하나의 그림을 완성하는 것으로 가족동맹을 표현하며 역기능적 가족연합을 보여주고 관계를 재조정해야 함을 인식시켜 줄 때 매우 효과적인 기법이다. 사회복지사의 도움으로 가족들은 자신의 가족구조에 대해 논의하게 되는데, 이러한 논의로써 가족은 기존의 가족연합을 바꾸고자 한다(허남순 외 역, 2004: 405)
가족조각을 위해 사회복지사는 먼저 한 구성원에게 다른 구성원들을 의미 있게 배치해 보도록 요청한다. 이때 요청을 받은 구성원은 자신이 인식하는 대로 가족구성원들의 공간, 몸짓, 태도 등을 무언으로 연출한다. 구성원들은 연출하는 구성원의 지시대로 배치되어 무언극을 하게 되고 무언극을 하는 과정에서 연출하는 구성원이 가족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가족구성원들은 가족체계 내의 신념이나 규칙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고 또 그것이 어떻게 행동이나 태도로 표현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1.20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56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