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지켜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 서 론

Ⅱ . 본 론

1) 영화의 줄거리


2) 영화 속 인물 구성

2) - 1) 병구
2) - 2) 강 사장

3)‘2001 이매진’그리고‘지구를 지켜라’


Ⅲ. 결론

본문내용

인공을 그동안 만났던 이유가 사랑이 아닌 돈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된 상처받은 남자는 자신의 정체성에 큰 혼란 을 겪으며 그의 믿음이 흔들리기 시작해 자살에 이른다.>
그는 왜 존 레논의 환생이라고 믿는 것일까?
그의 유년기는 아버지의 폭력으로 얼룩져있고 아버지의 자살을 목격한다. 어머니는 심장병으로 병상에 있었으며 주인공은 공장에 다닌다. 반면 존 레논은 전 세계 사람들에게 엄청난 사랑을 받았고 큰 영향력을 끼친 인물이며 그의 죽음까지도 세상을 뒤흔들었다. 남자 주인공은 바닥에 있는 자신의 존재감과 자존감을 잊어 보기위한 발악의 표현이 환생으로 표출이 된 것이다.
그는 오디션에서 매번 거절을 당할 때마다 자신의 음악적 재능을 의심하기보단 자신의 재능을 알아주지 못하는 머저리라고 생각한다. 이는 자신을 몰라주는 세상에 대한 분노의 표출이다.
‘2001 이매진’영화 속 주인공과 병구는 세상으로부터 버림을 받은 사회적 약자이고
망상에 빠져있다는 점에서 닮아있다. 벗어나려고 발버둥을 칠수록 더욱 빠지는 고립의 늪에서 벗어나기 위해 두 인물은 망상을 택한 것이다. 상상을 현실처럼 믿으며 현실을 외면하고 자신들의 행동에 정당성을 부여한다. 반대로 이 두 인물의 다른 점은 어떤 것이 있을까. ‘2001 이매진’속 주인공은 자신에 대한 망상이다. 그는 자기가 아닌 다른 사람이 되려하지만 병구는 타인에 대한 망상에 사로잡혀 그 타인이 자신과 지구를 위협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망상의 끝, 영화‘2001 이매진’의 주인공은 상상일 뿐 이였고, 병구의 상상은 어느 정도 사실 이였다는 점에서 다르다.
Ⅲ. 결론
‘SF 영화는 다 똑같아.’라는 생각을 바꿔주는 영화가 바로 ‘지구를 지켜라’이다.
이 영화가 나올 때, 2003년 당시 한국 영화에서는 외계인의 등장은 최초였다.
주로 블록버스터 급인 SF 영화들만 봐왔다면 이 영화의 어설픈 컴퓨터 그래픽 에 웃음이 날 것이다. 이 영화를 본 관객에게 준 웃음 포인트라 생각 한다. 할리우드 SF 영화는 컴퓨터 그래픽으로 과학적 상상력의 힘을 실어준다. 하지만 영화 ‘지구를 지켜라’의 컴퓨터 그래픽은 감독의 또 다른 생각이 담겨있다. 외계인의 존재에 대한 이야기를 원했던 것이 아니라 그 외계인이 존재하는 과학적 상상력으로 현실의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소외된 계층을 대했던 우리의 시선과 무심코 하는 생각들을 다시금 하게 된다.
‘지구를 지켜라’를 얘기하자면 영화의 포스터를 빼놓을 수 없는데 많은 이들은 이 영화가 흥행에서 참패한 이유를 포스터 때문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영화를 본 뒤 이 포스터를 보고 있자면 다른 방식의 반전이라는 생각도 하게 된다. 포스터에서 느껴지는 영화는‘영구와 땡칠이’이였지만 진짜 영화의 내용은 사뭇 진지했으니 말이다.
참고 사이트
http://www.naver.com
http://www.google.co.kr
http://www.cine21.com
http://kaonic.tistory.com
http://blog.naver.com/hong_min_a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2.22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89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