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심부름센터의 개념
2.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심부름센터의 사업 목적
3.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심부름센터 현황
① 장애인 심부름센터 인지 여부
② 장애인 심부름센터 이용 현황
③ 장애인 심부름센터 만족도
④ 장애인 심부름센터 향후 이용 희망 여부
4.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심부름센터 서비스 내용
5.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심부름센터 서비스 이용 실태
6.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심부름센터 서비스 내용에 따른 이용자 수
III. 결론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심부름센터의 나아가야 할 방향
*참고문헌
II. 본론
1.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심부름센터의 개념
2.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심부름센터의 사업 목적
3.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심부름센터 현황
① 장애인 심부름센터 인지 여부
② 장애인 심부름센터 이용 현황
③ 장애인 심부름센터 만족도
④ 장애인 심부름센터 향후 이용 희망 여부
4.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심부름센터 서비스 내용
5.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심부름센터 서비스 이용 실태
6.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심부름센터 서비스 내용에 따른 이용자 수
III. 결론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심부름센터의 나아가야 할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다. 각 센터마다 소지하고 있는 차량의 수가 많은 편이 아니기 때문에 서비스 이용을 원해도 바로 이용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원주 시각 장애인 심부름센터의 경우 장애인 차량 3대를 보유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하루 평균 60~70건의 신청이 밀리기 때문에 장애인들의 서비스 이용 욕구를 제대로 충족시켜주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서울의 경우 서울시에서 차량을 20대를 지원해주었으나 지방의 경우 아직까지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것이 안타까운 현실이다.
또 하나의 어려움은 시각장애인 심부름센터의 차량이 장애인들에게 이동 및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특별교통수단’ 에 선정되어야하지만 그렇지 못하다는 점이다. 특별교통수단에 선정되면 차량이용료가 인하되기 때문에 장애인들의 경제적인 부담을 덜 수 있다. 이 문제는 몇 년 전부터 제기되어 왔으며 시 의회에서 국회로 송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결과도 나오지 않은 상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부는 방관자로서의 태도가 아니라 이러한 문제를 조정 할 줄 아는 입장을 보여야 한다.
*참고문헌
장애인 이동권 보장 못하는 ‘편의증진법’, 에이블뉴스, 2011-10-12
서울시, 시각장애인심부름센터 차량 20대 증차, 에이블뉴스, 2009-04-16
경북시각장애인연합회, http://www.whitestick.or.kr/biz/a.php
충북시각장애인연합회, http://www.blind.or.kr/
서울시각장애인 심부름센터 http://kbuseoul.org/
장애인심부름센터 이용실태 및 이동욕구 조사연구, 이호상, 한신대학교, 2006
또 하나의 어려움은 시각장애인 심부름센터의 차량이 장애인들에게 이동 및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특별교통수단’ 에 선정되어야하지만 그렇지 못하다는 점이다. 특별교통수단에 선정되면 차량이용료가 인하되기 때문에 장애인들의 경제적인 부담을 덜 수 있다. 이 문제는 몇 년 전부터 제기되어 왔으며 시 의회에서 국회로 송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결과도 나오지 않은 상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부는 방관자로서의 태도가 아니라 이러한 문제를 조정 할 줄 아는 입장을 보여야 한다.
*참고문헌
장애인 이동권 보장 못하는 ‘편의증진법’, 에이블뉴스, 2011-10-12
서울시, 시각장애인심부름센터 차량 20대 증차, 에이블뉴스, 2009-04-16
경북시각장애인연합회, http://www.whitestick.or.kr/biz/a.php
충북시각장애인연합회, http://www.blind.or.kr/
서울시각장애인 심부름센터 http://kbuseoul.org/
장애인심부름센터 이용실태 및 이동욕구 조사연구, 이호상, 한신대학교, 2006
추천자료
장애인의 컨텐츠 이용실태 및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정신장애인 프로그램
[장애인자립생활]장애인자립생활의 이론적 배경, 장애인자립생활의 필요성, 장애인자립생활지...
[장애인복지][장애인자활]장애인자립생활의 개념과 철학, 장애인자립생활의 등장배경, 장애인...
장애인복지기관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과 최근 장애인 복지현장의 이슈를 알아본다.
장애인 자립생활
[성폭력][여성장애인 성폭력]성폭력의 개념, 성폭력의 종류, 여성장애인 성폭력의 현황, 여성...
우리나라 장애인 탈시설화 방향에 대해 논하시오
[내부장애, 내부장애 정의, 신장장애, 심장장애, 직업재활, 내부장애인, 장애인, 내부기관장...
[재가 복지 봉사센터] 삼성소리샘복지관
찾아가는 동주민센터가 계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장애인종합복지관이 수행해야 할 역할과 나...
찾아가는 동주민센터가 계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장애인종합복지관이 수행해야 할 역할과 나...
정신건강문제를 위한 국가적인 제도(건강가정 지원센터 바우처 제도 특수장애아 지원제도 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