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기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합기도의 특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1

1-1 자연의 흐름과 합기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1
1-2 합리성과 합기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1

2. 합기도의 현대적 의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1
2-1 사회적존재의 조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2
2-2 합기도와 생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2

3. 합기도의 역사적 발자취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2
3-1 합기도의 발상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2
3-2 합기도의 현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3

4. 합기도의 원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3

5. 합기도에서 사용되는 신체부위 _______________________4

6. 참고문헌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5

본문내용

시키면 연속 공격으로 상대가 방어하기에 곤란을 느끼며 상하 연환공격이나 1투수에 의한 회수없는 연속 공격도 가능하다.
(5)손목, 팔목, 어깨
손목은 연골이나 잔뼈가 모여 있는 곳 기타 신체의 약학 부위를 가격할 때 주로 쓰이고, 팔목은 발공격이나 강한 팔의 공격을 옆으로 쳐서 막거나 아래로 눌러서 막는데 쓰이며 낮은 자세에서 튕기듯 자세를 일으키며 밀급소 같은 부위에 공격하거나 상대의 전신을 밀어붙이거나 후려칠 때 쓴다. 어깨는 가속도와 체중을 실어서 상대의 몸체를 공격할 때 쓴다.
(6)발
발끝, 앞 발꿈치, 뒷 발꿈치, 발바닥, 족도, 발목, 무릎을 사용하며 발끝은 발가락을 곧게 편 경우의 발가락 끝과 발가락등을 말하는데 이는 정면에 있는 적의 낭심 및 하복부를 공격하는데 쓰인다. 앞 발꿈치는 발가락을 위로 구부렸을 때 형성되는 발바닥 앞쪽 부위로 합기도에서는 많이 쓰이지 않으나 태권도에서는 손의 정권에 버금간다고 한다. 뒷 발꿈치는 발바닥의 뒷부분으로 앞차는데, 밟는데 쓰이며 공격하는 곳도 가슴, 복부, 정강이 등 두루 쓰인다고 한다. 발바닥은 발가락을 제외한 발바닥 전체를 말하며 공격보다는 방어에 쓰인다. 족도는 뒷 발꿈치에서 새끼발가락 쪽으로 2/3부분을 말하는 것으로서 옆차기를 비롯하여 베듯 차는 발질에 사용된다. 발목은 발가락을 아래로 굽히고 발등을 곧게 펼 때 형성되는 부분을 말하며 낭심 공격에 사용된다. 무릎은 상대의 낭심, 하복부, 허벅다리, 옆구리, 흉부 심지어는 명치를 가격할 때 사용한다고 한다.
6. 참고문헌
①김상덕, 고백용 공저, (秘傳)合氣道, 서림문화사, 서울, 1994.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2.26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98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