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화학] pH, 산도, 알칼리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경화학] pH, 산도, 알칼리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pH의 정의과 계산법
- 산도
- 알칼리도
- 역가에 대한 정의

2. 실험방법
3. 실험결과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온도를 미세하게 측정하므로 세척이 매우 중요하며 보정도 계속 해주어야 한다. 이 외에도 이번 실험에서는 pH meter 사용법을 익힐 수 있었다.
* 산도
- 산도는 강염기를 중화시키는 능력을 뜻하는데 이번 실험에서 사용한 미지시료1의 총산도는 516, 무기산도는 495로 측정되었다. 뭔가 다른 비교대상이 없어서 뭐라 말하기에는 힘들지만 미지시료2를 이용하여 측정한 알칼리도와 비교해 본다면 비교적 높은 값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미지시료1은 강염기를 중화시키는 능력이 비교적 강한 용액으로서 pH가 꽤 낮은 강산임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또한 무기산도가 495로 비교적 높은 편이므로 맛도 좋지 않으며 마시기에는 부적절한 용액임을 알 수 있다.
* 알칼리도
- 알칼리도는 강산을 중화시키는 능력의 척도를 말하는데 이번 실험에서 사용한 미지시료2의 알칼리도는 142, 페놀프탈레인알칼리도는 121로 미지시료1의 산도에 비하여 낮은 편이다. 그러므로 미지시료2는 미지시료1에 비하여 강산(미지시료1의 경우 강염기)를 중화시키는 능력이 약한 용액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미지시료2의 pH는 그다지 높지 않다고 짐작해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알칼리도는 수 처리 과정에서 약품의 양, 약품 주입기의 크기, 저장장소 및 비용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실험데이터로 이용된다.
위의 산도와 알칼리도 실험을 하면서 공통적으로 문제가 되었던 점은 뷰렛의 사용이었다. 뷰렛을 사용하여 적정을 할 때 특히 산도의 경우는 51.6ml, 49.5ml라는 많은 양의 NaOH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50ml의 뷰렛을 사용하여 측정 하는 데에 어느 정도의 오차가 생겼을 것이다. 실제로 산도를 측정할 때 뷰렛에서 용액이 새어나와 오차 값이 매우 클 것이다. 또한 많은 양의 NaOH가 사용되다 보니 나중에는 많은 양의 용액의 한번에 떨어뜨려 정확하게 변한지점을 측정하는 것이 힘들었다.
5. 참고문헌
1) 조덕제, “식품분석-이론 및 실습”, 지구문화사.
2) 채수규, “표준식품 분석학”, 지구문화사.
3) Clair N. Sawyer,Perry L. McCarty,Gene F. Pakin,"환경화학",동화기술, 2003.
4) 전국보건관리학교수협의회, “공중보건학 연습”, 지구문화사, 2004.
5) 최정우, “상수도 공학”, 시그마프레스, 2000.
6) Oxtoby Nachtrieb Freeman, “일반화학”, 제4판, 청문각, 2005.

키워드

pH ,   산도,   알칼리도 ,   역가,   factor,   환경화학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7.03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40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