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하여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 인슐린 투여가 필요, 보통 소아에 호발
인슐린 비의존형(NIDD; type Ⅱ)인슐린 저항성이 중요한 발병 원인 바이러스나 자가 면역 등과는 관계가 없다, 혈중 인슐린 농도는 정상이거나 혹은 약간 증가되어 있기도 하고 약간 낮기도 하다, 성인에 호발하고 특히 비만형 체질에 많이 발병
2차성 당뇨병췌장질환이나 내분비질환, 약물중독, 인슐린 수용체 이상이나 유전성질환 등과 동반되며 증상은 일반적 당뇨병과 같다.
내당능 장애(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당부하 검사상으로는 정상과 당뇨병의 중간형태이며 혈관질환의 위험성이 있다고는 하나, 임상적으로는 뚜렸한 신장질환이나 망막질환 등이 동반되지 않는다.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GDM)임신기간 중 내당력 감소가 나타나는데 이것은 인슐린 저항성 등의 복잡한 내분비 대사요인들이 관여한다. 당뇨병 환자가 임신을 했을 경우에는 이 부류에서 제외된다, 주산기 합병증이 흔히 동반되며 출산 후 5~10년 후에 당뇨병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다
대사장애로 인한 고혈당증으로 인해 갈증, 다뇨, 다식, 체중감소, 권태, 피로감 등이 나타나게 된다.
고혈당증에 의한 합병증에 의해 시력장애, 망막증, 신경통, 지각이상, 피부소양감, 폐렴, 질염 등과 동맥경화증, 협심증, 고혈압, 당뇨병성 신장증 등이 초래
종양
섬세포종(islet cell tumor; insulinoma)췌장 β세포 종양 중 가장 빈도가 높은 종양으로, 인슐린을 과잉 분비하여 저혈당을 초래하는 β세포 유래의 종양으로 insulinoma라고도 한다. 대게는 1~2cm의 작은 악성종양이지만 간혹 악성으로 전이되기도 한다.
Zollinger-Ellison 증후군가스트린을 분비하는 선종으로 위액의 과잉분비를 일으켜서 위, 십이지장, 공장에 난치성궤양을 만든다. 가스트린을 분비하는 non-β췌장샘 세포의 종양이며, 약 50%는 악성으로 진행
흉강, 흉막의 질환
비염증성 흉막 삼출
흉수종(hydrothorax, 수흉)흉강 내 비염증성 혈장성 액체가 축적되는 것, 원인은 심부전증이 가장 많으며 저단백혈증이나 간경화증 때도 나타난다. 원인이 제거되면 대게 합병증 없이 치유
혈흉(hemothorax)흉강 내의 혈액 축적을 말한다, 거의가 대부분 동맥류 파열에 기인하며 수분 내지 수시간 이내에 사망
유미흉(chylothorax)흉강 내에 림프액이 축적되는 것을 말하는데 지방을 다량 함유하여 우유빛으로 보인다. 원인으로는 흉강내 악성종양에 의하며, 악성림프종고과 전이암이 가장 많다.
기흉(pneumothorax)공기나 가스가 흉강내에 존재, 우발적 손상이나 치료의 목적의 처치 후에 나타남, 우발적 기흉의 원인 지환으로는 폐기종, 기관지 천식, 폐결핵 및 폐농양 등이 있다. 특발성 기흉은 비교적 젊은 성인에게 많고 폐첨부의 흉막하 수포의 파열이 원인, 폐를 압박하여 호흡 곤란을 초래하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중요
흉막종양(pleural tumor)
중피종(mesothelioma)흉막의 종양 중 가장 대표적인 원발성 종양으로 발생빈도는 매우 낮으나 석면에 장기간 노출되었을 때 발생률이 높다. 임상적으로 흉통, 호흡곤란, 반복되는 흉수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진단 후 12개월 내에 50%가 사망
종격동염(medi astinitis)주로 경부의 감염확산이나 기관식도의 천공에 의해 일어난다. 강알칼리나 강산 등을 잘못 마셨을 경우에도 일어난다.
참고자료 : 병리학 책을 기본으로 내과학Ⅱ(해리슨 내과학 편찬위원회 편), 가정의학(의학교육 연수원편), 병리학(대한병리학회,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을 추가해서 썼습니다^^
인슐린 비의존형(NIDD; type Ⅱ)인슐린 저항성이 중요한 발병 원인 바이러스나 자가 면역 등과는 관계가 없다, 혈중 인슐린 농도는 정상이거나 혹은 약간 증가되어 있기도 하고 약간 낮기도 하다, 성인에 호발하고 특히 비만형 체질에 많이 발병
2차성 당뇨병췌장질환이나 내분비질환, 약물중독, 인슐린 수용체 이상이나 유전성질환 등과 동반되며 증상은 일반적 당뇨병과 같다.
내당능 장애(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당부하 검사상으로는 정상과 당뇨병의 중간형태이며 혈관질환의 위험성이 있다고는 하나, 임상적으로는 뚜렸한 신장질환이나 망막질환 등이 동반되지 않는다.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GDM)임신기간 중 내당력 감소가 나타나는데 이것은 인슐린 저항성 등의 복잡한 내분비 대사요인들이 관여한다. 당뇨병 환자가 임신을 했을 경우에는 이 부류에서 제외된다, 주산기 합병증이 흔히 동반되며 출산 후 5~10년 후에 당뇨병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다
대사장애로 인한 고혈당증으로 인해 갈증, 다뇨, 다식, 체중감소, 권태, 피로감 등이 나타나게 된다.
고혈당증에 의한 합병증에 의해 시력장애, 망막증, 신경통, 지각이상, 피부소양감, 폐렴, 질염 등과 동맥경화증, 협심증, 고혈압, 당뇨병성 신장증 등이 초래
종양
섬세포종(islet cell tumor; insulinoma)췌장 β세포 종양 중 가장 빈도가 높은 종양으로, 인슐린을 과잉 분비하여 저혈당을 초래하는 β세포 유래의 종양으로 insulinoma라고도 한다. 대게는 1~2cm의 작은 악성종양이지만 간혹 악성으로 전이되기도 한다.
Zollinger-Ellison 증후군가스트린을 분비하는 선종으로 위액의 과잉분비를 일으켜서 위, 십이지장, 공장에 난치성궤양을 만든다. 가스트린을 분비하는 non-β췌장샘 세포의 종양이며, 약 50%는 악성으로 진행
흉강, 흉막의 질환
비염증성 흉막 삼출
흉수종(hydrothorax, 수흉)흉강 내 비염증성 혈장성 액체가 축적되는 것, 원인은 심부전증이 가장 많으며 저단백혈증이나 간경화증 때도 나타난다. 원인이 제거되면 대게 합병증 없이 치유
혈흉(hemothorax)흉강 내의 혈액 축적을 말한다, 거의가 대부분 동맥류 파열에 기인하며 수분 내지 수시간 이내에 사망
유미흉(chylothorax)흉강 내에 림프액이 축적되는 것을 말하는데 지방을 다량 함유하여 우유빛으로 보인다. 원인으로는 흉강내 악성종양에 의하며, 악성림프종고과 전이암이 가장 많다.
기흉(pneumothorax)공기나 가스가 흉강내에 존재, 우발적 손상이나 치료의 목적의 처치 후에 나타남, 우발적 기흉의 원인 지환으로는 폐기종, 기관지 천식, 폐결핵 및 폐농양 등이 있다. 특발성 기흉은 비교적 젊은 성인에게 많고 폐첨부의 흉막하 수포의 파열이 원인, 폐를 압박하여 호흡 곤란을 초래하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중요
흉막종양(pleural tumor)
중피종(mesothelioma)흉막의 종양 중 가장 대표적인 원발성 종양으로 발생빈도는 매우 낮으나 석면에 장기간 노출되었을 때 발생률이 높다. 임상적으로 흉통, 호흡곤란, 반복되는 흉수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진단 후 12개월 내에 50%가 사망
종격동염(medi astinitis)주로 경부의 감염확산이나 기관식도의 천공에 의해 일어난다. 강알칼리나 강산 등을 잘못 마셨을 경우에도 일어난다.
참고자료 : 병리학 책을 기본으로 내과학Ⅱ(해리슨 내과학 편찬위원회 편), 가정의학(의학교육 연수원편), 병리학(대한병리학회,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을 추가해서 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