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 론
1. 연구동기 및 목적
2. 연구과정
□ 본 론
3. 경제성장률의 기본
3-1. 경제성장률이란?
3-2. 경제성장의 요인
4. 환율의 기본
4-1. 환율의 정의와 역할
4-2. 환율 변동 요인
5. 경제성장률이 보여주는 한국의 현재
6. 국외 경제적 사회현상에 대한 영향
7. 환율하락의 원인과 결과
□ 결 론
8. 본문정리
9. 마지막으로...
※ 참고문헌
1. 연구동기 및 목적
2. 연구과정
□ 본 론
3. 경제성장률의 기본
3-1. 경제성장률이란?
3-2. 경제성장의 요인
4. 환율의 기본
4-1. 환율의 정의와 역할
4-2. 환율 변동 요인
5. 경제성장률이 보여주는 한국의 현재
6. 국외 경제적 사회현상에 대한 영향
7. 환율하락의 원인과 결과
□ 결 론
8. 본문정리
9. 마지막으로...
※ 참고문헌
본문내용
↓」, 2010. 4. 29
고 한다. 이처럼 환율하락은 수출에 최대 위협요인으로 꼽힌다. 지경부는 또 원자재값 불안과 그리스 등 남부유럽의 신용위기 확산 가능성도 수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로 꼽았다.
즉, 환율이 한 나라의 경제력을 대변한다는 측면에서 원화 강세가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지만 한국 경제의 높은 수출 의존도를 볼 때 원화의 급격한 강세·원화의 고평가는 한국 경제에 부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학용, 『이해하기 쉬운 정치경제』, 율곡출판사, p.296
이 외에도 에드워드 프레스콧 애리조나 주립대 교수의 인터뷰에서는 한국에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해 남아있는 리스크는 무엇이라고 보는지에 대한 질문에 “환율입니다. 외부변수에 의해 환율이 출렁거려 국가 경제가 영향을 받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라며 외환보유액을 늘려 환율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한국경제신문, 「한국은 가던길을 가라…빠른 경제회복 이끈 재정정책 훌륭」, 2010. 4. 26
이는 환율변동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그만큼 우리나라의 경제적 리스크를 줄이는데 중요한 것을 알 수 있다.
□ 결 론
8. 본문정리
지금까지 환율과 경제성장률에 대한 정의, 그리고 그 둘 사이의 상관관계에 중점을 두고 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조사 과정에서 환율과 경제성장률에 영향을 끼치는 현상들에 대해 되도록 다각적인 시각으로 접근해보려 노력하였다. 이어서는 본문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보려 한다.
첫 번째로는 현재 세계 속의 한국의 현재를 알아보았다. 1분기에 모두의 예상을 뛰어넘는 성장률을 기록한데 대해 금융위기로부터 한국경제가 정상궤도에 올랐다는 반가운 소식과 더불어 원자재 가격 상승과 환율 하락이 우리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것을 간과해선 안 된다는 우려를 표명한 것을 보았다.
두 번째로 세계의 경제는 하나의 경제 시스템 체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타국에서의 제정위기가 우리나라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내용이었다. 미국발/그리스발 금융위기를 예로 들었다. 특히 현재에도 그리스발 금융 위기로 인한 유로화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는 원화가치가 상승하여 환율이 하락해 수출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우려하며 또한 우리는 그만큼 유럽시장에 진출할 기회가 적어지기 때문에 이는 수출지향적인 우리나라 경제 구조상 GDP의 하락을 부추길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세 번째로 환율하락이 전반적인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환율이 하락하는 원인에 대해 살펴보았고 결과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환율이 올해 평균 1100원 수준으로 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이 1%포인트 가까이 낮아질 것이란 전망이다. 이처럼 환율 하락은 수출에 최대 위협요인으로써 작용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문을 정리하면서 경제성장률과 환율은 위의 조사한 내용 외에도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수많은 관계가 존재하며 서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비록 몇 가지 큼직큼직한 경제현상에 대해서만 조사해보고 결론을 내렸지만 그래도 이러한 과정 덕분에 우리나라의 경제 구조에 대해 나름대로 어느 정도 정리를 할 수 있을 정도의 지식을 갖추게 되었다.
9. 마지막으로...
마지막으로 이번 보고서의 주제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조사를 하며 결론을 내는 과정을 거치며 느낀점을 말해보려 한다. 비록 경제상식이 상당히 부족했던 필자에게는 이러한 보고서 작성이 쉽지 않은 시작과 과정이었지만 연구 계획을 했을 때 예상했던 것 이상으로 조사 과정에서 알게 되는 경제적 지식이 상당했고 사회의 실제 경제문제에 대한 현상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경제상식을 쌓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던 것 같다.
앞으로도 꾸준히 경제신문을 읽으며 사회적 이슈에 대해 관심을 가짐으로써 나름대로의 결론을 도출하면서 경제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으려 노력할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람으로 거듭나도록 노력할 것을 다짐하며 이상으로 “경제성장률과 환율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보고서를 마치겠다.
※ 참고문헌
1) 한국은행, 『알기쉬운 경제 이야기』, 2005년 3월
2) 이학용, 『이해하기 쉬운 정치경제』, 2007년 3월
3) 최근환, 「주요 환율 변동요인 10가지」, 2010년 1월
http://kr.blog.yahoo.com/lifeiscool.choi/738?m=c&no=738
4) 윤현숙 기자, 「우리나라 재정 건전성 문제없나?」, 2010년 4월
http://www.ytn.co.kr/_ln/0102_201004261816157159
5) 한국경제교육학회, 『고등학교 차세대 경제』, 2010년 4월
http://sjsisa.tistory.com/100
6) 시사 엿보기, 「경제성장의 요인」, 2010년 4월
http://sjsisa.tistory.com/101
7) 매일경제, 「[사설] 4년 만에 최고 성장률, 환율과 원자재값이 문제 」, 2010년 4월
http://news.mk.co.kr/column/view.php?sc = 30500003&cm = 사설&year = 2010&no = 185696&selFlag = &relatedcode = &wonNo=&sID
8) 한국은행 사이트, 「최근의 국내외 경제동향」, 2010년 5월
http://www.bok.or.kr/contents/total/ko/boardView.action?menuNaviId=559&boardBean.brdid=70550&boardBean.menuid=559
9) 류지복,심재훈 기자(한국경제),「국민소득 장밋빛 근거는 환율과 성장률」,2009년 12월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121464718<ype=1&nid=002&sid=0101&page=1
10) 한국경제신문, 2010.4 ~ 2010.5
11) 국제 금융센터,「미국발 금융위기와 09년 세계 경제 전망」, 2008년 11월
http://blog.naver.com/bebest79?Redirect=Log&logNo=140058354851
고 한다. 이처럼 환율하락은 수출에 최대 위협요인으로 꼽힌다. 지경부는 또 원자재값 불안과 그리스 등 남부유럽의 신용위기 확산 가능성도 수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로 꼽았다.
즉, 환율이 한 나라의 경제력을 대변한다는 측면에서 원화 강세가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지만 한국 경제의 높은 수출 의존도를 볼 때 원화의 급격한 강세·원화의 고평가는 한국 경제에 부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학용, 『이해하기 쉬운 정치경제』, 율곡출판사, p.296
이 외에도 에드워드 프레스콧 애리조나 주립대 교수의 인터뷰에서는 한국에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해 남아있는 리스크는 무엇이라고 보는지에 대한 질문에 “환율입니다. 외부변수에 의해 환율이 출렁거려 국가 경제가 영향을 받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라며 외환보유액을 늘려 환율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한국경제신문, 「한국은 가던길을 가라…빠른 경제회복 이끈 재정정책 훌륭」, 2010. 4. 26
이는 환율변동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그만큼 우리나라의 경제적 리스크를 줄이는데 중요한 것을 알 수 있다.
□ 결 론
8. 본문정리
지금까지 환율과 경제성장률에 대한 정의, 그리고 그 둘 사이의 상관관계에 중점을 두고 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조사 과정에서 환율과 경제성장률에 영향을 끼치는 현상들에 대해 되도록 다각적인 시각으로 접근해보려 노력하였다. 이어서는 본문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보려 한다.
첫 번째로는 현재 세계 속의 한국의 현재를 알아보았다. 1분기에 모두의 예상을 뛰어넘는 성장률을 기록한데 대해 금융위기로부터 한국경제가 정상궤도에 올랐다는 반가운 소식과 더불어 원자재 가격 상승과 환율 하락이 우리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것을 간과해선 안 된다는 우려를 표명한 것을 보았다.
두 번째로 세계의 경제는 하나의 경제 시스템 체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타국에서의 제정위기가 우리나라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내용이었다. 미국발/그리스발 금융위기를 예로 들었다. 특히 현재에도 그리스발 금융 위기로 인한 유로화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는 원화가치가 상승하여 환율이 하락해 수출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우려하며 또한 우리는 그만큼 유럽시장에 진출할 기회가 적어지기 때문에 이는 수출지향적인 우리나라 경제 구조상 GDP의 하락을 부추길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세 번째로 환율하락이 전반적인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환율이 하락하는 원인에 대해 살펴보았고 결과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환율이 올해 평균 1100원 수준으로 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이 1%포인트 가까이 낮아질 것이란 전망이다. 이처럼 환율 하락은 수출에 최대 위협요인으로써 작용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문을 정리하면서 경제성장률과 환율은 위의 조사한 내용 외에도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수많은 관계가 존재하며 서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비록 몇 가지 큼직큼직한 경제현상에 대해서만 조사해보고 결론을 내렸지만 그래도 이러한 과정 덕분에 우리나라의 경제 구조에 대해 나름대로 어느 정도 정리를 할 수 있을 정도의 지식을 갖추게 되었다.
9. 마지막으로...
마지막으로 이번 보고서의 주제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조사를 하며 결론을 내는 과정을 거치며 느낀점을 말해보려 한다. 비록 경제상식이 상당히 부족했던 필자에게는 이러한 보고서 작성이 쉽지 않은 시작과 과정이었지만 연구 계획을 했을 때 예상했던 것 이상으로 조사 과정에서 알게 되는 경제적 지식이 상당했고 사회의 실제 경제문제에 대한 현상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경제상식을 쌓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던 것 같다.
앞으로도 꾸준히 경제신문을 읽으며 사회적 이슈에 대해 관심을 가짐으로써 나름대로의 결론을 도출하면서 경제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으려 노력할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람으로 거듭나도록 노력할 것을 다짐하며 이상으로 “경제성장률과 환율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보고서를 마치겠다.
※ 참고문헌
1) 한국은행, 『알기쉬운 경제 이야기』, 2005년 3월
2) 이학용, 『이해하기 쉬운 정치경제』, 2007년 3월
3) 최근환, 「주요 환율 변동요인 10가지」, 2010년 1월
http://kr.blog.yahoo.com/lifeiscool.choi/738?m=c&no=738
4) 윤현숙 기자, 「우리나라 재정 건전성 문제없나?」, 2010년 4월
http://www.ytn.co.kr/_ln/0102_201004261816157159
5) 한국경제교육학회, 『고등학교 차세대 경제』, 2010년 4월
http://sjsisa.tistory.com/100
6) 시사 엿보기, 「경제성장의 요인」, 2010년 4월
http://sjsisa.tistory.com/101
7) 매일경제, 「[사설] 4년 만에 최고 성장률, 환율과 원자재값이 문제 」, 2010년 4월
http://news.mk.co.kr/column/view.php?sc = 30500003&cm = 사설&year = 2010&no = 185696&selFlag = &relatedcode = &wonNo=&sID
8) 한국은행 사이트, 「최근의 국내외 경제동향」, 2010년 5월
http://www.bok.or.kr/contents/total/ko/boardView.action?menuNaviId=559&boardBean.brdid=70550&boardBean.menuid=559
9) 류지복,심재훈 기자(한국경제),「국민소득 장밋빛 근거는 환율과 성장률」,2009년 12월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121464718<ype=1&nid=002&sid=0101&page=1
10) 한국경제신문, 2010.4 ~ 2010.5
11) 국제 금융센터,「미국발 금융위기와 09년 세계 경제 전망」, 2008년 11월
http://blog.naver.com/bebest79?Redirect=Log&logNo=140058354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