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불정책] 3불정책의 의미와 특징 및 3불정책에 대한 찬반 논의와 우리의 견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교육의 개념과 기능

2. 주제 선정 배경

3. 3불 정책 현황 및 실태
(1) 우리 나라 안에서의 3불정책
가. 본고사
나. 고교 등급제
다. 기여 입학제
라. 3불정책 폐지론
마. 3불정책 옹호론
바. 3불정책에 대한 찬반 자료

(2) 다른 나라의 경우

4. 우리조 입장에서 본 폐지론자들의 문제점

5. 앞으로 나아가야 할 3불 정책의 방향
(1) 정책적 대책
(2) 우리의 견해

본문내용

전교 1·2등을 꾸준히 유지했다. 그렇다면 흔히 말하는 SKY대학(서울대·고려대·연세대)을 나와서 대기업에 다니고 있겠거니 생각했다.그런데 웬걸? 한씨는 4년제 대학 대신 2년제 대학을 선택했다. 대학 간판 대신 하고 싶은 분야를 택한 것. 그는 실내건축을 선택했는데, 그 과가 4년제 대학엔 없었기 때문이다. 졸업한 뒤엔 곧장 취직해서 전공을 살리고 있다. 직원이 10명인 직장에서 그가 하고 있는 일은 조경. 인터뷰를 한 것은 그래서다.처음엔 아버지 한효석 시민기자(논술강사)에게 연락을 했다. 그랬더니 돌아온 아버지의 말은 이랬다."당사자한테 직접 들어보니 그래요. 나한테 걸러서 듣지 말고. 아이 생각은 또 다를 수 있으니까."그래서 방향을 바꿔서 한송이씨에게 전화를 걸었다. 대면인터뷰를 부담스러워한 그는 전화인터뷰를 원했다. "독특하다"고 말문을 열자 "제가 취재거리가 안될 텐데요, 너무 평범하거든요, 그다지 극적인 것도 없구요"라는 답이 돌아왔다. 그가 대면인터뷰를 부담스러워한 것도 "너무나 평범하다"는 이유에서였다. 진심이었다. 그는 인터뷰 내내 이 말을 수도 없이 했다.아무튼 '독특'을 뽑아내려는 나와 '평범'으로 응수한 한송이씨의 대화를 여기에 소개한다. 직장생활 5년차인 송이씨는 시종일관 밝은 목소리로 '밋밋한' 내 질문들을 잘 받아주었다.SKY를 포기한 우등생의 선택 -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전교 1·2등을 했다는데, 그렇다면 4년제 대학 가는 게 일반적인 것 아닌가요?"하하. 제가 뭐 아주 뚜렷한 목표가 있었던 것처럼 생각하시는 듯한데요. 그건 아니에요. 저도 수능 보기 전엔 4년제 갈려고 했어요. 정확히 말하면, 원래 제가 마음에 두고 있었던 과는 실내디자인이었어요. 그런데 실내디자인은 미술 실기 비중이 높더라구요. 미술전공하는 학생들한테 밀렸어요. 제가 시험을 못 봤거든요. 그래서 실내디자인과 비슷한 과를 찾았는데, 그게 실내건축이었죠. 실내건축은 4년제 대학에 없었고, 그래서 2년제 대학 쪽으로 방향을 튼 거죠."- 본인이 결정했어요? 주변에선 재수를 권했을 텐데요."물론 주변에선 재수를 하라고 권유를 했죠. 그런데 제가 원하던 공부가 아니어서, 더 공부하고 싶은 마음이 없었어요. 사실 수능 볼 때 못 봐도 괜찮다고 어느 정도는 생각하고 있었어요."- 학교에서 무척 아쉬워했겠는데요."학교에서 많이 아쉬워했어요. 선생님들도 한 번 더 해보라고 하셨죠. 친구들도 괜히 제 눈치 보고 그랬어요(웃음). 제 앞에서 함부로 대학 이야기도 못하고…. 무엇보다 부모님의 영향이 컸던 것 같아요. 부모님들이 더 좋은 대학 가라고 하면 스스로를 자책하면서 힘들어했겠지만, 부모님들은 '괜찮다'고 하셨어요. 제가 2년제 대학을 선택했을 때, 부모님들은 '학교 이름은 떨어지지만 좋은 곳'이라고 하셨어요."- 명절 스트레스는 없었나요. '누구는 어디 갔다는데'라는 말이 많이 나오잖아요."받았죠. 그런데 뭐 어때요. 1년에 두 번 뿐인데."- 고등학교 때는 어떤 학생이었어요?"아주 평범했어요. 특별히 튀지 않았어요. 꿈이 특별한 것도 아니었구요."- 대학입시 때 미술전공 학생들한테 밀렸다는 이야기를 했는데, 왜 미술학원을 다니지 않았죠?"그 때는 공부만 해야 하는 줄 알았어요. 학원에 다닐 만한 분위기가 아니었거든요. 게다가 예체능을 공부하면 대학 잘 간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학생들도 몇몇 있었는데, 별로 즐거워하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관심을 두지 않았죠."- 오로지 학교 공부만 했다는 말씀이시군요."그래야 하는 줄 알았으니까요. 아무리 생각해도 평범한데…(웃음). 학원 과외도 받은 적은 없어요."- 과외를 받지 않으면 수능이 어려웠을텐데."수능은 약간 부족한 걸 느꼈지만 방법이 없다고 생각했어요. 둘 다(내신과 수능) 잘 할 수는 없으니까요.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어요. 점수가 안 나와서 스트레스를 받긴 했지만(웃음)."-점수가 잘 나오지 않았다면 부모님이 학원 가라고 했을 것 같은데요."저희 부모님은 전혀 강요하지 않으셨어요. 오히려 주변 이웃들이 이야기를 많이 하셨죠. '어디 다니면 점수 높아진다'라면서 계속 말을 붙이셨죠. 그러면 저희 부모님이 넌지시 여쭤보세요. '너도 다녀볼래'라구요. 제가 '싫다'고 그러면 부모님은 다시는 그 이야기를 꺼내지 않으셨어요. 저는 학교나 학원이나 똑같다고 생각해요. 학교에서 수업 이해 못하는 학생이 있듯이 학원에서도 이해 못하는 학생이 있다고 생각해요. 학교에서 이해 못한 것을 학원 간다고 이해하겠어요?"- 부모님이 성적에 대한 압박을 적게 주셨나 봐요?"거의 없었다고 봐야죠. '너 점수 떨어졌니? 다음 시험 준비 해야지' 정도는 이야기하셨죠. 다른 아이들과 비교해 봐도 아주 적은 편이에요. 물론 스트레스 받을 때도 있었지만요.""하고 싶은 일에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어"- 친구들도 많이 만나시죠? 흔히 말하는 좋은 대학에 진학한 친구들과 만나서 불편하진 않나요."하하. 신경 쓸 게 뭐 있어요. 오히려 그 친구들이 조심스러워하는 것 같아요. '직장 다닐 만해?' 그렇게 물어본 친구들은 한 명도 없었어요. 그런데 솔직히 말하면 공부를 못한 친구들이 좋은 대학 간 것 보면서 부러웠던 적 있어요."- 4년제 대학 나온 친구들보다는 사회생활을 많이 한 편이겠네요. 진로에 대한 후회는 없습니까?"꼭 그렇지도 않아요. 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취직한 친구들도 있거든요. 친구들은 다 제 각각인 것 같아요. 4년제 나와서 좋은데 취직한 친구들도 있고, 4년제 나와서 계속 공부하는 친구들도 있고. 같은 2년제 나왔는데, 꿈이라는 것보다는 현실에 부딪혀서 돈을 벌어야 하는 친구들도 많아요. 가끔 인문계 고등학교 나와서 내가 이쪽 분야에 재능이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죠."- 언제까지 이 일을 하실 생각이세요."오래 하긴 힘들죠. 힘드니까. 그런데 일할 수 없는 나이가 될 때쯤엔 편하게 일하는 위치가 돼 있겠죠(웃음)."- 만족도를 말한다면."나쁘진 않은 것 같아요. 남들이 이야기할 때 '평범하게 사는 게 가장 힘들다'고 하는데, 내가 이걸 해내고 있구나 싶어서 뿌듯해요. 너무나 평범해서 특별하지가 않죠. 그래서 기사화하기가 좋지 않을 텐데…."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2.03.02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15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