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기구
3. 이론 및 원리
< 저항계>
<저항계의 원리>
1. 직렬형 저항계
2. 분류기형 저항계
2. 실험 기구
3. 이론 및 원리
< 저항계>
<저항계의 원리>
1. 직렬형 저항계
2. 분류기형 저항계
본문내용
비슷한 점이 있으며 회로는 Meter와 Zero Ohm 배율기, Range 분류저항 및 DC Source(또는 Battery)등으로 구성된다. Meter의 감도는 보통 50 ㎂ ∼ 1 ㎃(FS)의 것으로 내부저항은 대게 500 Ω ∼ 1 ㏀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특수한 목적에 사용되는 것으로서는 접지(接地)저항계 ·접점(接點)저항계 등이 있다.
<저항계의 원리>
* 미지저항의 측정은 측정코자 하는 저항 값의 대소에 따라 계기의 결선방법을 달리함으로써 오차를 줄일 수 있다.
* 매우 높은 저항이나 매우 낮은 저항은 다양한 브리지 회로를 사용하여 더욱 정확하게 측정이 가능하다.
1. 직렬형 저항계
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가동코일형 계기에 전류제한 저항과 전지가 접속된 형태
가동코일에 흐르는 전류는 미지저항의 크기에 따라 변화
계기의 지시치는 미지저항의 값에 반비례
- 직렬형 저항계의 눈금표시
* 직렬형 저항계의 단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부전지 전압이 강하 ---> AB가 단락 되어도 완전한 0을 지시하 지 않음 ---> 전지전압의 변화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를 조정한다.
- 직렬혈 저항계의 설계
2. 분류기형 저항계
- 저저항 측정에 사용
특수한 목적에 사용되는 것으로서는 접지(接地)저항계 ·접점(接點)저항계 등이 있다.
<저항계의 원리>
* 미지저항의 측정은 측정코자 하는 저항 값의 대소에 따라 계기의 결선방법을 달리함으로써 오차를 줄일 수 있다.
* 매우 높은 저항이나 매우 낮은 저항은 다양한 브리지 회로를 사용하여 더욱 정확하게 측정이 가능하다.
1. 직렬형 저항계
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가동코일형 계기에 전류제한 저항과 전지가 접속된 형태
가동코일에 흐르는 전류는 미지저항의 크기에 따라 변화
계기의 지시치는 미지저항의 값에 반비례
- 직렬형 저항계의 눈금표시
* 직렬형 저항계의 단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부전지 전압이 강하 ---> AB가 단락 되어도 완전한 0을 지시하 지 않음 ---> 전지전압의 변화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를 조정한다.
- 직렬혈 저항계의 설계
2. 분류기형 저항계
- 저저항 측정에 사용
추천자료
압력센서
총인(TP)아스코르빈산 환원법
총인, 철(사전보고서, 결과보고서)
환경공학실험 수질검사 실험
체적식 유량계의 교정
유량특정계 장,단점
COD실험_중크롬산칼륨법
질소산화물(NOX)
로크웰 경도시험(Rockwell hardness test) -황동, 청동, 탄소강의 경도
압력계 (액주계와 기타 압력계).ppt
철실험 보고서
[열역학] 온도계(溫度計 / thermometer)와 압력계 (壓力計 / manometer)
02장 길이length와 곡률반경(예비)
경도조사 - 로크웰 경도(Rockwell hardness) 시험기와 비커스 경도(Vicker1s hardness) 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