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의 이론적 배경 및 목적
2. 실험재료
3. 실험방법
4. 실험결과
5. 토론 및 결론
6. 참고문헌
2. 실험재료
3. 실험방법
4. 실험결과
5. 토론 및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산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분석이 항상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므로, 칼슘과 마그네슘 경도를 별도로 측정하여 구하게 된다. 만일 칼슘 경도를 측정하였다면, 마그네슘 경도는 다음과 같이 전 경도에서 칼슘 경도를 뺀 값으로 결정한다.
총경도 = 칼숨경도+ 마그네슘 경도
(총경도= 일시경도+영구경도 와같으며 대부분의 경도가 칼슘과 마그네슘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총경도=칼슘경도+마그네슘 경도 라고도 표시 되어도 무방 하다고 한다.)
위 그림은 실험을 그림으로 대충 나타 낸 것이다. EBT용액은 pH10부근에서 청색을 띄지만 Ca2+, Mg2+ 등의 금속이온을 함유한 시료와 만나면 킬레이트화를 일으켜 적색~적자색이 된다. 여기서 EDTA 용액을 첨가를 하게 되면 EBT와 금속이온 착염의 안정도는 EDTA와 금속이온에 의해 만들어진 착염의 안정도보다 낮기 때문에 EBT 지시약과 결합되어 있던 금속이 EDTA와 반응하여 본래의 EBT 의 청색으로 복원되므로 이때를 종말점으로 잡아 총 경도를 구할수 있다. 이렇게 얻은 실험결과로 나는 총경도를 계산해본 결과 평균 73.37 (㎎/ℓ)이 나왔다.
그렇다면 칼슘경도나 마그네슘경도는 어떻게 구할까? 시료에다가 NaOH첨가시 Mg2++2OH-⇒Mg(OH)2↓을 형성하기 때문에 우리는 칼슘농도를 구할수 있게 된다. 총경도를 구하는것과 똑같은 방법으로 우리는 칼슘경도를 구할수 있으며 실험결과로부터 평균 8.17 (㎎/ℓ)으로 계
산 되었다.
실험도중 한 가지 궁금한 점이 있었는데 왜 완충용액을 넣는다는 것 이다. 찾아본 결과 완충용액(외부로부터 어느 정도의 산 또는 염기를 가해도 그것들의 영향을 받지 않고, 수소이온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려고 하는 용액)를 넣는 이유는 EDTA와 금속이온이 안정한 킬레이트 화합물을 만드는 데는 최적의 pH는 약 10이라고 하는데 적정이 진행됨에 따라 수소이온이 증가해 pH가 낮아진다고 한다. (H2Y2- + M2+ → MY2- + 2H+ , M2+=금속이온) pH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완충액이 필요하다고 한다.
근데 실험결과를 보면 유독 총경도에 비해 칼슘경도가 낮게 측정 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아마 시료자체에다가 칼슘보다는 마그네슘을 비중 있게 넣은 듯 싶다.
6. 참고문헌
일반화학 / 킬레이트, 리간드 부분.
환경화학 / 김덕찬, 배재호, 문경확 공역/ 동화기술 경도(Hardness)부분
수질환경 오염 시험법/ 김복현외 5명 / 동화기술
총경도 = 칼숨경도+ 마그네슘 경도
(총경도= 일시경도+영구경도 와같으며 대부분의 경도가 칼슘과 마그네슘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총경도=칼슘경도+마그네슘 경도 라고도 표시 되어도 무방 하다고 한다.)
위 그림은 실험을 그림으로 대충 나타 낸 것이다. EBT용액은 pH10부근에서 청색을 띄지만 Ca2+, Mg2+ 등의 금속이온을 함유한 시료와 만나면 킬레이트화를 일으켜 적색~적자색이 된다. 여기서 EDTA 용액을 첨가를 하게 되면 EBT와 금속이온 착염의 안정도는 EDTA와 금속이온에 의해 만들어진 착염의 안정도보다 낮기 때문에 EBT 지시약과 결합되어 있던 금속이 EDTA와 반응하여 본래의 EBT 의 청색으로 복원되므로 이때를 종말점으로 잡아 총 경도를 구할수 있다. 이렇게 얻은 실험결과로 나는 총경도를 계산해본 결과 평균 73.37 (㎎/ℓ)이 나왔다.
그렇다면 칼슘경도나 마그네슘경도는 어떻게 구할까? 시료에다가 NaOH첨가시 Mg2++2OH-⇒Mg(OH)2↓을 형성하기 때문에 우리는 칼슘농도를 구할수 있게 된다. 총경도를 구하는것과 똑같은 방법으로 우리는 칼슘경도를 구할수 있으며 실험결과로부터 평균 8.17 (㎎/ℓ)으로 계
산 되었다.
실험도중 한 가지 궁금한 점이 있었는데 왜 완충용액을 넣는다는 것 이다. 찾아본 결과 완충용액(외부로부터 어느 정도의 산 또는 염기를 가해도 그것들의 영향을 받지 않고, 수소이온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려고 하는 용액)를 넣는 이유는 EDTA와 금속이온이 안정한 킬레이트 화합물을 만드는 데는 최적의 pH는 약 10이라고 하는데 적정이 진행됨에 따라 수소이온이 증가해 pH가 낮아진다고 한다. (H2Y2- + M2+ → MY2- + 2H+ , M2+=금속이온) pH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완충액이 필요하다고 한다.
근데 실험결과를 보면 유독 총경도에 비해 칼슘경도가 낮게 측정 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아마 시료자체에다가 칼슘보다는 마그네슘을 비중 있게 넣은 듯 싶다.
6. 참고문헌
일반화학 / 킬레이트, 리간드 부분.
환경화학 / 김덕찬, 배재호, 문경확 공역/ 동화기술 경도(Hardness)부분
수질환경 오염 시험법/ 김복현외 5명 / 동화기술
추천자료
[직업][직종][유망직업][유망직종]생물공학기술자, 환경공학기술자, 철도기관사, 애견미용사,...
[기술자][엔지니어]기계공학기술자(기계공학기술자의 직업.자격)와 금속공학기술자(금속공학...
[기술자][자원공학기술자][자동차기술자][전기공학기술자][정보처리기술자][조경기술자][자원...
[기술자][직업][직종][엔지니어]측량기술자(측량기술자의 직업, 자격), 토목기술자(토목기술...
[환경화학] pH, 산도, 알칼리도
[건축환경공학]국내외 친환경 인증제도 및 건축사례
[건축환경공학]국내외 환경친화 건축물의 인증 및 평가제도와 적용 건축물 사례
환경, 해양생명공학 및 생물자원
[건축환경공학2] 층간소음의 저감방안 (Architectural Environmental Englineering)
[공학][교육공학][전자공학][기계공학][소프트웨어공학][환경공학][금융공학][인간공학][생명...
[공학][전자공학][통신공학][기계공학][조직공학][인체공학][소프트웨어공학][환경공학][전자...
자연모사공학.ppt
[환경공학] 환경호르몬에 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