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활동 6.1.2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력증후, 혈중 Catecholamine, epinephrine, norepinephrine, cortisol, 혈당 등의 생리적 변수의 변화 또한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이때 사전 조사는 병동에 입원할 당시 입원정보지를 조사할 때 같이 이뤄질 수 있도록 양식을 만들거나, 또는 수술실 앞 대기실에서 할 수 있게끔 해야 하겠다.
또한 나는 이 연구를 통해 다른 연구의 필요성 또한 느끼게 되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대상자들은 ‘수술실 입실 직후’에 가장 큰 불안을 느낀다고 하였기에 ‘수술실 입실 직후’인 대기실에서의 불안을 중재해야 할 중요성을 느꼈으며, 이에 따른 여러 가지 중재방법에 대한 필요성 또한 느끼게 되었다. 선호도를 고려한 ‘음악중재’의 방법도 효과가 있지만 여러 대상자들이 함께 있는 대기실에서 모든 이들의 선호도를 고려하기 어렵고, 어떤 이들에게는 음악소리 자체가 소음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음악중재 뿐만 아닌 여러 가지 중재법 등도 있다고 생각하기에 각 방법에 따라 실제 수행을 해보고, 결과들을 비교하여 가장 최적의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여러 가지 중재법들에는 수술 전 교육 및 정보제공, 치료적 접촉, 마사지요법, 아로마요법 등의 이완요법 등이 있다. 이러한 수술실에서의 지지간호는 상태불안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 조미자, 홍미순, 2001) 앞으로 나의 실무에서 이 주제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대상자의 옹호자로서의 간호사의 의무를 다 해야 겠다는 필요성 또한 느끼게 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나는 [대상자의 선호도를 고려한 음악중재가 부분마취 대상자의 수술 중 불안에 미치는 효과]라는 연구에 대해 The practice-theory-research-theory-practice cycle의 모형을 토대로 각 단계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에 대한 수정 및 개선을 통해 나의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 예전에는 나의 실무환경은 완벽하고, 더 이상 고칠게 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하여 실무환경에는 문제점이 끊임없이 있으며 더 나은 간호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느낄 수 있었다. 앞으로 실무에서의 이런 연구 및 수행 등을 통해 이론-연구-실무의 괴리를 좁힐 수 있으며, 간호의 전문성을 신장 시켜 실천과학으로서의 간호학의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대상자의 선호도를 고려한 음악중재가 부분마취 대상자의 수술 중 불안에 미치는 효과] 김주희, 백설향 : 임상간호연구 Vol.14-No.1: 2008
[음악요법이 수술대상자의 수술전 불안에 미치는 효과] 박성희, 박경숙: 성인간호학회지 Vol.12-No.4: 2000
[수술대상자의 수술전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에 관한 연구] 강화정, 김분한: 성인간호학회지 Vol.11-No.4 : 1999
[수술실에서의 지지간호가 수술직전 대상자의 불안감소에 미치는 영향] 조미자, 홍미순: 성인간호학회지 Vol.13-No.4 : 2001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1.25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61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