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의 기축통화 가능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안화의 기축통화 가능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기축통화로서의 위안화
1. 기축통화의 개념

2. 현재의 기축통화
2-1.
2-2.

3. 위안화의 국제화
3-1.
3-2.
3-3.

4. 위안화의 영향력
4-1.
4-2.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

화 방안은 중국경제의 영향력 증대와 환위험 방어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위안화의 기축통화 방안은 세계 경제활동에서 중국의 영향력과 발언권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중국이 세계화폐 발행과 조절을 주도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또한 타의에 의해 결정되는 환율 제도를 개선하여 글로벌 통화정책에 대한 여파를 완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실제로 위안화의 기축통화가 실현될 경우 국제 시뇨리지(seigniorage): 기축통화 발행국이 누릴 수 있는 혜택으로, 외환위기에 따른 위험을 통제할 수 있고,
환율문제 발생 시 타국에게 조정을 강요하여 자국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시뇨리지(seigniorage)에 따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시뇨리지는 발행자가 화폐 발행 특권을 활용해 소액의 지폐발행가와 액면가간 차액실현이 가능하며, 글로벌 통용화폐를 발행할 수 있는 권한은 타국으로부터 시뇨리지에 따른 기회비용을 징수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반면 위안화가 기축통화로 채택될 경우 금융안정, 거시경제 조정과 화폐 유동 모니터링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도 예상된다. 기축통화는 본국화폐에 대한 국제자본의 매매차익 투기를 부추길 수 있으며, 역외시장에서 위안화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국제 자본 유동성이 증가되어 국내 위안화에 대한 중앙은행의 통제력이 약화되고, 통제에 실패할 경우 거시경제에 악영향을 초래한다.
또한 역외 위안화의 수요와 유통에 대한 모니터링을 어렵게 하여 중앙은행의 위안화 관리에 부담으로 작용하며 국제적으로 위안화 유동성이 커지면서 밀수, 위폐, 돈세탁 등 불법 활동으로 유통되는 위안화가 중국 금융시장의 안정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
<위안화의 가치상승으로 인한 각국의 영향>
4-2 위안화의 기축통화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중국에 미치는 영향과 마찬가지로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이 혼재한다.
우선 긍정적인 영향으로는 머니투데이-中 위안화 절상 가시화, 韓 경제영향은?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0062012142046509&outlink=1
첫째, 원화의 위상이 달라질 수 있다. 국제투자은행들의 추측대로 원화가 위안화의 통화바스켓에 포함될 경우, 원화 환율 변화는 위안화 환율 변화를 유발하고 이것이 다시 원화 환율에 영향을 주게 된다. 두 환율 간에 상호의존성이 나타나면서 원화환율도 어느 정도 국제환율로서 작용하게 된다는 의미이다.
둘째, 국산제품의 가격 경쟁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위안화의 가치상승으로 중국을 제외한 해외시장에서 중국제품에 대한 가격경쟁력이 저하된다면 상대적으로 세계 시장에서 중국과 경쟁하고 있는 국산제품의 가격이 경쟁력이 커진다. 대표적으로 해외시장에서 직접적인 경쟁관계에 있는 플라스틱, 비철금속, 섬유 등이 수혜 업종으로 꼽힌다. 또한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력을 높여주어 중국 시장에 진출해있는 국내 기업에게도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셋째, 무역수지의 개선효과이다. 앞서 말한 이유처럼 국산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면 수출이 증가하여 무역수지의 개선을 가져다준다.
그러나 부정적인 영향도 만만치 않다.
아시안투데이-위안화 절상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44
첫째, 국내 중간재 수출기업의 수출이 감소할 것이다. 위안화 절상으로 중국의 구매력이 늘어나면서 우리나라 상품에 대한 수요가 늘고 우리 소비재 등의 수출품이 중국 수출품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수출기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간재 수출기업의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피할 수 없다. 위안화의 중국의 위안화 가치상승으로 해외수출이 줄어들게 되면 그만큼 국내 기업들의 중간재 수출도 줄어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둘째, 우리나라의 장바구니 물가가 높아질 위험이 있다. 현재 많은 분야의 상품들이 중국에서 수입된 제품이기 때문에 중국으로부터의 수입가격을 상승시켜 국내 물가에 적잖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Ⅲ. 결론
앞서 언급한 내용들과 현재 상황으로 앞으로의 위안화의 전망을 예측해본다면, 중국의 위안화는 아시아의 중심통화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중국은 장기적으로 위안화를 기축통화로 만들기 위해 실현가능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는데, 현재 위안화의 자유태환과 국제화→아시아지역의 중심통화→기축통화 순으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1차적으로 대만 및 홍콩 등 중화경제권과의 교역 시에 위안화의 사용을 확대하고 이후 동남아 전역으로 확대. 그 후 한국, 일본과의 교역에서도 위안화 결제 확대를 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점차 아시아권 국가들의 중국과의 교역이 증가함에 따라 위안화는 달러를 대신해 아시아의 중심통화로 성장할 여지가 크다. 중국과 아시아가 협력하여 위안화를 결제통화로 사용한다면 달러 보유의 필요성이 줄어들어 아시아 국가들에게 이득을 가져다 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 추구를 계기로 한국도 원화의 국제화에도 관심을 가지고 적극성을 보일 필요가 있으며, 역내 협력을 통한 환율 안정과 나아가 역내 공동통화의 창출을 통한 외환시장의 안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및 자료
◆ 연구자료 및 서적, 기사 ◆
- 환율이론과 국제수지 : 김철환 (시그마 프레스, 2010)
- 삼성경제연구소 - SERI 경제포커스 : 보이지 않는 통화 위안화 (박번순 작성)
- 중국삼성경제연구소 : China Business Focus (劉金賀 수석연구원 작성)
- 한국경제연구원 : 중국위안화 절상 전망과 파급효과 (김종석)
- 머니투데이 : 中 위안화 절상 가시화, 韓 경제영향은?
- 아시안투데이 : 위안화절상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 웹사이트 ◆
- WTO : http://www.wto.org/
- IMF : http://www.imf.org/
- 삼성경제연구소 : http://www.seri.org
- 아시안투데이 : http://www.asiatoday.co.kr
- 머니투데이 : http://www.mt.co.kr
- 네이버캐스트 : http://navercast.naver.com
  • 가격3,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1.26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62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