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시판 식품중에 함유된 식품첨가물의 용도와 특성
1. 크런키 - 탄산수소나트륨, 레시틴
2. 나가사끼 짬뽕 - 구아검, 향미증진제, 정제염
3. 냉동만두 - 에르솔빈산(산화방지제), 인산나트륨
4. 비엔나 소시지 - 아질산나트륨(발색제), 살리실산
4. 청량음료 - 타르색소, 감미료(시카린)
Ⅲ. 결론
※ 참고 문헌 ※
Ⅱ. 본론 - 시판 식품중에 함유된 식품첨가물의 용도와 특성
1. 크런키 - 탄산수소나트륨, 레시틴
2. 나가사끼 짬뽕 - 구아검, 향미증진제, 정제염
3. 냉동만두 - 에르솔빈산(산화방지제), 인산나트륨
4. 비엔나 소시지 - 아질산나트륨(발색제), 살리실산
4. 청량음료 - 타르색소, 감미료(시카린)
Ⅲ. 결론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용색소 녹색 제3호
알루미늄레이크
견과류, 음료류, 아이스크림류 등
식용색소 청색 제1호
알루미늄레이크
빵 및 떡류, 견과류, 사탕류, 초콜릿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음료류, 캅셀 등
(녹색계 식품, 팥색, 검음색, 초콜릿색 등의 배합에 사용)
인디고이드계
식용색소 청색 제2호
알루미늄레이크
과자류, 사탕류, 청량음료 등
(초콜릿색, 녹색, 팥색, 차색, 커피색 등의 배합에 사용)
2) 특성
① 문제점
- 석유에서 추출한 물질로 미국은 발암성을 이유로 적색2호의 사용을 금지했다.
- 유럽연합은 황색4호를 천식유발물질로 간주하고 있으며, 황색5호는 동물실험 에서 종양세포를 만든다는 보고가 있다.
- 청색1호는 어린이들에게 활동과다를 유발한다는 이유로 섭취제한을 권고하고 있다.
- 적색40호는 쥐에서 암 발생이 보고되어 사용과 관련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② 식품의 색은 식욕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식품의 신선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타르색소를 쓰면 시각적으로 식품을 더욱 맛있게 보일 수 있으므로 더 많은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 감미료(시카린)
당질을 제외한 감미를 가지고 있는 화학적 제품을 총칭해서 합성 감미료라고 합니다.
1) 사용 식품 : 청량음료, 간장, 과자, 빙과류
2) 특성
① 기능 : 단맛을 내며 설탕의 수백배 효과를 내는 물질
② 영양가는 거의 없으며, 많은 량을 섭취하면 인체에 유해하므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③ 천연물을 재결정하여 얻은 설탕은 과잉섭취하면 당뇨병, 심장장애 등 성인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④ 사카린 나트륨은 흔히 사카린으로 불리며 물에 잘 녹으며 그 감미는 설탕의 250 ∼ 500배입니다.
⑤ 부작용 : 소화기, 콩팥장애, 발암성, 흰쥐 경구에 투여하면 뇌등에 중상, 자궁 암, 방광암, 토끼의 경구에 투여하여 골격 이상 등을 발견 합니다.
Ⅲ. 결론
왜 식품첨가물이 모든 식품에 표기되어 있는지 알 것 같았다. 몸에 해롭다고 직접적으로 써있는 것이 아니라 식품첨가물을 표기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그것을 보고 판단하고 사라는 일종의 경고이자 메시지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대부분 식품에 관심이 두는 사람이 아니고서는 식품첨가물의 용어를 보고 그것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부작용이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몸에 해로운 식품첨가물이 첨가된 식품을 계속 먹고 있다. 이번 과제를 통해서 어떤 식품첨가물이 몸에 해롭고 또 크게는 암을 유발하는 것에 대해서 알게되었다. 이것을 토대로 앞으로 식품을 사는데 있어 유심히 보고 사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 참고 문헌 ※
ㆍ식탁위의 식품첨가물 공포와 부엌의 혁명, 송재철 저(2008년)
ㆍ식품위생학, 장동석 저(2006년), 정문각
http://blog.naver.com/immunitycore?Redirect=Log&logNo=140140567824
ㆍhttp://gingerpeopleblog.co.kr/70123417495
ㆍhttp://xronos.blog.me/20054559496
ㆍhttp://blog.naver.com/bsea22?Redirect=Log&logNo=130119704233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3&dirId=13050402&docId=139169781&qb=7Iud7ZKI7LKo6rCA66y8IOyLne2SiA==&enc=utf8§ion=kin&rank=5&search_sort=0&spq=0&pid=gW9N7F5Y7blssba9Czwssc--269513&sid=Tt9AjMQr304AACYj4xk
알루미늄레이크
견과류, 음료류, 아이스크림류 등
식용색소 청색 제1호
알루미늄레이크
빵 및 떡류, 견과류, 사탕류, 초콜릿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음료류, 캅셀 등
(녹색계 식품, 팥색, 검음색, 초콜릿색 등의 배합에 사용)
인디고이드계
식용색소 청색 제2호
알루미늄레이크
과자류, 사탕류, 청량음료 등
(초콜릿색, 녹색, 팥색, 차색, 커피색 등의 배합에 사용)
2) 특성
① 문제점
- 석유에서 추출한 물질로 미국은 발암성을 이유로 적색2호의 사용을 금지했다.
- 유럽연합은 황색4호를 천식유발물질로 간주하고 있으며, 황색5호는 동물실험 에서 종양세포를 만든다는 보고가 있다.
- 청색1호는 어린이들에게 활동과다를 유발한다는 이유로 섭취제한을 권고하고 있다.
- 적색40호는 쥐에서 암 발생이 보고되어 사용과 관련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② 식품의 색은 식욕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식품의 신선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타르색소를 쓰면 시각적으로 식품을 더욱 맛있게 보일 수 있으므로 더 많은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 감미료(시카린)
당질을 제외한 감미를 가지고 있는 화학적 제품을 총칭해서 합성 감미료라고 합니다.
1) 사용 식품 : 청량음료, 간장, 과자, 빙과류
2) 특성
① 기능 : 단맛을 내며 설탕의 수백배 효과를 내는 물질
② 영양가는 거의 없으며, 많은 량을 섭취하면 인체에 유해하므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③ 천연물을 재결정하여 얻은 설탕은 과잉섭취하면 당뇨병, 심장장애 등 성인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④ 사카린 나트륨은 흔히 사카린으로 불리며 물에 잘 녹으며 그 감미는 설탕의 250 ∼ 500배입니다.
⑤ 부작용 : 소화기, 콩팥장애, 발암성, 흰쥐 경구에 투여하면 뇌등에 중상, 자궁 암, 방광암, 토끼의 경구에 투여하여 골격 이상 등을 발견 합니다.
Ⅲ. 결론
왜 식품첨가물이 모든 식품에 표기되어 있는지 알 것 같았다. 몸에 해롭다고 직접적으로 써있는 것이 아니라 식품첨가물을 표기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그것을 보고 판단하고 사라는 일종의 경고이자 메시지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대부분 식품에 관심이 두는 사람이 아니고서는 식품첨가물의 용어를 보고 그것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부작용이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몸에 해로운 식품첨가물이 첨가된 식품을 계속 먹고 있다. 이번 과제를 통해서 어떤 식품첨가물이 몸에 해롭고 또 크게는 암을 유발하는 것에 대해서 알게되었다. 이것을 토대로 앞으로 식품을 사는데 있어 유심히 보고 사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 참고 문헌 ※
ㆍ식탁위의 식품첨가물 공포와 부엌의 혁명, 송재철 저(2008년)
ㆍ식품위생학, 장동석 저(2006년), 정문각
http://blog.naver.com/immunitycore?Redirect=Log&logNo=140140567824
ㆍhttp://gingerpeopleblog.co.kr/70123417495
ㆍhttp://xronos.blog.me/20054559496
ㆍhttp://blog.naver.com/bsea22?Redirect=Log&logNo=130119704233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3&dirId=13050402&docId=139169781&qb=7Iud7ZKI7LKo6rCA66y8IOyLne2SiA==&enc=utf8§ion=kin&rank=5&search_sort=0&spq=0&pid=gW9N7F5Y7blssba9Czwssc--269513&sid=Tt9AjMQr304AACYj4xk
추천자료
식품위생학에서 HACCP제도에 관한 분석
[HACCP][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식품위생관리][식품관리][위생관리]HACCP의 역사, HACCP...
2012년 2학기 식품위생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HACCP의 개념과 김밥제조과정 적용)
2012년 2학기 식품위생학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2학기 식품위생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위해요소중점 관리기준 HACCP)
HACCP에 대해서
2014년 2학기 식품위생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위해요소중점 관리기준 HACCP)
[식품위생학]화학적 식중독에 관한 이해(환경요인 및 화학성 식중독의 유형과 내용의 이해)
[식품위생학]세균성 식중독에 관한 이해
2015년 2학기 식품위생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HACCP 정의, HA와 CCP의 개념)
(식품위생학 공통)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의 정의와 위해분석와 중요관리점의 개념 및 HACCP의...
[식품위생학 4공통]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의 정의와 위해분석와 중요관리점의 개념 및 HACCP...
2017년 2학기 식품위생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용혈성 요독증후군, 식중독 CCP 설정)
식품위생학 ) 소위 햄버거 병이라 일컬어지는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