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신라면 글로벌 진출 전략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기업 선정동기
2. 기업소개
가. (주)농심의 개요
나. (주)농심의 비전 및 전략
3. 농심 매출액 및 시장 현황
가. 국내 매출 현황
나. 국외 매출 현황
다. 국외 시장 진출

Ⅱ. 본론
1. 국내현황
가. 라면 시장
나. 스낵 시장
다. 먹는 샘물 시장
라. 분야별 매출액 추이
2. 국제현황
가. 중국 진출 배경
나. 중국 진출 과정
다. 중국 매출 분석
라. 미국 진출 과정
마. 미국 매출 분석
3. 글로벌 전략 및 분석
가. 중국시장 분석결과
나. 미국시장 분석결과

Ⅲ. 결론 및 향후과제
1. 성공분석 및 진출국가 향후전략
가. 신라면의 성공요인
나. 주요라면소비국 분석 및 향후전략
2. 문제점 보완 및 전략 추이
가. 농심의 문제점
나. 향후전략

본문내용

빙을 따지는 소비자들 입과 기대치에 맞춘 ‘토종 건강 라면’의 등장이 필요한 것이다. ‘값이 비싸더라도 제대로 된 라면을 만들면 값이 몇 배 비싸더라도 고객은 얼마든지 있다’는 미국 라면 시장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선진국 시장 공략시 소비자들의 인식을 전환시킬 수 있는 고급화 및 웰빙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이 라면을 한 끼 때우는 싸구려음식에서, 건강을 위하여 먹는 웰빙 음식으로 생각하도록 인식을 전환시키는 Re-positioning이 요구된다.
2. 문제점 보완 및 전략 추이
가. 농심의 문제점
(1)신라면의 성장 한계
신라면의 경우 국내에서 출시된 이후 독특한 매운 맛으로 19년간 국내라면시장에서 1위 자리를 놓쳐본 적이 없는 국내라면시장의 최강자이다. 국내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자 신라면은 이 자신감을 근거로 해외로 진출하였고, 한국인의 매운 맛이 세계인의 매운 맛이라는 고집스러운 모토아래 한국인 외에는 매운맛을 즐겨 찾지 않는 외국인들의 입맛을 공략하기 시작하였다. 매운맛이라는 틈새시장 공략방법으로 안정적으로 세계진출에 성공하였으나, 신라면의 매운맛은 마치 양날의 검처럼 잠재력과 함께 성장의 한계를 떠안고 있다. 신라면의 주된 해외진출국가인 중국과 미국을 살펴볼 때, 중국의 경우 매운맛을 즐겨찾는 사천성 지역의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매운맛에 익숙하지 않다는 점과 미국의 경우 아시아계와 히스패닉계를 제외하고는 신라면의 구매에 능동적이지 않다는 점은 시장에서의 성장에 있어 상당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제품의 개발 및 개선보다는 마케팅을 통하여 한국인의 매운맛을 전달하여 제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경영방식으로, 지금까지는 이 점이 강점으로 작용하여왔으나 향후 대중의 입맛을 아우를 수 있는 제품이 등장하지 않는다면, 신라면은 반드시 성장 한계에 부딪히게 될 것이다.
식품업계의 좋은 예로, 동양제과(오리온)의 초코파이를 들 수 있다. 1993년 북경에 지사를 세우고 판매 대리점을 통하여 수출을 시작한 이후 오리온 초코파이는 매년 100%가 넘는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현재 중국 케익 시장의 70%이상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대중적인 입맛을 공략한 성공적인 케이스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새로운 시장 개척의 필요성
농심의 경쟁자들이 웰빙 과자시장에 뛰어들었다. 정확하게 이야기하자면 오리온이 ‘닥터유’ 론칭을 시작으로 웰빙 과자시장을 개척하였으며 시장선점의 이점을 누리고 있다. 이어 롯데제과와 해태제과도 ‘Mother's Finger'와 ’Beauty Style'이라는 브랜드를 론칭시키며 웰빙 과자 시장에 뛰어들었다. 심지어 할인마트까지 PB 상품으로 웰빙과자를 출시하고 있는 가운데 농심은 뚜렷한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식품제과업계에서 시장을 선도하는 위치에 있는 농심이 신시장 개척에서 강한 의지를 보이지 않고, 수성(守成)으로 비추어질 정도의 경영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미 경쟁자들이 웰빙 과자 시장에서 각축을 벌이고 있는 현시점에서 농심의 프리미엄 제과시장 진출은 부단한 마케팅 및 판촉 활동이 요구됨에 따라 수익성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농심이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선구자적인 마인드를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나. 향후전략
(1)차세대 성장 동력의 확보
신라면이 출시이후 19년간 국내라면 시장에서 계속 1위을 석권하고 있다는 사실은 여러 가지 사실을 내포하고 있는데, 이는 신라면이라는 상품이 여전히 매력적이라는 사실과 한편으로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상품이 아직 출시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역설하고 있다. 삼성의 경우 10년, 20년 뒤에는 어떠한 제품으로 회사를 운영할 것인지, 소위 무엇으로 먹고 살 것인지 리서치와 컨설팅을 통하여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 타사의 사례를 살펴보더라도 소니는 워크맨이후 플레이스테이션의 등장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며 삼성의 경우 반도체이후 휴대폰과 LCD 등으로 IT업계에서 강자의 면모를 꾸준히 보여주고 있다. 반면 농심의 경우 신라면의 등장 이후 10년 넘게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상품이 출시되지 않고 있다. 최근에 둥지냉면 및 후루룩 국수 등 프리미엄 신제품을 런칭하여 신라면으로 대표되는 건라면 제품을 대체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매출비중이 2009년 5%(예측), 2010년 6.7%(예상)정도로 낮아 현재 시점에서는 신라면을 대체하기에는 역부족으로 보여진다. 삼다수 등 생수사업의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농심의 전체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아(2010년 예상8.9%) 라면시장을 대체할만한 수준은 되지 못한다. 한편 2008년 6월 13일 손욱 농심회장은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특별강연에서 농심의 삼다수를 에비앙과 같은 글로벌 브랜드로 만든다는 포부를 밝혔다.
(2)M&A : VISION 2015 달성의 키워드
농심의 신춘호 회장은 잘 아는 분야가 아니면 새사업을 벌이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기업의 인수합병에도 부정적이다. 농심은 현금흐름이 좋기로 유명한 기업이지만, 국내 식품시장이 포화 상태를 맞으면서 라면, 스낵 등 농심의 주력 상품들의 매출이 정체상태에 있다. 농심이 손욱 회장(63)을 영입한 것도 이러한 상황을 헤쳐나가기 위한 타개책이다. 손욱 회장의 비전과 경영방침은 다음과 같다.
"신성장동력과 해외 사업을 적극적으로 찾아 진출하겠다."
-손욱 농심회장 2008년 비전선포식-
"글로벌 M&A와 공격적인 해외사업을 통해 네슬레 같은 글로벌 식품회사로 탈바꿈하겠다" -손욱 농심회장 2008.05.23-
2005년 매출액 1조6500억원, 2006년 매출액 1조 5800억, 2007년 매출액 1조6000억원의 연매출이 2조원이 되지 않는 기업의 2015년 목표가 매출액 4조원과 경상이익 5000억원이다. 이는 현재 식품시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볼 때, 새로운 시장의 개척과 수출만으로는 어려운 상태이며, VISION2015(매출액 4조원과 경상이익 5000억원)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해외기업의 인수로 글로벌기업으로 거듭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12.02.21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85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