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결과(단위 : mH)
2. 오차
3. 토의
2. 오차
3. 토의
본문내용
. 실제로 실험결과 인덕턴스를 직렬로 여러 개를 연결해 주었을 때의 합성 인덕턴스는 연결된 인덕턴스 만큼 증가하였으며, 병렬로 여러 개를 연결해 주었을 때의 합성 인덕턴스는 연결된 인덕턴스 만큼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실험에서는 오차가 제법 많이 나왔다. 3개의 인덕턴스를 병렬로 연결했을 때의 오차는 무려 20%를 넘었다. 각 실험을 3번씩 하면서 정밀성은 높였지만 정확도는 떨어지는 실험이었다. 분명 이번 실험에서는 딱히 오차가 발생할 이유는 없었다. 디지털 LCR 미터를 사용하고 아날로그 식으로 계기를 조정하고 읽을 것도 없어 정확한 측정값을 읽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오차의 이유를 굳이 생각해보자면 LCR 미터 내부의 저항 또는 전선 내부의 저항 때문에 오차가 발생하지 않았을까 한다.
이 실험에서는 오차가 제법 많이 나왔다. 3개의 인덕턴스를 병렬로 연결했을 때의 오차는 무려 20%를 넘었다. 각 실험을 3번씩 하면서 정밀성은 높였지만 정확도는 떨어지는 실험이었다. 분명 이번 실험에서는 딱히 오차가 발생할 이유는 없었다. 디지털 LCR 미터를 사용하고 아날로그 식으로 계기를 조정하고 읽을 것도 없어 정확한 측정값을 읽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오차의 이유를 굳이 생각해보자면 LCR 미터 내부의 저항 또는 전선 내부의 저항 때문에 오차가 발생하지 않았을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