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제 (Theme)
내용요약 (Summary)
의견 (My own opinion)
제 2절 플라톤의 조선, 마키아벨리의 일본제국 그리고 미국의 아시아 정책
주제 (Theme)
내용요약 (Summary)
의견 (My own opinion)
내용요약 (Summary)
의견 (My own opinion)
제 2절 플라톤의 조선, 마키아벨리의 일본제국 그리고 미국의 아시아 정책
주제 (Theme)
내용요약 (Summary)
의견 (My own opinion)
본문내용
추어 가고, 때로는 상위집단에 대항하는 하위집단끼리의 세력규합으로 힘의 균형을 맞추는 등 플라톤적 사상보다 마키아벨리적 사상이 편만해 있음은 현실이다. 그리고 그것을 인정하고 직시하는 것은 권리임과 동시에 의무이다.
잠시 글 속으로 들어가서 (p. 617 line 12 - 15) 부분에 언급된 마키아벨리의 합리적 필연성에 의한 침략이야기는 사뭇 '한국전쟁의 한 해석 (최장집)' 이란 논문에서 언급한 북한의 한국전쟁 발발의 계기 설정에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편, (p. 618 line 15 - 16) 부분은 미·소 군정의 합리적 타당성이 뒷받침되는 명제라는 생각이 들었다.
과거의 일들을 현실로 돌이킬 수는 없다. 하지만 그 과거에 대해 반응을 보일 수 있고, 또 더 나아가 그 과거가 잘못된 것이라면 오류(fallacy)를 더 이상 범하지 않게 해주는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이젠 세계 제 1·2차 대전(hot war)과 냉전(cold war)의 장벽이 모두 걷히고, 법의 장소적 효력의 개념 중 보호주의, 세계주의가 이념화된다면 플라톤과 마키아벨리가 악수 할 수 있는 시대가 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 끝.
잠시 글 속으로 들어가서 (p. 617 line 12 - 15) 부분에 언급된 마키아벨리의 합리적 필연성에 의한 침략이야기는 사뭇 '한국전쟁의 한 해석 (최장집)' 이란 논문에서 언급한 북한의 한국전쟁 발발의 계기 설정에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편, (p. 618 line 15 - 16) 부분은 미·소 군정의 합리적 타당성이 뒷받침되는 명제라는 생각이 들었다.
과거의 일들을 현실로 돌이킬 수는 없다. 하지만 그 과거에 대해 반응을 보일 수 있고, 또 더 나아가 그 과거가 잘못된 것이라면 오류(fallacy)를 더 이상 범하지 않게 해주는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이젠 세계 제 1·2차 대전(hot war)과 냉전(cold war)의 장벽이 모두 걷히고, 법의 장소적 효력의 개념 중 보호주의, 세계주의가 이념화된다면 플라톤과 마키아벨리가 악수 할 수 있는 시대가 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 끝.
추천자료
90년대 북한 경제난의 정치사회적 함의 (북한경제)
다국적 기업
고려말, 조선초의 신진사대부 연구
신진 사대부의 역사적의의 -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의 세대교체
국제유가불안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및 방안
한국인의 정치관과 경제관
한미FTA와 한미관계의 미래
[동남아시아][동남아시아문화]동남아시아의 민족, 동남아시아의 언어, 동남아시아의 명칭, 동...
정치경제이론/개방체계이론/자원의존이론/연계전략
공공선택이론 관점에서 바라본 투표의 정치경제학적 의미
정치경제학
무역정책의 정치경제- 이익집단과 정치적 압력.hwp
2018년 동계계절시험 세계의정치와경제 시험범위 핵심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