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본문내용
사회적응능력의 향상을 위해 전문가가 행하는 개별적, 의식적인 문제해결과정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ct의 욕구충족과 사회적 기능향상을 위해서 ct와 사회자원과의 연결과 조정을 통하여 보호하는 과정
차이점-목적
Case work
성격발달과 사회적 적응능력의 향상
사회자원의 연계, 동원 등
사례관리
보호의 연속성
비용효과성
접근성과 책임성
일차집단의 보호능력의 향상
일상생활기능의 향상
차이점-대상
Casework
특정한 문제 혹은 문제를 가지고 있는 ct
아동, 청소년, 가족, 여성 등
대체로 문제해결이 가능하고, 문제해결되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생활이 가능하다
사례관리
만성적인 장애의 ct
장애인이나 발달장애아동, 노인, 만성정신장애인, 만성신부전증 등 일상생활상의 장애를 가진 ct
문제가 다양하고 복합적이고 지속적이다-완전문제해결이 곤란
차이점-문제
Case work
사회부적응, 음주, 흡연, 청소년비행, 가족해체,가정폭력,부부갈등, 부모-자녀문제, 학교폭력 등
대체로 한사람의 ct가 특정문제를 가지고 있다.
사례관리
경제적인문제, 의료적인 문제, 일상생활을 지속하는데 어려움 등
사회적 자원의 활용이 용이치못한점
다양한 문제를 한 ct가 동시에 가짐
차이점 - 과정
Case work
초기면접-문제사정-개입목표수립, 개입-종결-사후관리 등
개입의 시작과 끝이 있음
사례관리
대상자발견-문제사정-개입목표수립-개입-개입과정을 모니터링과 재사정-과정평가에 의한 환류, 새로운 욕구발견 등
새로운 문제, 욕구에 대응해감
Case work
실천과정에 ct의 참여와 문제해결 의지가 필요
사례관리
공적차원에서 지원되는 각종 법률 및 제도와 정책적 기반이 선행되어야 함-각종연금, 급여, 수당제도 등
사회통합과 정상화가 가능할 수 있도록 사회적 합의
사례관리자에 의해 ct,가족,지역사회자원이 총망라되어 개발되고, 조직되어야 함
차이점-전문가의 특징
Case work
특정전문가에 의한 개입이 가능
사회복지사는 상담자 혹은 치료자, 중개자의 역할이 강조됨
사례관리
다양한 전문가들에 의한 팀접근이 요구
사회복지사는 ct차원에서 옹호와 대변자의 역할이 강조되며, 팀차원에서는 조정자의 역할이 요구됨
사례관리의 개입원칙(Gerhart, 1990)
서비스의 개별화
서비스제공의 포괄성
Ct 의 자율성의 극대화
서비스의 지속성
서비스의 연계성
3. 사례관리-개입과정
이번시간의 내용
- 사례관리의 개입과정
- What is social work?
*개입과정- 사정
(1) 욕구와 문제사정
- 개입의 우선순위
(2) 자원사정
- 이용성/ 수용성/ 적정성/ 접근성
(3) 장애물사정
- 환경 / ct 의 능력
/ ct 의 잘못된 신념, 태도, 가치 등
*개입과정- 계획
1단계- 상호목적수립하기
2단계- 우선순위정하기
3단계- 전략 수립하기
4단계- 전략 선택하기
5단계- 전략 실행하기
*개입과정- 개입
내부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직접적 개입으로 사례관리자는 실행자, 안내자, 교육자, 정보제공자, 지원자로 기능 한다.
외부자원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간접적으로 개입하는데 이때 사례관리자는 중개자, 연결자, 옹호자로 역할
-개입과정- 점검
서비스제공과 지원에 대해 사례관리자가 실행하는 활동적이고 유동적인 과정을 말한다.
서비스계획을 적절하게 실행하고 있는지,
서비스와 자원계획목표를 어느정도 성취했는가
서비스와 사회적 지지는 어느정도 산출했는가,
Ct 의 욕구 변화를 점검해서 서비스계획을 바꾸어야 하는지 등을 검토한다.
-개입과정- 평가
사례관리자가 만들고 조정한 서비스계획, 구성요소, 활동 등이 ct 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측정하는 과정이다.
평가는 ct 에 관한 서비스와 개입계획에 관한 평가, 목적달성에 대한 평가, 전반적인 사례관리 서비스효과에 대한 평가, ct 의 만족도에 관한 평가 등이 있다.
사례관리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개념
Client Level(이용자중심)
Coordination of Services(서비스조정)
서비스의 패키지
3. Integration(통합)
4. Continuity of care (케어의 계속성)
기관을 초월/ 일관성
사례관리실천의 함의
사례관리는 사회기능에 문제가 있는 개인의 기능을 회복하고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 성장 발전하도록 개인과 주변환경을 변화시키는 개입방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 통합적으로 개입해야 한다.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재가중심보호, 정신보건, 직업재활, 노인복지서비스, 발달장애서비스 등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가 필요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
What is Social Work -마무리
최근 우리사회는 급속히 발달하며, 변화하고 복잡, 다양화 되고 있다. 때문에 생활상의 문제 등으로 사회복지사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발생한다.
문제를 가진 클라이언트(ct)와 가족을 대상으로 개입을 위한 접근방법의 모색과 서비스제공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사는 개입과 서비스제공을 위한 전문직으로서의 공통적인 지식, 기술 및 가치 기반의 이해가 필요
사회복지실천론은 사회복지사가 이용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전문직으로서 원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접근방법과 필요한 지식, 기술, 가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이론과목
What is Social Work
Problems
개인적 문제 (Personal Problem)
심리사회적문제
가족문제 (Family Problem)
의존/ 아동학대/ 가정폭력 등
지역문제 ( Community Problem)
실업/ 가사/ 여가 등
What is Social Work
실천의 태도
Social work to the Individual or
Social work with the Individual
실천방법
Individual / Group / Communities
Research / Administration etc.
What is Social Work
목적
사회적 적응 Social Adjustment &
사회적 기능의 향상
(Enhancement of Social Functioning )
인간의 변화와 성장 가치의 실현
사회복지실천론 그 동안 수고 많으셨습니다
끝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ct의 욕구충족과 사회적 기능향상을 위해서 ct와 사회자원과의 연결과 조정을 통하여 보호하는 과정
차이점-목적
Case work
성격발달과 사회적 적응능력의 향상
사회자원의 연계, 동원 등
사례관리
보호의 연속성
비용효과성
접근성과 책임성
일차집단의 보호능력의 향상
일상생활기능의 향상
차이점-대상
Casework
특정한 문제 혹은 문제를 가지고 있는 ct
아동, 청소년, 가족, 여성 등
대체로 문제해결이 가능하고, 문제해결되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생활이 가능하다
사례관리
만성적인 장애의 ct
장애인이나 발달장애아동, 노인, 만성정신장애인, 만성신부전증 등 일상생활상의 장애를 가진 ct
문제가 다양하고 복합적이고 지속적이다-완전문제해결이 곤란
차이점-문제
Case work
사회부적응, 음주, 흡연, 청소년비행, 가족해체,가정폭력,부부갈등, 부모-자녀문제, 학교폭력 등
대체로 한사람의 ct가 특정문제를 가지고 있다.
사례관리
경제적인문제, 의료적인 문제, 일상생활을 지속하는데 어려움 등
사회적 자원의 활용이 용이치못한점
다양한 문제를 한 ct가 동시에 가짐
차이점 - 과정
Case work
초기면접-문제사정-개입목표수립, 개입-종결-사후관리 등
개입의 시작과 끝이 있음
사례관리
대상자발견-문제사정-개입목표수립-개입-개입과정을 모니터링과 재사정-과정평가에 의한 환류, 새로운 욕구발견 등
새로운 문제, 욕구에 대응해감
Case work
실천과정에 ct의 참여와 문제해결 의지가 필요
사례관리
공적차원에서 지원되는 각종 법률 및 제도와 정책적 기반이 선행되어야 함-각종연금, 급여, 수당제도 등
사회통합과 정상화가 가능할 수 있도록 사회적 합의
사례관리자에 의해 ct,가족,지역사회자원이 총망라되어 개발되고, 조직되어야 함
차이점-전문가의 특징
Case work
특정전문가에 의한 개입이 가능
사회복지사는 상담자 혹은 치료자, 중개자의 역할이 강조됨
사례관리
다양한 전문가들에 의한 팀접근이 요구
사회복지사는 ct차원에서 옹호와 대변자의 역할이 강조되며, 팀차원에서는 조정자의 역할이 요구됨
사례관리의 개입원칙(Gerhart, 1990)
서비스의 개별화
서비스제공의 포괄성
Ct 의 자율성의 극대화
서비스의 지속성
서비스의 연계성
3. 사례관리-개입과정
이번시간의 내용
- 사례관리의 개입과정
- What is social work?
*개입과정- 사정
(1) 욕구와 문제사정
- 개입의 우선순위
(2) 자원사정
- 이용성/ 수용성/ 적정성/ 접근성
(3) 장애물사정
- 환경 / ct 의 능력
/ ct 의 잘못된 신념, 태도, 가치 등
*개입과정- 계획
1단계- 상호목적수립하기
2단계- 우선순위정하기
3단계- 전략 수립하기
4단계- 전략 선택하기
5단계- 전략 실행하기
*개입과정- 개입
내부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직접적 개입으로 사례관리자는 실행자, 안내자, 교육자, 정보제공자, 지원자로 기능 한다.
외부자원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간접적으로 개입하는데 이때 사례관리자는 중개자, 연결자, 옹호자로 역할
-개입과정- 점검
서비스제공과 지원에 대해 사례관리자가 실행하는 활동적이고 유동적인 과정을 말한다.
서비스계획을 적절하게 실행하고 있는지,
서비스와 자원계획목표를 어느정도 성취했는가
서비스와 사회적 지지는 어느정도 산출했는가,
Ct 의 욕구 변화를 점검해서 서비스계획을 바꾸어야 하는지 등을 검토한다.
-개입과정- 평가
사례관리자가 만들고 조정한 서비스계획, 구성요소, 활동 등이 ct 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측정하는 과정이다.
평가는 ct 에 관한 서비스와 개입계획에 관한 평가, 목적달성에 대한 평가, 전반적인 사례관리 서비스효과에 대한 평가, ct 의 만족도에 관한 평가 등이 있다.
사례관리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개념
Client Level(이용자중심)
Coordination of Services(서비스조정)
서비스의 패키지
3. Integration(통합)
4. Continuity of care (케어의 계속성)
기관을 초월/ 일관성
사례관리실천의 함의
사례관리는 사회기능에 문제가 있는 개인의 기능을 회복하고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 성장 발전하도록 개인과 주변환경을 변화시키는 개입방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 통합적으로 개입해야 한다.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재가중심보호, 정신보건, 직업재활, 노인복지서비스, 발달장애서비스 등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가 필요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
What is Social Work -마무리
최근 우리사회는 급속히 발달하며, 변화하고 복잡, 다양화 되고 있다. 때문에 생활상의 문제 등으로 사회복지사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발생한다.
문제를 가진 클라이언트(ct)와 가족을 대상으로 개입을 위한 접근방법의 모색과 서비스제공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사는 개입과 서비스제공을 위한 전문직으로서의 공통적인 지식, 기술 및 가치 기반의 이해가 필요
사회복지실천론은 사회복지사가 이용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전문직으로서 원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접근방법과 필요한 지식, 기술, 가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이론과목
What is Social Work
Problems
개인적 문제 (Personal Problem)
심리사회적문제
가족문제 (Family Problem)
의존/ 아동학대/ 가정폭력 등
지역문제 ( Community Problem)
실업/ 가사/ 여가 등
What is Social Work
실천의 태도
Social work to the Individual or
Social work with the Individual
실천방법
Individual / Group / Communities
Research / Administration etc.
What is Social Work
목적
사회적 적응 Social Adjustment &
사회적 기능의 향상
(Enhancement of Social Functioning )
인간의 변화와 성장 가치의 실현
사회복지실천론 그 동안 수고 많으셨습니다
끝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론]사회복지실천 - 사 례 관 리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개입과정 _ 개입의 목표와 과업 및 개입기술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계획수립과정 _계획단계, 개입목표 설정, 계약(계약의 개념...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과정의 계획단계 목표설정과 계약 유형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과정의 개입단계 - 직접적 개입과 간접적 개입에 대한 이해와 ...
[사회복지실천론] 종결단계에서 평가의 중요성과 평가방법 및 유형과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
[사회복지실천론] 학습이론에 대한 체계적 분석과 학습이론의 사회복지 실천에서의 적용 및 한계
[사회복지실천론 과제] 사회복지사의 역할에서 기능수준과 개입수준에 따른 분류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 과정에서의 계획에 대한 이해 - 목적과 목표설정(목적의 유형...
[사회복지실천론] 개인(개별) 수준의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특징 및 기술(관여 기술, 전망하...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 과정에서의 개입에 대한 이해 - 개입단계의 중요성과 역할, ...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 윤리에 대한 이해(윤리의 정의, 절대주의와 상대주의)와 윤리...
[사회복지실천론] 집단 수준의 사회복지실천 - 집단의 개념, 집단의 유형, 집단 과정(집단 준...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 윤리에 대한 이해(윤리의 정의, 절대주의와 상대주의)와 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