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정책 변화와 저출산 해결방안★★]시대별 출산정책의 변화, 출산율 저하 현황, 출산율 저하에 대한 대책, 한 자녀(소황제)로 인한 부작용 및 해결책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
2-1. 출산 정책의 변화 ․․․․․․․․․․․․․․․․․․․․․․․․․․․․․․․․․․․․․․․․․․․․․․․․․․․․․․․․․․․․․․․․․․․․․․․․․2
2-2. 출생률의 변화 ․․․․․․․․․․․․․․․․․․․․․․․․․․․․․․․․․․․․․․․․․․․․․․․․․․․․․․․․․․․․․․․․․․․․․․․․․․․․․․․7
2-3. 현재 출산률 ․․․․․․․․․․․․․․․․․․․․․․․․․․․․․․․․․․․․․․․․․․․․․․․․․․․․․․․․․․․․․․․․․․․․․․․․․․․․․․․․․․9
2-4. 출산률 감소와 대책 ․․․․․․․․․․․․․․․․․․․․․․․․․․․․․․․․․․․․․․․․․․․․․․․․․․․․․․․․․․․․․․․․․․․․10
3. 태교 ․․․․․․․․․․․․․․․․․․․․․․․․․․․․․․․․․․․․․․․․․․․․․․․․․․․․․․․․․․․․․․․․․․․․․․․․․․․․․․․․․․․․․․․․․․․․․․․12
3-1. 음악태교 ․․․․․․․․․․․․․․․․․․․․․․․․․․․․․․․․․․․․․․․․․․․․․․․․․․․․․․․․R

본문내용

될 준비도 안된 것으로 드러났다. 소황제 세대 중 60%는 자신의 부모에게 자녀양육을 미뤄놓고 있지만 종종 양육방식에 대한 의견 차이 때문에 3대가 갈등을 겪는 것으로 드러났다. 통신은 이들의 부모 역시 자식이 바빠지고 함께할 시간이 없어지면서 심한 외로움을 느끼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사회학자들은 중국의 1자녀 세대들이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맺고 갈등을 해결하려면 관용과 배려심을 길러야 한다고 말했다.
소황제란 중국정부가 1979년 산아제한을 위해 실시한 한가구 한자녀 정책하에서 태어난 외동아이를 일컫는다. 이들은 부모의 맹목적인 사랑과 과보호 속에서 자라 나약하고 자기중심적이다. 최근 이 세대가 성장해 어른이 되면서 사회적응력 부족, 대인관계 능력 저하 등으로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4-4. 조원들의 의견
아무리 태교가 중요하고, 태교를 함으로써 태아의 정서 발달과 인격 형성에 도움이 된다고는 하지만, 천만원 짜리 태교 음악을 들으면서 태교를 한다는 건 아무리 생각해도 사치스러운 일 인 것 같다. 물론, 내 아이를 가짐으로써 느끼는 행복과 그런 아이한테 어떤 것이든 해주고 싶은 것이 부모마음이라지만, 그건 아이가 태어나면 얼마든지 해줄 수 있는 일이 아닐까. 태교 음악에 그 큰 돈을 들일 게 아니라 진정으로 중요한 게 무엇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아야 할 것 같다. 굳이 그렇게 하지 않아도 아이한테 진정으로 효과적인 태교법은 얼마든지 있을 거라고 생각된다. 다만 경제적인 여유가 있다는 이유와 아이한테 명품을 입히고, 귀족처럼 키우게 되면 과연 그게 진정으로 가치가 있는 일인지 의문이다. 그냥 돈 있는 사람들의 돈 자랑 하는 것으로 밖에 보이질 않는다.
소황제들의 특징이 어릴 때 부터 풍요로운 부모 밑에서 체계적인 경제교육을 받고 자라며 명품에 익숙한 모습을 보이고 고집불통에다 버릇이 없고 자립심이 부족하며 참을성이 없는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이제 우리나라도 출산율이 1.08명이 되면서 소황제의 개념이 많이 자리 잡았는데 이런 부모들의 과보호와 맹목적인 사랑으로 소황제를 키운다는 것이 정말 그 아이들이 성장했을 때 진정 그들에게 도움이 될런지 의구심이 든다.
개인적으로 결혼을 한다 해도 자녀계획은 없지만 만약에 낳는다고 하여도 소황제로 키울 생각은 절대 없다.
개인적으로 소황제 현상에 대해 반대하는 쪽은 아니다. 내 아이들에게는 남들만큼 아니 남들보다 더 잘해 주고 싶은 게 부모 맘이기 때문이다. 다만 이로 인해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비뚤어진 가치관을 심어준다는 것에는 문제가 있다고 본다. 아이는 비싸면 무조건 좋다는 인식을 가지고 맹목적으로 헌신하는 부모를 보면서 인내심과 참을성, 양보 등을 배우지 못하는 것이 그 문제라 할 수 있다.
아이 사랑의 잣대는 돈이 아니다. 내 자식을 소중히 여기고 건강히 자랐으면 하는 부모의 정성과 이를 위한 정당한 헌신 이라고 생각한다. 돈, 명품이 아닌 부모의 관심으로 치장한 아이 , 나 보다는 타인을 먼저 생각 할 줄 아는 아이가 가장 현명하게 자란 아이의 모습이라고 생각한다.
요즘 젊은 부부들은 ‘하나만 낳아 잘 키우자’라는 생각이 강하다. 또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하는 데 비해 사회적인 보육지원책이 열악한 현실에서 자녀 한 명을 더 낳는다는 것은 엄청난 기회비용을 갖는다. 중국처럼 정부 차원의 규제가 없더라도 아이를 키우기 어려운 세태가 자연스럽게 소황제를 탄생시키고 있는 것이다.
아이들에게 최상의 조건을 갖추고 제공하면서 키우고 싶은 것은 부모의 마음으로서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그렇게 키운 아이들이 자립심과 사회성을 갖추지 못한 체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게 될 것이고 결국 사회 문제를 야기 하게 될 것이다.
앞으로 태어날 자녀를 위해 투자를 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하지만 1000만원이 넘는 교재나 씨디를 사서 태교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비싼 것이 좋은 것이다’라는 인식 아래 무조건 돈을 많이 투자하는 것이 아이에게 좋을 것이라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고 본다. 진정 아이를 위한 태교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경제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앞으로 태어날 아이를 위한 기반을 잡아두는 것이 더 훌륭한 부모의 자질이라고 생각한다.
5. 결론
: 이렇게 해서 정리를 해보았는데, 출산에 대한 저희 조의 의견을 종합해 보자면, 출산이란 마땅히 이뤄져야할 선택사항이 아닌 의무사항이라고 까지 말하는 조원이 있었고, 출산이 나라 형성에 틀을 잡기는 커녕 가족해체로 변모하고 있고 출산이 경제적 부담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의식에 안타깝다는 의견이 대다수 였습니다.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출산을 장려하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고, 이는 우리나라의 경쟁력이 강화되는 한 수단으로까지 발전된다고 의견을 모았습니다. 그리고 저출산으로 인한 자녀의 아낌을 소황제로 끼워내는 현실에 대해서는 아무리 태교가 중요하고, 태교를 함으로써 태아의 정서 발달과 인격 형성에 도움이 된다고는 하지만, 천만원 짜리 태교 음악을 들으면서 태교를 한다는 건 사치스러운 일 인 것 같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태교에 큰 돈을 들일 게 아니라 진정으로 중요한 게 무엇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고, 부모들의 과보호와 맹목적인 사랑으로 소황제를 키운다는 것이 정말 그 아이들이 성장했을 때 진정 그들에게 도움이 될 런지, 돈과 명품이 아닌 부모의 관심으로 치장한 아이, 나 보다는 타인을 먼저 생각 할 줄 알고, 자립성과 사회성을 갖출 수 있도록 아이를 키우는 것이 가장 현명하게 키우는 부모님의 모습이라고 결론 내렸습니다.
이번 강의와 조별 토론을 통해 가족을 구성하는 한 요소인 출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면서 그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고 정부의 노력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되었습니다.
참고자료
저출산 고령사회위원회 www.precap.go.kr
http://www.ppfk.or.kr/ 관계부처합동<함께하는 출산, 양육 정책 ‘둘둘 plan'>
소현숙 20세기 여성사건사 (도서출판 여성신문사) 2001.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대한가족계획협의회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2.03.02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1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