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여가의 중요성과 노인 여가활동 및 여가서비스의 현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여가의 중요성과 노인 여가활동 및 여가서비스의 현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노인여가의 중요성

2. 노인 여가활동 및 여가서비스의 현황
1) 노인 여가활동의 현황
2) 노인 여가서비스의 현황
(1) 노인복지회관
(2) 경로당
(3) 노인교실
(4) 노인휴양소
(5) 경로우대제도

본문내용

으로 좋은 시설환경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무료로 제공하기 때문이다.
4) 노인휴양소
노인휴양소는 노인을 대상으로 심신의 휴양과 관련한 위생시설여가시설기타 편의시설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이다(노인복지법 제36조 4항). 노인휴양소는 1989년 노인복지법이 개정되면서 노인여가시설로 추가되어 2000년 12월말 현재 전국에 걸쳐 6개소가 설치되어 있다(보건복지부, 2001). 현재 노인휴양소는 노인여가시설로 제대로 인식되지 않고 있을 뿐더러, 노인휴양소에 대한 운영 및 사업평가 역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5) 경로우대제도
경로우대제도는 노인들에게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수송시설 및 고궁능원박물관공원 등의 공공시설을 무료로 또는 그 이용요금을 할인하여 이용하게 할 수 있는 제도이다(노인복지법 제26조). 경로우대제도는 공영제도 차원에서 65세 이상 전체노인을 대상으로 수도권 전철, 도시철도의 무료운임, 고궁, 능원, 국공립 박물관, 국공립 공원, 국공립 미술관 등의 무료입장, 철도요금 할인(통일호, 비둘기호, 50%, 무궁화호 30%), 국공립 국악원 입장료 할인(50% 이상)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이외에, 경로승차요금(교통수당)은 지방자치단체 예산범위내에서 자치단체장의 책임하에 지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민영차원에서 국내항공기(운임의 10%) 및 국내여객선(운임의 20%) 할인, 목욕이발 등 타 경로우대 업종은 자율적으로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1). 현행 경로우대제도는 65세 이상의 노인만을 대상으로 한정하고 경로우대혜택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 범위가 제한적인데, 이는 앞으로 보완되어야 할 사항으로 지적된다.
최근 서울지역 일부 자치구를 비롯하여 전국의 일선 시군에서 ‘노인복지카드’ 제도가 도입되어 실시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1995년 광진구가 처음으로 이의 제도를 시행하였고, 이후 다른 자치구로 이 제도가 점차 확산중에 있다. 이는 정부가 공공시설에 한해 일방적으로 적용했던 경로우대제도의 혜택과 달리 일부 서비스업(음식점, 목욕탕, 병원, 약국, 한의원, 이발소, 사진관, 안경점, 서점, 극장, 노래방 등)을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민영차원에서의 경로우대제도는 시행당시 민선자치단체의 전시적 행정이라는 우려를 갖기도 하였으나 행정기관의 부족한 예산을 효과적으로 보완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원영희, 2000).
  • 가격3,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2.24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94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