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교육] 북한의 교육의 실태와 남북한의 교육 비교 분석 및 통일 이후의 교육 전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남·북한의 교육 비교
Ⅲ. 남·북한의 교육 통합
Ⅳ. 통일 이후의 교육
Ⅴ. 마무리하며

본문내용

과 요소를 시정하는 것이 남북한 교육통합의 첫걸음이 될 것이다.
여섯째, 교육의 보편적인 가치를 구현하는 방향을 추진해야 한다. 남북한의 교육이 상호 이질성을 지니고 있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현대 사회에서 교육이 추구할 보편적인 가치로서 민주주의 교육, 인간의 존중, 개성의 실현, 자아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는 교육, 도덕규범의 훈련 등은 교육통합의 방향으로서 중시할 요소들이다. 또한 우리 민족이 추구하는 전통적인 가치로서 전통적인 도덕규범, 전통 문화도 교육통합의 방량을 중시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남북한이 동질성을 발견하고 이를 발굴해 나가면서 상호간의 화합과 통합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Ⅳ. 통일 이후의 교육
▷ 교육이념 :
교육은 각 인간의 미래를 향한 무한한 가능성을 끌어내면서도 그 사회의 발전을 책임질 창의적이고 자주적인 능력을 지닌 인간을 기르는 것이어야 한다. 이렇게 볼 때 교육이념은 한 시대, 한 국가가 안고 있는 사회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고 좀 더 나은 사회로 발전시켜야 하는 역사적 과제를 포괄할 수 잇을 이념이어야 하며, 교육의 목적은 이러한 교육이념을 구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내용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남북한 교육이념과 목표의 통합은 남북한 교육목표의 유사점과 동질성을 발견하고 이를 발전적으로 계승·적용시키는 것에서 출발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통합된 교육이념은 남북이 공히 추구하는 교육의 본질적이고 근본적인 가치인 인간의 존엄성, 도덕적인 품성, 개성의 존중 등의 보편적인 가치에 기반을 두어야 할 것을 함의한다. 또 배타적이고 패쇄적인 민족주의가 아니라 열린 민족주의에 입각하여 민족의 전통적인 문화와 생활 공동체를 유지 발전시키는 민족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남북한 상호간의 이해화 협력을 도모하며, 나아가 인류공영의 이상 실현에 이바지하는 방향으로 통일한국의 교육이념과 목표가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즉 민주주의의 이념이 추구하는 인간의 존엄성, 도덕적인 품성, 개성의 존중 등의 보편적인 가치에 기반을 두어야 하고, 민족의 전통적인 문화와 생활 공동체를 유지 발전시키는 민족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남북한 상호간의 이해와 협력을 도모하며, 나아가 인류공영의 이상 실현에 이바지하는 방향으로 통일 한국의 교육이념과 목표가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 학제의 구조 :
남·북한의 현재 학제의 구조에 기초하여 남북한 학제구조의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과 북한간의 학교단계별 수업연한의 조정, 통합은 전반적인 제도 개편을 요구하는 문제이며, 부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조건이 수없이 많기 때문에 일시적인 개편보다는 점진적인 방향으로 개편해나가야 할 것이다. 학제의 개편 작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학교제도에 관한 종합적이며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보통교육으로서의 중등교육 단계를 18세에 마치고 그 이후에는 취업을 통해서 사회로 진출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학제의 기본구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는 18세 연령이 직업선택이나 진로 및 전문 과정을 선택하는데 적절한 시기라고 보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북한은 현재 16세에 마치고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빠른 연령에서 보통교육을 종료한다고 볼 수 있으며, 남한은 18세에 마치기 때문에 적절한 연령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진로교육의 분화 시기는 후기 중등단계가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기능인을 양성하려면 후기 중등단계에서 직업기술교육을 실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남한에서 고등학교 단계의 실업교육을 강화함으로써 기능 인력을 양성, 확보하려는 정책은 오늘날 산업계가 요구하는 바이기도 하지만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대학진학 준비 과정에 편중되는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조치라고 볼 수 있다. 북한에서도 산업발달의 수준에 적합한 기능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후기 중등교육 단계에서의 직업기술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남북한의 학교제도 통합의 전제조건으로서 학교제도상에서 학생이동이 보다 융통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남북한 상호간의 연계조치를 강구할 필요가 있다. 우선 학교단계별 수업연한의 차이를 어떻게 극복하고 보완해 나갈 것인가, 또한 학교 단계 간 학생이동시에 서로간의 수업 연한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에 대한 잠정적인 조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Ⅴ. 마무리하며
▷ 지금까지 남한과 북한의 교육을 다방면으로 분석·비교해 보았으며, 앞으로의 통합 방향에 대하여도 제시하였다. 지금 이 시점, 통일시대의 가시화와 더불어 남북한 교육의 통합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청되는 것이 사실이므로, 교육의 통합을 제시하는 교육이념의 통합에 대한 논의는 이 중에서도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다. 끝으로 앞으로의 교육이념 통합을 위해서 어떠한 노력들이 필요한지 제시하며 마무리한다.
첫째, 통일과 관련된 교육주체들의 의식변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교사는 제일 먼저 지금까지의 반공교육, 반북교육으로부터 벗어나 민족공동체 지향적인 의식, 통일지향적인 의식으로의 사고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연수과정이나 자각적인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교육의 제반 여건이 통일지향적인 교육으로의 전환을 준비해나가야 할 것이다. 관련 교과서의 개편작업과 통일전담 교사의 준비 및 연수과정, 통일관련 프로그램의 학교 내부적인 준비와 실시 등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셋째, 교육통합의 구체적인 과정과 이에 따른 제반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통일과정에 따른 단계별 교육통합의 과제와 계획 및 이에 따른 남북한의 교과서, 교육제도, 학제, 교원양성기관 등의 통합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 참고 문헌
남·북한 교육제도에 대한 비교 연구 : 통일 후 교육제도를 중심으로
/ 윤세정
남북한 교육이념의 분단구조적 특성과 통일국가의 교육이념
/ 안승대
남·북한 교육제도 비교연구
/ 차선미
http://blog.naver.com/tmdwo200?Redirect=Log&logNo=140018662284
※. 추가 사항
교수님이 말씀하신 북한 학생들의 단체 생활과 관련한 추가 사항은 ‘Ⅱ. 남·북한의 교육 비교’ 의 ‘단체 생활’ 단락에 추가하였습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2.03.02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14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