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 서 론
Ⅱ . 본 론
1) 영화의 줄거리
2) 영화 속 인물 구성
2) - 1) 병구
2) - 2) 강 사장
3)‘2001 이매진’그리고‘지구를 지켜라’
Ⅲ. 결론
Ⅱ . 본 론
1) 영화의 줄거리
2) 영화 속 인물 구성
2) - 1) 병구
2) - 2) 강 사장
3)‘2001 이매진’그리고‘지구를 지켜라’
Ⅲ. 결론
본문내용
인공을 그동안 만났던 이유가 사랑이 아닌 돈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된 상처받은 남자는 자신의 정체성에 큰 혼란 을 겪으며 그의 믿음이 흔들리기 시작해 자살에 이른다.>
그는 왜 존 레논의 환생이라고 믿는 것일까?
그의 유년기는 아버지의 폭력으로 얼룩져있고 아버지의 자살을 목격한다. 어머니는 심장병으로 병상에 있었으며 주인공은 공장에 다닌다. 반면 존 레논은 전 세계 사람들에게 엄청난 사랑을 받았고 큰 영향력을 끼친 인물이며 그의 죽음까지도 세상을 뒤흔들었다. 남자 주인공은 바닥에 있는 자신의 존재감과 자존감을 잊어 보기위한 발악의 표현이 환생으로 표출이 된 것이다.
그는 오디션에서 매번 거절을 당할 때마다 자신의 음악적 재능을 의심하기보단 자신의 재능을 알아주지 못하는 머저리라고 생각한다. 이는 자신을 몰라주는 세상에 대한 분노의 표출이다.
‘2001 이매진’영화 속 주인공과 병구는 세상으로부터 버림을 받은 사회적 약자이고
망상에 빠져있다는 점에서 닮아있다. 벗어나려고 발버둥을 칠수록 더욱 빠지는 고립의 늪에서 벗어나기 위해 두 인물은 망상을 택한 것이다. 상상을 현실처럼 믿으며 현실을 외면하고 자신들의 행동에 정당성을 부여한다. 반대로 이 두 인물의 다른 점은 어떤 것이 있을까. ‘2001 이매진’속 주인공은 자신에 대한 망상이다. 그는 자기가 아닌 다른 사람이 되려하지만 병구는 타인에 대한 망상에 사로잡혀 그 타인이 자신과 지구를 위협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망상의 끝, 영화‘2001 이매진’의 주인공은 상상일 뿐 이였고, 병구의 상상은 어느 정도 사실 이였다는 점에서 다르다.
Ⅲ. 결론
‘SF 영화는 다 똑같아.’라는 생각을 바꿔주는 영화가 바로 ‘지구를 지켜라’이다.
이 영화가 나올 때, 2003년 당시 한국 영화에서는 외계인의 등장은 최초였다.
주로 블록버스터 급인 SF 영화들만 봐왔다면 이 영화의 어설픈 컴퓨터 그래픽 에 웃음이 날 것이다. 이 영화를 본 관객에게 준 웃음 포인트라 생각 한다. 할리우드 SF 영화는 컴퓨터 그래픽으로 과학적 상상력의 힘을 실어준다. 하지만 영화 ‘지구를 지켜라’의 컴퓨터 그래픽은 감독의 또 다른 생각이 담겨있다. 외계인의 존재에 대한 이야기를 원했던 것이 아니라 그 외계인이 존재하는 과학적 상상력으로 현실의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소외된 계층을 대했던 우리의 시선과 무심코 하는 생각들을 다시금 하게 된다.
‘지구를 지켜라’를 얘기하자면 영화의 포스터를 빼놓을 수 없는데 많은 이들은 이 영화가 흥행에서 참패한 이유를 포스터 때문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영화를 본 뒤 이 포스터를 보고 있자면 다른 방식의 반전이라는 생각도 하게 된다. 포스터에서 느껴지는 영화는‘영구와 땡칠이’이였지만 진짜 영화의 내용은 사뭇 진지했으니 말이다.
참고 사이트
http://www.naver.com
http://www.google.co.kr
http://www.cine21.com
http://kaonic.tistory.com
http://blog.naver.com/hong_min_a
그는 왜 존 레논의 환생이라고 믿는 것일까?
그의 유년기는 아버지의 폭력으로 얼룩져있고 아버지의 자살을 목격한다. 어머니는 심장병으로 병상에 있었으며 주인공은 공장에 다닌다. 반면 존 레논은 전 세계 사람들에게 엄청난 사랑을 받았고 큰 영향력을 끼친 인물이며 그의 죽음까지도 세상을 뒤흔들었다. 남자 주인공은 바닥에 있는 자신의 존재감과 자존감을 잊어 보기위한 발악의 표현이 환생으로 표출이 된 것이다.
그는 오디션에서 매번 거절을 당할 때마다 자신의 음악적 재능을 의심하기보단 자신의 재능을 알아주지 못하는 머저리라고 생각한다. 이는 자신을 몰라주는 세상에 대한 분노의 표출이다.
‘2001 이매진’영화 속 주인공과 병구는 세상으로부터 버림을 받은 사회적 약자이고
망상에 빠져있다는 점에서 닮아있다. 벗어나려고 발버둥을 칠수록 더욱 빠지는 고립의 늪에서 벗어나기 위해 두 인물은 망상을 택한 것이다. 상상을 현실처럼 믿으며 현실을 외면하고 자신들의 행동에 정당성을 부여한다. 반대로 이 두 인물의 다른 점은 어떤 것이 있을까. ‘2001 이매진’속 주인공은 자신에 대한 망상이다. 그는 자기가 아닌 다른 사람이 되려하지만 병구는 타인에 대한 망상에 사로잡혀 그 타인이 자신과 지구를 위협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망상의 끝, 영화‘2001 이매진’의 주인공은 상상일 뿐 이였고, 병구의 상상은 어느 정도 사실 이였다는 점에서 다르다.
Ⅲ. 결론
‘SF 영화는 다 똑같아.’라는 생각을 바꿔주는 영화가 바로 ‘지구를 지켜라’이다.
이 영화가 나올 때, 2003년 당시 한국 영화에서는 외계인의 등장은 최초였다.
주로 블록버스터 급인 SF 영화들만 봐왔다면 이 영화의 어설픈 컴퓨터 그래픽 에 웃음이 날 것이다. 이 영화를 본 관객에게 준 웃음 포인트라 생각 한다. 할리우드 SF 영화는 컴퓨터 그래픽으로 과학적 상상력의 힘을 실어준다. 하지만 영화 ‘지구를 지켜라’의 컴퓨터 그래픽은 감독의 또 다른 생각이 담겨있다. 외계인의 존재에 대한 이야기를 원했던 것이 아니라 그 외계인이 존재하는 과학적 상상력으로 현실의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소외된 계층을 대했던 우리의 시선과 무심코 하는 생각들을 다시금 하게 된다.
‘지구를 지켜라’를 얘기하자면 영화의 포스터를 빼놓을 수 없는데 많은 이들은 이 영화가 흥행에서 참패한 이유를 포스터 때문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영화를 본 뒤 이 포스터를 보고 있자면 다른 방식의 반전이라는 생각도 하게 된다. 포스터에서 느껴지는 영화는‘영구와 땡칠이’이였지만 진짜 영화의 내용은 사뭇 진지했으니 말이다.
참고 사이트
http://www.naver.com
http://www.google.co.kr
http://www.cine21.com
http://kaonic.tistory.com
http://blog.naver.com/hong_min_a
추천자료
영화'러브레터'에 나타난 일본문학의 특징
블록 버스터와 스타 시스템-한국문화산업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영화의이해] 한국의 영화감독<김기덕, 박찬욱, 홍상수, 이명세, 이창동>
이창동 감독의 영화와 한국 대중문화의비판
한국 독립영화(문제점과 대안까지)
[추천영화감상문] 영화-살인의 추억
영화감상및비평 임권택감독 영화 천년학
영화관광산업의 발전방향 및 성공방안
부산국제영화제의 성공요인과 발전방안
영화 김씨 표류기 영화언어 분석 (비구술적 언어 중심으로)
일본영화 황금기를 이끈 세 감독들과 작품들
영화기획서 [문화콘텐츠/제작기획서A+]건국신화를 모티브로 한 영화제작기획서
[대중문화의이해A+] 남성 투톱영화와 흥행률의 상관관계 분석
영화 ‘정무문 (精武英雄/Fist of legend)’에서 볼 수 있는 중국 무술, 그리고 한국 무술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