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 뉴 거버넌스와 신공공관리론의 비교
1. 신공공관리론과 뉴거버넌스의 관계
2. 뉴거버넌스의 평가
Ⅲ. 결론
Ⅱ. 뉴 거버넌스와 신공공관리론의 비교
1. 신공공관리론과 뉴거버넌스의 관계
2. 뉴거버넌스의 평가
Ⅲ. 결론
본문내용
별되는 개념이다. 즉 뉴 거버넌스는 국민국가라는 한정된 범위가 아니라 정부조직(계층제)과 기업, 시민사회, 세계체제 등 이들 모두가 공공서비스와 관련하여 네트워크(연계, 상호작용)를 강조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된다. 따라서 신공공관리론과 뉴거버넌스론은 때로는 동의어로 인식되기도 한다. 그러나 신공공관리론과 뉴거버넌스론은 근본적으로 상이한 개념이다. 뉴거버넌스론이 정부와 사회간의 새로운 상호작용의 형태를 의미하는 반면 (Rhodes, 1997), 신공공관리론은 정부관료제를 조직.관리하는 새로운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신공공관리론이 비정치적인 개념인 반면, 뉴거버넌스론은 정치적인 개념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신공공관리론은 정치행정 이원론에 가깝지만, 뉴거버넌스이론은 정치행정일원론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추천자료
환경 영향 평가에 대한 고찰과 발전 방향
독립규제위원회 제도의 보편적인 형태와 거래비용적 접근
전자상거래(EC)의 형태, 전자상거래(EC)의 허와 실, 전자상거래(EC) 시장 주요동향, 전자상거...
[디지털][디지털혁명][디지털화][디지털경제][디지털시장][디지털사회]디지털혁명(디지털화)...
[네트워크][네트워크의 구성][네트워크의 관리][정보통신 네트워크][디지털 네트워크 경제][...
정보통신기술((ICT))과 교수-학습의 통합방안에 대한 체제적 접근모형
언론정치권력(언론의 정치권력)의 역사, 언론정치권력(언론의 정치권력)의 역할, 언론정치권...
외주제작(외주정책)의 효과, 외주제작(외주정책)과 시청자복지, 외주제작(외주정책)의 현황과...
N(네트워크(Network)세대 대하여
[원격교육][원격교육 시스템][원격교육 시스템 사례]원격교육의 의미, 원격교육의 특성, 원격...
[거버넌스] 거버넌스의 등장배경, 특징 및 사례
학교교육, 노동교육의 요구분석(요구사항 분석), 웹사이트기획, 고등학교제도의 요구분석(요...
[경영시스템][산림 경영][학교 경영][기업 경영][국민건강보험공단][프랜차이즈]프랜차이즈 ...
[의사소통] 의사소통의 과정과 수단 의사소통의 네트워크(공식적 비공식적 의사소통) 효과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