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공학_대중교통서비스계획_철도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대중교통 서비스계획

1. 도시철도 노선계획

2. 도시철도 수요추정과정

Chapter 13. 대중서비스 계획 : 도시철도중심 (Public Transportation Planning)

본문내용

대중교통 서비스계획
1. 도시철도 노선계획
우리나라의 도시교통체계의 발달패턴은 도로망 구축 위주에서 바야흐로 전철(지하철 포함) 노선망 구축으로의 전환 시점에 돌입하였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어느 때보다도 대도시와 주변도시를 연결하는 전철의 건설이 절실히 요청된다고 하겠다. 그동안 지하철이나 전철노선이 설정된 과정은 그때그때 상황에 맞추기이거나 즉흥적인 발상에 의해 노선을 설정한 느낌이 없지 않다. 지금까지 지하철, 전철노선은 도시 전체의 교통체계나 도시토지이용적 특성 및 승객수요패턴을 배려하지 못해 대도시 교통난 해소에 대한 기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전철노선 건설시에 체계적인 노선계획과정의 수립이 절실히 요청된다고 하겠다.
도시철도 노선계획은 최적노선을 선정하기 위하여 해당지역의 사회경제, 물리적 여건 및 특성과 타 교통수단 및 교통시설을 포함한 도시교통체계의 요소를 종합적이며 총괄적으로 체계화하는 작업과정이다. 도시철도 노선계획은 노선이 충분한 기능을 발휘하도록 대상지역의 제반조건을 조사하여 최적노선의 위치를 설정해야 한다. 도시철도노선의 계획과정은 여러 각도에서 접근할 수 있으나 보편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는 계획과정의 틀을 [그림 ]과 같이 정립해 볼 수 있다.
2. 도시철도 수요추정과정
도시철도의 교통수요는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4단계 수요추정방법을 적용한 도시종합교통수요추정의 결과에서 도시철도수요만을 택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해당 전철노선의 교통죤을 대상으로 하여 승객수요를 구체적으로 추정하는 방법도 있다. 후자의 방법도 기본적으로 4단계수요추정방법을 토대로 하고 있다.
- 권역의 설정 : 생활권, 도심지까지의 통행시간, 사회경제적적인 요소를 감안하여야 함.
- 죤의 설정 : 교통수요추정의 기본이 되는 공간단위로서 행정구역을 기본으로 함.]
- 현황분석(사회경제지표) : 인구 및 사회경제지표, 토지이용 및 Base O/D, Network 정립
- 장래 사회경제지표예측 : 현황분석의 인구 및 사회경제지표의 장래전망을 예측함.
- 통행발생(Trip Generation) : 출근, 등교통행을 중심으로 죤별 장래 유입유출량 정립
- 통행분포(Trip Distribution) : 장래 죤간 기종점(Origin-Destination) 통행량 산출.
- 수단선택(Mpdal Split) : 전철을 교통수단으로 선택하는 분담률 추정.
- 통행배분(Assignment) : 노선별 저항함수 및 통행시간 고려하여 가로망에 배분.
- 노선별 첨두시 수송량 : 첨두시 집중률 감안하여 첨두시 이용승객수 산출.
- 운영계획 수립 : 배차간격, 노선용량, 투입차량 및 인력 산출.
다음은 도시철도의 노선계획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다음은 도시철도의 수요추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2.03.02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15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