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대동여지도에 대하여
Ⅱ. 고산자 김정호
Ⅲ. 대동여지도 제작의 밑거름
Ⅳ. 대동여지도의 특징
Ⅴ. 대동여지도의 족보 체계 및 풍수지리적 환경 인식
Ⅵ. 대동여지도의 구성 및 표현
Ⅶ. 대동여지도의 의의
<참고문헌>
Ⅱ. 고산자 김정호
Ⅲ. 대동여지도 제작의 밑거름
Ⅳ. 대동여지도의 특징
Ⅴ. 대동여지도의 족보 체계 및 풍수지리적 환경 인식
Ⅵ. 대동여지도의 구성 및 표현
Ⅶ. 대동여지도의 의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게 하였다. 그런데 이 방점 간의 거리가 지도상에서 지역마다 조금씩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평가 지역에서는 대략 2.5㎝ 정도이나, 산악 지역의 도로나 꾸불꾸불한 도로에서는 이보다 짧게 나타난다. 이는 길의 가파름과 굽이진 정도를 평면인 지도상에 나타냈기 때문이다. 한편 지도를 흑백으로 목판 인쇄하였을 때 생길 수 있는 하천과 혼돈을 피하기 위해 도로는 직선으로 표현하였다.
대동여지도에서 점선으로 표현된 조선 시대의 군현 경계는 오늘날의 행정 경계와 달랐다. 강이 경계가 될 때 오늘날에는 강의 가운데를 행정 경계로 삼지만, 조선 시대에는 강을 토막 내어 각 부분을 이웃 군현끼리 나누어 가졌다. 산 줄기도 마찬가지여서, 오늘날에는 산의 능선이 행정 경계선이 되지만 조선 시대에는 각 산의 소속이 분명했다. 이것은 지도 제작의 한계가 아니라 그 당시의 행정 제도를 반영한 것이다. 한편 조선 시대의 행정 경계는 오늘날과 같이 인위적으로 나눈 경계가 아니라 자연 환경에 따른 생활 권역으로 구분되었음을 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대동여지도에 오류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서도 오류가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 곳은 도서 지방이다. 대동여지도에는 1,105개나 되는 섬이 나타나 있는데, 이들 섬은 방향과 거리가 정확하지 않으며, 지형도 실제 모습보다는 그림에 가깝게 표현되었다. 아마도 이는 목판 인쇄라는 한계와 자료의 미비 때문일 것이다.
Ⅶ. 대동여지도의 의의
대동여지도의 의의는 전통적인 기법으로 제작된 지도 중에서 가장 완성도가 높다는 점이다. 즉, 대동여지도는 지도 윤곽 및 지도 내용의 정확성, 산지와 하천의 표현 방법, 방점으로 도로상의 거리 표시, 군현 경계 표시, 기호 사용 등 이전 지도에 비해 비약적으로 발전된 지도이다. 이렇게 앞서 제작된 지도의 발달 성과를 종합하여 이를 계승, 발전시키고, 정밀한 지도의 보급이라는 사회적 요구와 변화에 부응한 점은 그를 더욱 빛나게 한다.
또한 대동여지도는 조선 후기의 국토 모습을 보여 주는 귀중한 유물이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우리가 조그만 토기에서 당시 사람들의 기술과 생활상을 추론하듯이, 대동여지도를 통해서 그 당시의 국토 모습을 추론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대동여지도는 기록 내용이 풍부하기 때문에 조선 후기의 국토 모습을 보여 주는 박물관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두일, 대동여지도의 공간적 정확성,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문화역사지리지 문화역사지리, 1994
배우성, 대동여지도 연구의 쟁점과 과제, 한국과학사학회지 제28권 제 1호, 2006
임경란, 대동여지도와 대동지지의 디지털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연구, 2006
전상운, 최신 일,독 지도제작술을 무색케 한 천재 김정호의 선물 대동여지도, 과학동아, 1991
김병주, 이상해, 대동여지도를 통해 본 조선시대 씨족마을의 입지환경,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제22권 1호, 2006
국민일보 [김정호 20년동안 골방에서 대동여지도 만들었다.] 2006
대동여지도에서 점선으로 표현된 조선 시대의 군현 경계는 오늘날의 행정 경계와 달랐다. 강이 경계가 될 때 오늘날에는 강의 가운데를 행정 경계로 삼지만, 조선 시대에는 강을 토막 내어 각 부분을 이웃 군현끼리 나누어 가졌다. 산 줄기도 마찬가지여서, 오늘날에는 산의 능선이 행정 경계선이 되지만 조선 시대에는 각 산의 소속이 분명했다. 이것은 지도 제작의 한계가 아니라 그 당시의 행정 제도를 반영한 것이다. 한편 조선 시대의 행정 경계는 오늘날과 같이 인위적으로 나눈 경계가 아니라 자연 환경에 따른 생활 권역으로 구분되었음을 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대동여지도에 오류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서도 오류가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 곳은 도서 지방이다. 대동여지도에는 1,105개나 되는 섬이 나타나 있는데, 이들 섬은 방향과 거리가 정확하지 않으며, 지형도 실제 모습보다는 그림에 가깝게 표현되었다. 아마도 이는 목판 인쇄라는 한계와 자료의 미비 때문일 것이다.
Ⅶ. 대동여지도의 의의
대동여지도의 의의는 전통적인 기법으로 제작된 지도 중에서 가장 완성도가 높다는 점이다. 즉, 대동여지도는 지도 윤곽 및 지도 내용의 정확성, 산지와 하천의 표현 방법, 방점으로 도로상의 거리 표시, 군현 경계 표시, 기호 사용 등 이전 지도에 비해 비약적으로 발전된 지도이다. 이렇게 앞서 제작된 지도의 발달 성과를 종합하여 이를 계승, 발전시키고, 정밀한 지도의 보급이라는 사회적 요구와 변화에 부응한 점은 그를 더욱 빛나게 한다.
또한 대동여지도는 조선 후기의 국토 모습을 보여 주는 귀중한 유물이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우리가 조그만 토기에서 당시 사람들의 기술과 생활상을 추론하듯이, 대동여지도를 통해서 그 당시의 국토 모습을 추론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대동여지도는 기록 내용이 풍부하기 때문에 조선 후기의 국토 모습을 보여 주는 박물관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두일, 대동여지도의 공간적 정확성,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문화역사지리지 문화역사지리, 1994
배우성, 대동여지도 연구의 쟁점과 과제, 한국과학사학회지 제28권 제 1호, 2006
임경란, 대동여지도와 대동지지의 디지털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연구, 2006
전상운, 최신 일,독 지도제작술을 무색케 한 천재 김정호의 선물 대동여지도, 과학동아, 1991
김병주, 이상해, 대동여지도를 통해 본 조선시대 씨족마을의 입지환경,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제22권 1호, 2006
국민일보 [김정호 20년동안 골방에서 대동여지도 만들었다.] 2006
추천자료
경비지도사제도의 개선방안
[백범일지][김구 백범일지 독서감상문][김구 백범일지 독후감][김구 백범일지 서평][김구 백...
방과후아동지도(공부방, 방과후교육)의 정의, 방과후아동지도(공부방, 방과후교육)의 유형과 ...
전통미술감상지도(한국전통미술감상교육) 필요성, 전통미술감상지도(한국전통미술감상교육) ...
[한국화지도]한국전통회화교육(한국화지도)의 의의와 동향, 한국전통회화교육(한국화지도)의 ...
한국전통미술교육(전통미술지도)의 정의와 의의, 한국전통미술교육(전통미술지도)의 지도내용...
[국악교육]국악지도(한국전통음악교육)의 개념, 국악지도(한국전통음악교육)의 가창활동과 민...
방과후아동지도(방과후교육, 교실)의 의미와 중요성, 방과후아동지도(방과후교육, 교실)의 역...
한국전통음악교육(국악지도)의 필요성과 교과내용, 한국전통음악교육(국악지도)의 기악, 가창...
일본 학습지도요령의 조직방식, 일본 학습지도요령의 신학습지도요령, 일본 학습지도요령의 ...
일본 학습지도요령의 역사, 일본 학습지도요령의 신학습지도요령, 일본 학습지도요령의 일반...
[가마타기][가마싸움놀이]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가마타기(가마싸움놀이)의 개념, 실제, 한...
[민속놀이]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구슬치기와 북한알치기,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구슬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지도자론 - 허시와 블랜차드, 아지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