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1-1 COD정의..................................................................2
1-1 실험목적...................................................................2
1-3 측정원리...................................................................2
Ⅱ. 실험방법
2-1 준비물_기기 및 시약................................................2
2-2 실험방법...................................................................3
2-3 시약원리...................................................................3
Ⅲ. 실험과정
3-1 실험과정...................................................................4
Ⅳ. 실험결과
4-1 실험결과...................................................................6
Ⅴ 결론
5-1 결론..........................................................................6
5-2 비교분석...................................................................7
Ⅰ. 서론
1-1 COD정의..................................................................2
1-1 실험목적...................................................................2
1-3 측정원리...................................................................2
Ⅱ. 실험방법
2-1 준비물_기기 및 시약................................................2
2-2 실험방법...................................................................3
2-3 시약원리...................................................................3
Ⅲ. 실험과정
3-1 실험과정...................................................................4
Ⅳ. 실험결과
4-1 실험결과...................................................................6
Ⅴ 결론
5-1 결론..........................................................................6
5-2 비교분석...................................................................7
본문내용
린 지시약을 약 3방울 정도 첨가한다. 그리고 색이 잘 변하도록 살살 흔들어 준다.
(실제 실험에서는 제작한 시약 페난트로린이 너무 묽어서 갈색병에 페난트로린 시액도 같이 넣었으므로 거의 6방울정도 넣었다.)
⑦ 1.10 페난트로린 지시약을 넣은 후, 옅은 녹색으로 변한 증류수와 시료수.
⑧ 0.025N 황산 제 1철 암모늄용액(FAS)로 청록색에서 청적색이 되는 점까지 적정한다.
4) 실험결과
계산 : COD(O₂mg/L) = (A-B) × 0.025 × 8 × f × 1000/V
A : SAMPLE 적정량(mL)
B : BLANK 적정량(mL)
V : SAMPLE 량(mL)
실험결과)
A : 2.9mL
B : 1.9mL
V : 100mL
f : 1.004
→
COD = (2.9 - 1.9)× 0.025 × 8 × f × 1000/100
= 1.0 × 0.025 × 8 × 1.004 × 10
= 0.025 × 8 × 1.004 × 10
= 2.008 ≒ 2 ppm
5) 결론
① 결론
시료수와 증류수를 놓고 비교하여 얻은 결과 값은 시료수에 2.9mL가량의 FAS용액을 첨가하여 적색으로 변색하였고, 증류수에는 1.9mL가량 첨가하여 색이 변하였다. 이 점을 통하여 COD값이 2ppm가 나왔는데, 수질 환경 기준에서 1급수를 1ppm 이하, 2급수는 3ppm 이하로 규정하고 있어, 우리가 실험한 시료의 급수는 2급수이다.
② 비교분석
첫 번째 COD 측정 방법은 과망간산칼륨에 의한 실험법이었으며, 이번에 실험한 COD 측정 방법은 중크롬산칼륨에 의한 실험법이었다.
두 가지 실험법은 넣는 시약에도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방법도 약간씩 차이가 있었다. 우선 망간법에 의한 실험에서는 시료수와 증류수 각각을 100mL로 담아서 실험을 하였지만, 크롬법에 의한 실험에서는 시료수가 COD 값에 의해서 넣는 양을 달리하였고, 시료수+증류수까지 합해 100mL를 담아서 실험을 하였다. 생각으로는 증류수와 시료수를 섞는 이유가 산화력의 차이가 아닌가 싶다. 과망간산보다 중크롬산이 더욱 산화를 잘 시키기 때문에 과망간산 실험 때의 값과 비슷하게 만들기 위해서 한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과망간산칼륨 실험에서는 황산은을 사용하였으며, 중크롬산칼륨 실험에서는 황산수은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넣는 시약만 다를 뿐, 넣는 이유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첫 실험의 황산은 사용은 Cl을 제거해 방해를 방지하는 역할이었으며, 또한 황산수은도 첨가하는 이유도 Cl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COD값의 차이가 있다. 비록 과망간산칼륨 실험에서와 중크롬산칼륨 실험에 쓰인 시료수는 달랐지만, 많은 정보를 찾아본 결과 실제로 과망간산 실험값보다 중크롬산 실험값이 더 높게 나온다는 것이었다.
그 이유는 산화력의 차이라고 한다. 과망간산보다 중크롬산이 산화력이 더 강해 유기물이 거의 완전에 가까울 정도로 산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과망간산이 산화시키지 못한 유기물질들마저 산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크롬산칼륨 실험측정값이 더 높게 나온다고 한다.
(실제 실험에서는 제작한 시약 페난트로린이 너무 묽어서 갈색병에 페난트로린 시액도 같이 넣었으므로 거의 6방울정도 넣었다.)
⑦ 1.10 페난트로린 지시약을 넣은 후, 옅은 녹색으로 변한 증류수와 시료수.
⑧ 0.025N 황산 제 1철 암모늄용액(FAS)로 청록색에서 청적색이 되는 점까지 적정한다.
4) 실험결과
계산 : COD(O₂mg/L) = (A-B) × 0.025 × 8 × f × 1000/V
A : SAMPLE 적정량(mL)
B : BLANK 적정량(mL)
V : SAMPLE 량(mL)
실험결과)
A : 2.9mL
B : 1.9mL
V : 100mL
f : 1.004
→
COD = (2.9 - 1.9)× 0.025 × 8 × f × 1000/100
= 1.0 × 0.025 × 8 × 1.004 × 10
= 0.025 × 8 × 1.004 × 10
= 2.008 ≒ 2 ppm
5) 결론
① 결론
시료수와 증류수를 놓고 비교하여 얻은 결과 값은 시료수에 2.9mL가량의 FAS용액을 첨가하여 적색으로 변색하였고, 증류수에는 1.9mL가량 첨가하여 색이 변하였다. 이 점을 통하여 COD값이 2ppm가 나왔는데, 수질 환경 기준에서 1급수를 1ppm 이하, 2급수는 3ppm 이하로 규정하고 있어, 우리가 실험한 시료의 급수는 2급수이다.
② 비교분석
첫 번째 COD 측정 방법은 과망간산칼륨에 의한 실험법이었으며, 이번에 실험한 COD 측정 방법은 중크롬산칼륨에 의한 실험법이었다.
두 가지 실험법은 넣는 시약에도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방법도 약간씩 차이가 있었다. 우선 망간법에 의한 실험에서는 시료수와 증류수 각각을 100mL로 담아서 실험을 하였지만, 크롬법에 의한 실험에서는 시료수가 COD 값에 의해서 넣는 양을 달리하였고, 시료수+증류수까지 합해 100mL를 담아서 실험을 하였다. 생각으로는 증류수와 시료수를 섞는 이유가 산화력의 차이가 아닌가 싶다. 과망간산보다 중크롬산이 더욱 산화를 잘 시키기 때문에 과망간산 실험 때의 값과 비슷하게 만들기 위해서 한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과망간산칼륨 실험에서는 황산은을 사용하였으며, 중크롬산칼륨 실험에서는 황산수은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넣는 시약만 다를 뿐, 넣는 이유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첫 실험의 황산은 사용은 Cl을 제거해 방해를 방지하는 역할이었으며, 또한 황산수은도 첨가하는 이유도 Cl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COD값의 차이가 있다. 비록 과망간산칼륨 실험에서와 중크롬산칼륨 실험에 쓰인 시료수는 달랐지만, 많은 정보를 찾아본 결과 실제로 과망간산 실험값보다 중크롬산 실험값이 더 높게 나온다는 것이었다.
그 이유는 산화력의 차이라고 한다. 과망간산보다 중크롬산이 산화력이 더 강해 유기물이 거의 완전에 가까울 정도로 산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과망간산이 산화시키지 못한 유기물질들마저 산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크롬산칼륨 실험측정값이 더 높게 나온다고 한다.
추천자료
아황산가스(SOX)의 농도
활성산소와 인체의영향
[과외]중학 기술 3-08 제조 공업 02 객관식 01
약제의 대사와 약인성 간 손상의 기전
[분석화학실험]산화환원적정
산화 환원 적정 과망간산법 실험보고서 (대학화학 실험)
산화 환원 적정 과망간산법 실험보고서 (대학화학 실험)
식품위생학 2차과제
[산화, 세포산화조절, 일산화탄소, 이산화염소]산화와 세포산화조절, 산화와 일산화탄소, 산...
사용자가 웹브라우저의 주소창에 ‘http://www.daum.net (다음)’ 을 입력하여 인터넷에서 통신...
항공기 부식의 종류와 부식 방지법
[환경기기분석][PBL 과제] [강우시 중랑천 물고기들의 집단 폐사 원인]
[인터넷과 정보사회] ①PC 제외한 주변의 사용가능한 컴퓨팅 기능 장치 3가지 선택, 각제품 입...
≪ 구글Google의 성공전략과 마케팅전략 ≫ 구글 기업분석과 SWOT분석과 구글 경영 성공요인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