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문제 해결방안★★] 자살문제의 심각성과 원인 및 자살 예방방안 및 자살문제 대책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주제 : 자살

Ⅰ서론.
1-1자살의 원인


Ⅱ본론.
2-1.한국의 자살실태
2-2.한국의 자살실태(그래프)
2-3.현 자살예방법
2-4.현 자살예방법의 개선점



Ⅲ결론.

Ⅳ참고자료 출처.

본문내용

문에 예산과 인력을 늘리고, 체계적인 관리 프로그램도 필요하다. 또한 그에 더불어 이러한 정책들에 대한 홍보또한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현재 많은 자살예방협회들이 있지만, 전문가들은 한해 1만5천여명이 자살하는 상황에서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전문인력과 병원, 자살 예방사업비 등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말합니다. 예산이 우선적으로 확보가 된 후에 자살 예방 교육과 자살예방 홍보 등을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개인적 차원의 방법들은 첫째, .정신장애 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치료 필요하다. 정신적인 장애가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택하게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개인정신질환을 가진 환자에 대한 가족과, 지인들의 긍정적인 말과 칭찬은 그들에게 힘이 되어주고, 그들의 생각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주변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은 그들이 세상을 살 맛 나는 세상이라고 생각할 수 있게 만드는 좋은 치료약이 될 수 있습니다. 사소하고 전형적인 개선방법이고 인식이지만, 이 인식개선이 한사람한사람을 통해 바뀌어 간다면, 충분히 자살예방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이다.
둘째, 생명을 존중하는 마음에 대한 교육 필요하다. 가장 중요한 생명에 대한 마음가짐입니다. 어떠한 부정적인 생각이나 사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행동으로 이어지도록 하지 않기 위해서는 생명을 존중하는 마음을 갖기 위해 교육을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셋째 : 자살에 대한 편견 타파 : 자살은 정신병이다, 예방할 수 없다 등의 여러 가지 편견을 타파해야한다. 자살은 예방불가능한 문제가 아니라 정신과에서 상담과 약물을 통해 치료받고, 정신건강을 체크하는것만으로도 예방이 충분히 가능하다. 그러나 정신치료에 대한 우리나라사람들의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정신과 치료를 받는것을 꺼리며, 실제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지만 치료를 받는 비율은 33%에 불과하다.
Ⅲ.결론
자살의 사회적, 심리적 요인을 살펴보았다. 자살의 원인은 심리적인 요인 사회적인 요인으로써 다양하고, 또한 우리나라의 자살 수준이 심각하다는것도 파악했다, 자살을 야기시키는 요인은 여러 가지 이지만, 국가, 사회, 국민의 관심만 있다면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현재 비록 우리사회는 많은 자살을 야기시키는 요인들과, 미흡한 정책들과 예산, 부적절한 사회의 인식문제들이 있어서 한 순간에 자살문제를 해결하거나 자살률을 낮추는것은 쉽지않을 것이다, 하지만 차츰 우리나라의 이런 복합적인 문제를 개선한다면, 희망이 보이는 우리 사회, 자살 없는 우리 사회가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있다. 더한 나아가서 우리나라의 자살률을 높이고 있는 여러 가지 사회적인 분위기와 요소들도 차츰 해결해 나가는 것이 자살을 예방하는 가장 근본적인 해결방안 이라고 생각한다. 사회적인 요소들을 바꾸는 일도, 미흡한 정책들을 개선시키는 일도, 개개인의 인식을 개선시키는 일도 모두 어렵고 단기간에 이루어 지지 않을 일이지만, 국가, 사회, 개인이 힘을 합친다면 불가능한 일도 아닐것이다.
Ⅳ참고자료
1.서론
1-1.자살의 정의
-네이버 백과사전 ‘자살’ 참고
2.본론
2-1.한국의 자살실태
-블로그 출처 ‘자살의 원인과 예방법을 전문가에게 들어보니’
2-2.현 한국의 자살실태(그래프)
source OECD홈페이지(http://lysander.sourceoecd.org)WHO
사회조사 보고서,2008년 ,통계청
-‘몸과 마음이 아픈 노인, 자살위험 더 크다’ ,문영환,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참조
2-4.현 자살예방법의 개선점
-‘조기진단ㆍ치료가 '극단적 선택' 막는다. 고위험군 집중관리 필요..'쥐꼬리 예산'도 문제’, 서울=연합뉴스, 이정진 김동규 임수정 기자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3.02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13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