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밤에 잘 때 엎드려 자 아침에 일어났을 때 목과 등이 아팠습니다.
S2:오랜 시간동안 허리를 구부려 공부를 하였더니 허리가 아팠습니다.
S3: 저희 할머니께서는 허리에 디스크가 있으셔서 매주 병원에 다니십니다.
S1: 계속 통증이 생깁니다.
S2: 병이 생겨 병원에 자주 가게 될 것입니다.
S3: 꼬부랑 할머니처럼 허리가 굽을 것입니다.
S4: 건강한 생활을 하지 못할 것입니다.
S5: 친구들과 함께 축구도 하지 못하고 뛰지도 못할 것입니다.
S: (목 디스크, 허리 디스크 환자 관련 동영상을 본다.)
S1: 엎드려 자지 않습니다.
S1: 책상에 앉을 때 다리를 꼬지 않습니다.
S2: 턱을 괴고 있지 않습니다.
S1:허리를 구부리지 않습니다.
S2: 너무 가까이에서 보지 않습니다.
S3: 의자에 등을 붙이고 목을 앞으로 빼지 않습니다.
S1: 근육이 뻐근하거나 아플때 스트레칭을 해 줍니다.
S2: 규칙적으로 운동을 합니다.
S3: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S1: 바른 자세와 바르지 못한 자세에 대해 배웠습니다.
S2: 바른 자세가 중요한 이유에 대해 배웠습니다.
S: 자세가 바르지 못하면 허리, 목 건강에 좋지 않습니다.
※ 판서계획
◎ 단 원 : 1. 건강 생활의 첫 걸음
◎ 학습주제 : 자세와 건강(1)
◎ 학습목표 : 바른 자세의 중요성을 말할 수 있다.
활동 1. 바른 자세, 바르지 못한 자세 구분하기
활동 2. 자세와 건강의 관계 알아보기
활동 3. 바른 자세 갖기 위해 해야할 일
※ 본 차시 학습 평가
평가 내용
평가 기준
평가 시기
평가 방법
바른 자세, 바르지 못한 자세를 구분하고, 몸의 자세와 건강의 관계를 이해 할 수 있다.
상
바른 자세, 바르지 못한 자세를 구분하고, 몸의 자세와 건강의 관계를 말할 수 있다.
수업 중
관찰
중
바른 자세, 바르지 못한 자세는 구분하나, 몸의 자세와 건강의 관계를 말하지 못한다.
하
바른 자세, 바르지 못한 자세를 구분하지 못하고, 몸의 자세와 건강의 관계를 말하지 못한다.
※ 탐구 수업 모형
- 학생들에게 기존의 지식과 기술을 설명식으로 전수시켜 주기보다는 학생들로 하여금 주어진 상황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방법으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이나 기능을 길러 주려는데 초점을 두는 수업 방법의 형태.
- 절차 : 문제 상황 제시- 탐구 문제 설정- 탐구 계획 수립
- 탐구 활동 전개 - 정리 및 발표
S2:오랜 시간동안 허리를 구부려 공부를 하였더니 허리가 아팠습니다.
S3: 저희 할머니께서는 허리에 디스크가 있으셔서 매주 병원에 다니십니다.
S1: 계속 통증이 생깁니다.
S2: 병이 생겨 병원에 자주 가게 될 것입니다.
S3: 꼬부랑 할머니처럼 허리가 굽을 것입니다.
S4: 건강한 생활을 하지 못할 것입니다.
S5: 친구들과 함께 축구도 하지 못하고 뛰지도 못할 것입니다.
S: (목 디스크, 허리 디스크 환자 관련 동영상을 본다.)
S1: 엎드려 자지 않습니다.
S1: 책상에 앉을 때 다리를 꼬지 않습니다.
S2: 턱을 괴고 있지 않습니다.
S1:허리를 구부리지 않습니다.
S2: 너무 가까이에서 보지 않습니다.
S3: 의자에 등을 붙이고 목을 앞으로 빼지 않습니다.
S1: 근육이 뻐근하거나 아플때 스트레칭을 해 줍니다.
S2: 규칙적으로 운동을 합니다.
S3: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S1: 바른 자세와 바르지 못한 자세에 대해 배웠습니다.
S2: 바른 자세가 중요한 이유에 대해 배웠습니다.
S: 자세가 바르지 못하면 허리, 목 건강에 좋지 않습니다.
※ 판서계획
◎ 단 원 : 1. 건강 생활의 첫 걸음
◎ 학습주제 : 자세와 건강(1)
◎ 학습목표 : 바른 자세의 중요성을 말할 수 있다.
활동 1. 바른 자세, 바르지 못한 자세 구분하기
활동 2. 자세와 건강의 관계 알아보기
활동 3. 바른 자세 갖기 위해 해야할 일
※ 본 차시 학습 평가
평가 내용
평가 기준
평가 시기
평가 방법
바른 자세, 바르지 못한 자세를 구분하고, 몸의 자세와 건강의 관계를 이해 할 수 있다.
상
바른 자세, 바르지 못한 자세를 구분하고, 몸의 자세와 건강의 관계를 말할 수 있다.
수업 중
관찰
중
바른 자세, 바르지 못한 자세는 구분하나, 몸의 자세와 건강의 관계를 말하지 못한다.
하
바른 자세, 바르지 못한 자세를 구분하지 못하고, 몸의 자세와 건강의 관계를 말하지 못한다.
※ 탐구 수업 모형
- 학생들에게 기존의 지식과 기술을 설명식으로 전수시켜 주기보다는 학생들로 하여금 주어진 상황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방법으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이나 기능을 길러 주려는데 초점을 두는 수업 방법의 형태.
- 절차 : 문제 상황 제시- 탐구 문제 설정- 탐구 계획 수립
- 탐구 활동 전개 - 정리 및 발표
추천자료
3학년 체육 투호던지기 세안
체육과 이해 중심 게임 수업 모형 지도안 - 3학년 체육 게임영역 3. 공놀이 지도안
3학년 체육 게임활동 수업지도안
[초등교육]초등 3학년 체육 야구형 심화 야구 게임
[초등지도안]초등 3학년 체육지도안 (3단원 재미있는 소고춤)
[초등지도안] 초등 3학년 체육지도안 (2단원 운동장에서 - 빨리 달릴 수 있는 몸 모양 알아보기)
체육과 학습지도안(중학교 3학년 배구)
[초등체육]초등학교 3학년 체육과(체육교육) 실태, 한국과 중국 초등학교 3학년 체육과(체육...
3학년-체육-3.경쟁활동-2.요리조리공을피하여-상대와공의이동경로예상하기(6차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