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육열의 정의 및 원인
1) 교육열의 정의
2) 교육열의 원인
2. 교육열을 보여주는 사례
3. 외국의 사례와 비교
1) 한국과 이스라엘
2) 한국과 미국
3) 한국과 일본
4. 교육열의 기능 : 양면성
1) 장점
2) 문제점
5. 해결방안
1) 학력, 학벌 만능주의 사회의 의식구조를 깨뜨려야 한다.
2) 입시 위주의 교육제도를 바로 잡아야 한다.
1) 교육열의 정의
2) 교육열의 원인
2. 교육열을 보여주는 사례
3. 외국의 사례와 비교
1) 한국과 이스라엘
2) 한국과 미국
3) 한국과 일본
4. 교육열의 기능 : 양면성
1) 장점
2) 문제점
5. 해결방안
1) 학력, 학벌 만능주의 사회의 의식구조를 깨뜨려야 한다.
2) 입시 위주의 교육제도를 바로 잡아야 한다.
본문내용
던 초등학생이 도복 끈으로 목을 매 숨진 채 발견돼 주위를 안타깝게 하고 있다.
지난 7일 밤 10시30분께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A아파트에서 B군(12·초6)이 자신의 방문 손잡이에 태권도 도복 끈으로 목을 맨 채 숨져있는 것을 어머니(43)가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다.
B군의 어머니는 경찰에서 “아들이 ‘방학숙제를 한다’며 자신의 방으로 들어간 뒤 한참동안 인기척이 없어 들어가 보니 숨져 있었다”고 말했다.
어머니는 또 “아들이 학원을 조금 덜 다녔으면 좋겠다고 말 한적이 있으나 딱히 다른 자살할 만한 이유는 없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B군의 학교 담임교사도 “B군이 친구들과의 관계도 원만하고 어두운 구석이 전혀 없었다”며 “학교에선 지극히 평범한 학생이었는데 이런 일이 생겨 너무 놀랍고 실감이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학원 관계자는 “B군이 지난해 여름 다른 학원에서 우리 학원으로 옮겨와 어머니와 함께 상담을 하는 자리에서 ‘학원이 싫다’고 말한 적은 있지만, 영어 수학을 잘해 칭찬도 많이 받았다”고 전했다.
올 봄 중학교 진학을 앞두고 있던 B군은 집에서 도보로 5분거리에 있는 학원에서 영어와 수학을 매일 1시간20분씩 공부한 뒤 태권도 학원을 다녔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유서가 발견된 것도 아니어서 현재로선 자살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주변 사람들의 진술을 종합해 볼 때 B군이 학업에 대한 부담을 느꼈던 것 같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제휴사/경기일보 류제홍기자 jhyou@kgib.co.kr
3. 외국의 사례와 비교
1) 한국과 이스라엘
2) 한국과 미국
3) 한국과 일본
4. 교육열의 기능 : 양면성
1) 장점
① 학업성취도 국제평가에서 최고 수준
② 초중등교육, 고등교육의 보편화
2) 문제점
① 교육비의 과중
<자료:Education at a Glance 2005>
② 극심한 학벌주의 학력사회 “신분상승수단화”
<자료:KEDI>
5. 해결방안
1) 학력, 학벌 만능주의 사회의 의식구조를 깨뜨려야 한다.
① 실천운동 캠페인이나 토론회 등을 지속적으로 열고 국가 차원에서는 법과 제도의 정비 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② ‘꼭 명문대를 졸업하지 않더라도 좋은 직장에 취업할 수 있고 고생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인식이 확대되도록 국가와 기업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국가는 교육과 취업을 연계한 안정적인 정책을 내놓고, 기업은 인재 선발 기준의 폭을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과도하게 팽창된 사교육시장에 대한 엄격한 검증도 요구된다. 과연 올바르고 효과 있는 교육 프로그램인지 살펴 학부모가 사교육시장을 주도하는 적극적 소비자로 변해야 한다. 매년 많은 자본이 사교육시장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 우리 사회가 일할 시간은 적고 교육에 투자되는 비용은 과다한 국가적 낭비 상황임을 학부모들에게 알려야 한다.
2) 입시 위주의 교육제도를 바로 잡아야 한다.
현재의 수능을 바탕으로 한 입시제도가 아닌 대학에서 좀 더 다양한 학생선발기준을 마련하여 적용한다면 현재의 입시교육이 조금은 개선 될 수 있을 것이다.
지난 7일 밤 10시30분께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A아파트에서 B군(12·초6)이 자신의 방문 손잡이에 태권도 도복 끈으로 목을 맨 채 숨져있는 것을 어머니(43)가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다.
B군의 어머니는 경찰에서 “아들이 ‘방학숙제를 한다’며 자신의 방으로 들어간 뒤 한참동안 인기척이 없어 들어가 보니 숨져 있었다”고 말했다.
어머니는 또 “아들이 학원을 조금 덜 다녔으면 좋겠다고 말 한적이 있으나 딱히 다른 자살할 만한 이유는 없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B군의 학교 담임교사도 “B군이 친구들과의 관계도 원만하고 어두운 구석이 전혀 없었다”며 “학교에선 지극히 평범한 학생이었는데 이런 일이 생겨 너무 놀랍고 실감이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학원 관계자는 “B군이 지난해 여름 다른 학원에서 우리 학원으로 옮겨와 어머니와 함께 상담을 하는 자리에서 ‘학원이 싫다’고 말한 적은 있지만, 영어 수학을 잘해 칭찬도 많이 받았다”고 전했다.
올 봄 중학교 진학을 앞두고 있던 B군은 집에서 도보로 5분거리에 있는 학원에서 영어와 수학을 매일 1시간20분씩 공부한 뒤 태권도 학원을 다녔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유서가 발견된 것도 아니어서 현재로선 자살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주변 사람들의 진술을 종합해 볼 때 B군이 학업에 대한 부담을 느꼈던 것 같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제휴사/경기일보 류제홍기자 jhyou@kgib.co.kr
3. 외국의 사례와 비교
1) 한국과 이스라엘
2) 한국과 미국
3) 한국과 일본
4. 교육열의 기능 : 양면성
1) 장점
① 학업성취도 국제평가에서 최고 수준
② 초중등교육, 고등교육의 보편화
2) 문제점
① 교육비의 과중
<자료:Education at a Glance 2005>
② 극심한 학벌주의 학력사회 “신분상승수단화”
<자료:KEDI>
5. 해결방안
1) 학력, 학벌 만능주의 사회의 의식구조를 깨뜨려야 한다.
① 실천운동 캠페인이나 토론회 등을 지속적으로 열고 국가 차원에서는 법과 제도의 정비 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② ‘꼭 명문대를 졸업하지 않더라도 좋은 직장에 취업할 수 있고 고생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인식이 확대되도록 국가와 기업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국가는 교육과 취업을 연계한 안정적인 정책을 내놓고, 기업은 인재 선발 기준의 폭을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과도하게 팽창된 사교육시장에 대한 엄격한 검증도 요구된다. 과연 올바르고 효과 있는 교육 프로그램인지 살펴 학부모가 사교육시장을 주도하는 적극적 소비자로 변해야 한다. 매년 많은 자본이 사교육시장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 우리 사회가 일할 시간은 적고 교육에 투자되는 비용은 과다한 국가적 낭비 상황임을 학부모들에게 알려야 한다.
2) 입시 위주의 교육제도를 바로 잡아야 한다.
현재의 수능을 바탕으로 한 입시제도가 아닌 대학에서 좀 더 다양한 학생선발기준을 마련하여 적용한다면 현재의 입시교육이 조금은 개선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