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시스템] 생산시스템의 개발과 실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생산시스템 개발과 실행

Ⅰ. 수요예측

Ⅱ. 설비계획

Ⅲ. 총괄생산계획

Ⅳ. 일정계획

Ⅴ. 자재소요계획

Ⅵ. 설비배치계획

본문내용

획은 설비계획과 총괄계획에 의해 획득한 자원의 사용계획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일정계획은 생산능력에 관한 의사결정의 체계에서 최종의사결정이며 가장 제약이 많은 의사결정이다.
일정계획은 라인공정 (line process)의 일정계획 , 단속공정의 일정계획 및 프로젝트(project)의 일정계획으로 나누어진다.
V. 자재소요계획
아무리 일정계획이 잘 마련되었다 할지라도 적절한 자재가 적기에 공급되지 못하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러므로 적절한 시간과 적절한 장소에 자재가 알맞게 공급되어야 한다. 자재의 수요량과 주문 시기는 최종제품의 설계와 생산계획, 그리고 각 품목의 조달기간이 주어지면 쉽게 결정된다. 그러나 최종제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면 수작업에 의해 수많은 자재의 소요량과 주문시기를 결정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에 의한 자재관리가 개발되었는데 이것이 이른바 MRP(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라고 불리는 자재소요계획 이다.
MRP는 주된 일정계획 (master production schedule), 자재 명세서 (bill of material file), 재고기록철(inventory records file) 및 출력보고서 (output record)와 긴밀하게 상호 작용한다.
MRP는 자재인 각종 부품이나 원자재의 소요량 및 발주가격을 결정하는 단순한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출발하여 최근에는 생산능력, 계획 및 실행결과의 피드백(feedback), 더 나아가 제조업의 모든 자원을 계획하고 통제하는 MRP II로 발전되어 왔다.
VI. 설비배치계획
위의 모든 계획수립이 완료되면 실제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공장과 설비 배치계획을 세운다. 설비배치란 공장 또는 서비스 시설 내에서 부서들의 위치와 설비의 배열을 결정하는 것이다. 설비배치의 궁극적인 목표는 생산시스템 효율의 극대화이며 이를 위해서는 생산시스템내의 인적 물적 이동을 최소화하고 작업특성에 따른 업무 관련도를 만족시키도록 설비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설비배치에는 여러 제약이 따르게 되는데 전체 가용 공간, 공정유형 및 공정기술, 기계설비의 구조, 작업특성, 통로, 작업흐름, 부품의 저장장소, 작업자의 수, 활동 공간 등 여러 가지 요소가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설비배치의 형태로는 작업흐름의 패턴에 따라 공정별 배치, 제품별 배치, 고정위치 배치 , 혼합형 배치, 셀룰러 배치가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2.27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03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