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序 論 1
Ⅱ. ‘아편전쟁’의 시대적 배경 2
Ⅲ. ‘아편전쟁’의 줄거리 2
Ⅳ. ‘아편전쟁’의 역사적 비판 3
1. 생산자 차원 3
2. 소비자 차원 4
3. 집단적 차원 5
Ⅴ. 結 語 5
< 參 考 文 獻 > 7
Ⅱ. ‘아편전쟁’의 시대적 배경 2
Ⅲ. ‘아편전쟁’의 줄거리 2
Ⅳ. ‘아편전쟁’의 역사적 비판 3
1. 생산자 차원 3
2. 소비자 차원 4
3. 집단적 차원 5
Ⅴ. 結 語 5
< 參 考 文 獻 > 7
본문내용
리도 큰 나라가 어떻게 지구 반대편의 작은 나라인, 물론 중국과 비교해서겠지만, 영국에게 그것도 함선 몇 척에 의하여 굴복하였는지 정말 이해가 가지 않았다. 교과서를 비롯한 문자매체의 설명을 통해서는 머리로는 인식은 되나 도저히 가슴으로는 해답을 구할 수 없었다. 그래서 문자매체가 아닌 영상매체를 통하여 아편전쟁을 접해보려 하였으나 아편전쟁에 관한 영화나 다큐멘터리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었다.
혹자는 아편전쟁을 “역사상 가장 더러운 전쟁”이라 평가한다. 청나라에게도 수치스러운 사건이지만 영국은 이기고도 도덕성에 타격을 입고 전 세계의 비난에 시달려야했다. 양국 모두 들춰내기 싫었던 역사였기 때문에 그동안 아편전쟁에 관한 영상매체를 접하기 어려웠으리라 짐작된다. 영화 ‘아편전쟁’은 나의 이러한 지식적 욕구를 채워준 영화임과 동시에 아편전쟁의 승패에 대한 의문을 풀어준 영화인 것이다.
영화를 통하여 내가 내린 해답은 바로 ‘당시 청국의 부패와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술력의 차이, 그리고 전쟁에 임하는 양국의 마음가짐이 아편전쟁의 승패를 갈랐다’이다. 영화상 청국의 부패와 양국의 기술력의 차이는 잘 표현되어 있지만 전쟁에 임하는 양국의 마음가짐은 명확하게 표현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당시 영국의회의 전쟁에 대한 찬반투표에서 반대표가 많았던 것을 미루어 보면 서구열강들은 아마도 “중국이 가만히 있어서 그렇지, 꿈틀하면 우리가 질 거야.” 라는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있었고, 오히려 중국은 “우리가 가만히 있어서 그렇지, 꿈틀하면 저런 서구 야만인들 정도는 전부 이길 수 있어.” 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음을 영화를 통해 추측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마음가짐의 차이도 아편전쟁의 승패에 영향을 주었음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일 것이다.
결국 영화를 통하여 좀 더 쉽고 가깝게 그 시대의 정치상황과 사회적 배경, 진행과정을 접하고 보니 아편전쟁이 왜 그러한 결과를 낳았는지를 알 수 있었다. 이것이 바로 영상매체에 의한 역사서술의 힘인 것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영화 ‘아편전쟁’에 대하여 생산자 차원, 소비자 차원, 그리고 집단적 차원을 통한 역사적 비판을 해보았다. 시대가 변화하듯이 영화를 받아들이는 입장 또한 변화하기 마련일 것이다. 따라서 시기별에 따른 평가를 다시 비판하는 역사적 비판이 필요하다. 특히 영화를 비롯한 영상매체는 그 어떤 문자매체보다 오랫동안 사람들의 기억 속에 각인되어 맹목적인 History를 낳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지양하고 역사를 바르게 바라보기 위한 역사방법론이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역사적 비판인 것이다.
역사는 반복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과거의 역사에 대하여 역사적 비판을 통한 역사 인식을 게을리 하지 않을 때 다가올 미래를 흔들림 없이 대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參 考 文 獻 >
♣ 韓國書
1.『청사 - 만주국이 통치한 중국』. 임계순. 신서원. 2004. 349~368面.
2.『근대중국 : 개혁과 혁명 - 중화제국 마지막 왕조의 몰락(下)』. 신승하. 대명출판사. 2004. 113~162面.
3.『현대 중국을 찾아서1』. 조너선 D.스펜스 / 김희교 譯. 이산. 2002. 193~202面.
4.『대청제국』. 마스이 츠네오 / 이진복譯. 학민사. 2004. 164~194面.
5.『중국 현대사』. 佐伯有一 외 / 오상훈 譯. 한길사. 1980. 7~27面.
♣ 論文
5.『아편전쟁시기 (鴉片戰爭時期) ( 1839 ~ 1842 ) 중국 (中國)의 아편문제 (鴉片問題)』. 이학로. 대구사학. 2000.
6. 『역사산책 아편전쟁을 다시 본다 』. 허원.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1997년 겨울호(통권 41호). 1997.
혹자는 아편전쟁을 “역사상 가장 더러운 전쟁”이라 평가한다. 청나라에게도 수치스러운 사건이지만 영국은 이기고도 도덕성에 타격을 입고 전 세계의 비난에 시달려야했다. 양국 모두 들춰내기 싫었던 역사였기 때문에 그동안 아편전쟁에 관한 영상매체를 접하기 어려웠으리라 짐작된다. 영화 ‘아편전쟁’은 나의 이러한 지식적 욕구를 채워준 영화임과 동시에 아편전쟁의 승패에 대한 의문을 풀어준 영화인 것이다.
영화를 통하여 내가 내린 해답은 바로 ‘당시 청국의 부패와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술력의 차이, 그리고 전쟁에 임하는 양국의 마음가짐이 아편전쟁의 승패를 갈랐다’이다. 영화상 청국의 부패와 양국의 기술력의 차이는 잘 표현되어 있지만 전쟁에 임하는 양국의 마음가짐은 명확하게 표현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당시 영국의회의 전쟁에 대한 찬반투표에서 반대표가 많았던 것을 미루어 보면 서구열강들은 아마도 “중국이 가만히 있어서 그렇지, 꿈틀하면 우리가 질 거야.” 라는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있었고, 오히려 중국은 “우리가 가만히 있어서 그렇지, 꿈틀하면 저런 서구 야만인들 정도는 전부 이길 수 있어.” 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음을 영화를 통해 추측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마음가짐의 차이도 아편전쟁의 승패에 영향을 주었음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일 것이다.
결국 영화를 통하여 좀 더 쉽고 가깝게 그 시대의 정치상황과 사회적 배경, 진행과정을 접하고 보니 아편전쟁이 왜 그러한 결과를 낳았는지를 알 수 있었다. 이것이 바로 영상매체에 의한 역사서술의 힘인 것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영화 ‘아편전쟁’에 대하여 생산자 차원, 소비자 차원, 그리고 집단적 차원을 통한 역사적 비판을 해보았다. 시대가 변화하듯이 영화를 받아들이는 입장 또한 변화하기 마련일 것이다. 따라서 시기별에 따른 평가를 다시 비판하는 역사적 비판이 필요하다. 특히 영화를 비롯한 영상매체는 그 어떤 문자매체보다 오랫동안 사람들의 기억 속에 각인되어 맹목적인 History를 낳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지양하고 역사를 바르게 바라보기 위한 역사방법론이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역사적 비판인 것이다.
역사는 반복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과거의 역사에 대하여 역사적 비판을 통한 역사 인식을 게을리 하지 않을 때 다가올 미래를 흔들림 없이 대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參 考 文 獻 >
♣ 韓國書
1.『청사 - 만주국이 통치한 중국』. 임계순. 신서원. 2004. 349~368面.
2.『근대중국 : 개혁과 혁명 - 중화제국 마지막 왕조의 몰락(下)』. 신승하. 대명출판사. 2004. 113~162面.
3.『현대 중국을 찾아서1』. 조너선 D.스펜스 / 김희교 譯. 이산. 2002. 193~202面.
4.『대청제국』. 마스이 츠네오 / 이진복譯. 학민사. 2004. 164~194面.
5.『중국 현대사』. 佐伯有一 외 / 오상훈 譯. 한길사. 1980. 7~27面.
♣ 論文
5.『아편전쟁시기 (鴉片戰爭時期) ( 1839 ~ 1842 ) 중국 (中國)의 아편문제 (鴉片問題)』. 이학로. 대구사학. 2000.
6. 『역사산책 아편전쟁을 다시 본다 』. 허원.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1997년 겨울호(통권 41호). 1997.
추천자료
현대 중국 문화 탐험 (네 도시 이야기) 감상문
[독서감상문] 기시모토 미오 &#8228; 미야지마 히로시의 “조선과 중국 근세 오백년을 가...
[영화감상문]황후화를 보고
겅호 감상문
[영화감상문]삼국지:용의 부활 을 보고
마오를 이긴 중국, 간디를 넘은 인도를 읽고 요약정리 및 감상문
중국이 세계를 지배하면을 읽고 줄거리 요약, 내용 요약, 감상문, 독후감, 느낀점, 나의 소감...
[독후감, 감상문, 서평] 남송(南宋)왕조 항주의 일상생활 - 자크 제르네의 『전통중국인의 ...
[독후 감상문] <마오의 제국(Out of mao`s shadow)>을 읽고 - 새로운 중국, 마오쩌둥을 넘어...
독후감 : 은희경의 [중국식 룰렛] (제목: 진실과 거짓. 그건 나와의 싸움.) [독서토론, 독서...
[영화감상문] 귀주 이야기을 보고 (개혁개방 시기 중국 농촌과 현대사회 읽기)
[영화 감상문] 변하는 상황에서도 변하지 말아야 할 것 - 영화 스틸라이프를 통해 돌아본 중...
간축객서 감상문
out of war 영화 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