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이해
3. 나가며
<언어영역 문제>
<임용 문제>
2. 이해
3. 나가며
<언어영역 문제>
<임용 문제>
본문내용
② 남윤이 떠나려 하자 이석랑은 부창부수(夫唱婦隨)의 태도를 보여.
③ 화광이 충천하고 사별하는 소리에 모든 사람들이 혼비백산(魂飛魄散)하고 있어.
④ 왜병에게 잡힌 남윤은 사면초가(四面楚歌)의 처지에 있어.
⑤ 왕굴충의 말을 들은 남윤은 유유자적(悠悠自適)하고 있어.
=>한자성어를 물어 보는 문제이다. ①좌불안석 : 마음이 불안하거나 걱정스럽다. ②부창부수 : 남편이 하는 말에 아내가 따른다. ③혼비백산 : 몹시 놀라 넋을 잃음 ④사면초가 : 사방이 적으로 둘러 쌓여서 위태로운 상황 ⑤유유자적 : 속세를 떠나 아무 속박 없이 조용하고 편안하게 삶, 따라서 관계없는 답은 ⑤번
5. ㉠~㉤에 대한 설명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 : 떠나기 싫어하는 남윤을 설득해서 보내려 하고 있다.
② ㉡ : 이경희는 정신을 차리고 가족들에게 피란의 지시를 내리고 있다.
③ ㉢ : 이석랑은 남윤과의 이별을 슬퍼하고 있다.
④ ㉣ : 남윤은 위기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재물을 주겠다고 한다.
⑤ ㉤ : 남윤을 죽이는 것보다 포로로 잡는 것이 더 이득이 된다고 생각한다.
=>①, ②, ③, ⑤은 맞는 말이다. 그러나 ④번은 위기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재물을 준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뒷부분에 언급되듯이 천형을 받을 것이라고 위협한다.
<임용문제>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왜왕이 청파에 남윤을 인견하사 상좌에 앉히고 필연을 내어 문필을 구경하니, 글씨는 왕희지 같고 문장이 태백의 적수라. 왜왕이 크게 기뻐해 왈, “과인이 너로 하여금 공주의 배필을 삼고자 하니, 너는 모름지기 충성을 다하여 과인을 섬기라.” 하니, 남윤이 이 말을 듣고 대로하여 꾸짖어 왈, “나는 본래 부모의 독자로 본국에 일야 동침한 배필이 있는지라. 비록 네 나라에 잡혀왔으나 마음조차 변할소냐. 하물며 결친하는 날 밤에 왜란을 만나 이리 잡혀왔으니 이는 다 너의 연고라. 내 이제 네 나라에 들어와 본즉, 땅이 부족하냐, 백성이 부족하냐, 신하가 부족하냐, 무슨 부족함이 있어 무죄한 장졸을 만리 타국에 보내어 함몰하게 하니, 너 같은 위인이 어찌 왕위에 거하여 천앙이 또한 두렵지 아니하랴. 대장부 죽을지라도 어찌 개 같은 유의 자식으로 결혼하여 몸을 더럽히며, 너 같은 것을 임금으로 섬기리오, 대장부 죽을지라도 어찌 그러한 마음이 있으리오. 네 자식의 모양이 서시의 짝이요, 양귀비의 유라도 생각이 전혀 없고, 천금과 만호후를 봉할지라도 마침내 내 굽히지 아니하리라. 너는 이런 말로 내 귀를 더럽히지 말고 빨리 나를 죽이면 내 혼백이라도 고국에 돌아가 부모 처자를 찾으리라.(중략..)
(남윤은 꿈에서 요지로 간다) “저 홍포금관하신 이는 상제요, 좌우 시위하는 d는 제불제천이요, 녹의홍상한 이는 모두 선녀이어늘, 마침 칠월 칠석이매 견우 직녀 서로 만나는고로 이미 모인바이니, 상제 명하사 인간에 적강한 선관 선녀를 불러 베필을 정하심이니, 그대 부르거든 대답하옵소서.”하고, 즉시 올라가 남윤을 패초한 말씀을 아뢰되 답왈, “주성은 배필을 거느리고 았느냐.”하시되, 한 선녀 왈 “다 불러 왔나이다.” 상제 전지하사, “각각 차례로 부르라.” 하시니, 한 노승이 육환장을 짚고 장삼을 입고 염주를 목에 걸고 앞에 나와 명을 듣잡고 섬에 내려 청의선아를 명하여 남윤을 부르라 한 대, 선아 승명하여 남윤을 인도하여 계하에 세우고 상제의 명을 전하여 왈, “주성으로 말미암아 세 선녀 투기하여 남방에 화변이 자심하기로 인간에 적강하였더니, 인간에 적거한 연한이 지나거든 다 모아 즐기다가 칠십이 차거든 올라오되 월중선은 그 중에 죄가 경하니, 십년 후에 먼저 불러 올리리라. 너희는 자세히 청념하라.”
1. 위 글을 지도하기 위해 주요 학습 내용을 정리한 뒤 심화 자료를 선정하였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교수·학습요소
주요 학습 내용
①
작가
충효의 원리를 강조하는 점을 볼 때 보수적인 집권층의 작가이다.
②
가치관
집권층이지만 이상계를 설정했다는 점에서 근세지향적이다.
③
세계관
인간계와 비인간계가 있는 이원론적 세계관이다.
④
배경
경험의 세계인 지상과 선험의 세계인 천상이있다.
⑤
구조
환몽소설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임용 문제는 개개의 작품을 묻는 문제도 나오지만 상위갈래를 끌어 올려 묻는 문제가 출제 된다. (2010년도 임용 기출, 30번 문제 참고) <남윤전>중 위의 지문은 이상지향적 소설을 나타낸다고 할 때, ②의 근세지향은 현실지향적 소설의 특징이다. 이상지향적 소설의 가치관은 중세, 전근대 지향이다.
③ 화광이 충천하고 사별하는 소리에 모든 사람들이 혼비백산(魂飛魄散)하고 있어.
④ 왜병에게 잡힌 남윤은 사면초가(四面楚歌)의 처지에 있어.
⑤ 왕굴충의 말을 들은 남윤은 유유자적(悠悠自適)하고 있어.
=>한자성어를 물어 보는 문제이다. ①좌불안석 : 마음이 불안하거나 걱정스럽다. ②부창부수 : 남편이 하는 말에 아내가 따른다. ③혼비백산 : 몹시 놀라 넋을 잃음 ④사면초가 : 사방이 적으로 둘러 쌓여서 위태로운 상황 ⑤유유자적 : 속세를 떠나 아무 속박 없이 조용하고 편안하게 삶, 따라서 관계없는 답은 ⑤번
5. ㉠~㉤에 대한 설명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 : 떠나기 싫어하는 남윤을 설득해서 보내려 하고 있다.
② ㉡ : 이경희는 정신을 차리고 가족들에게 피란의 지시를 내리고 있다.
③ ㉢ : 이석랑은 남윤과의 이별을 슬퍼하고 있다.
④ ㉣ : 남윤은 위기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재물을 주겠다고 한다.
⑤ ㉤ : 남윤을 죽이는 것보다 포로로 잡는 것이 더 이득이 된다고 생각한다.
=>①, ②, ③, ⑤은 맞는 말이다. 그러나 ④번은 위기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재물을 준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뒷부분에 언급되듯이 천형을 받을 것이라고 위협한다.
<임용문제>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왜왕이 청파에 남윤을 인견하사 상좌에 앉히고 필연을 내어 문필을 구경하니, 글씨는 왕희지 같고 문장이 태백의 적수라. 왜왕이 크게 기뻐해 왈, “과인이 너로 하여금 공주의 배필을 삼고자 하니, 너는 모름지기 충성을 다하여 과인을 섬기라.” 하니, 남윤이 이 말을 듣고 대로하여 꾸짖어 왈, “나는 본래 부모의 독자로 본국에 일야 동침한 배필이 있는지라. 비록 네 나라에 잡혀왔으나 마음조차 변할소냐. 하물며 결친하는 날 밤에 왜란을 만나 이리 잡혀왔으니 이는 다 너의 연고라. 내 이제 네 나라에 들어와 본즉, 땅이 부족하냐, 백성이 부족하냐, 신하가 부족하냐, 무슨 부족함이 있어 무죄한 장졸을 만리 타국에 보내어 함몰하게 하니, 너 같은 위인이 어찌 왕위에 거하여 천앙이 또한 두렵지 아니하랴. 대장부 죽을지라도 어찌 개 같은 유의 자식으로 결혼하여 몸을 더럽히며, 너 같은 것을 임금으로 섬기리오, 대장부 죽을지라도 어찌 그러한 마음이 있으리오. 네 자식의 모양이 서시의 짝이요, 양귀비의 유라도 생각이 전혀 없고, 천금과 만호후를 봉할지라도 마침내 내 굽히지 아니하리라. 너는 이런 말로 내 귀를 더럽히지 말고 빨리 나를 죽이면 내 혼백이라도 고국에 돌아가 부모 처자를 찾으리라.(중략..)
(남윤은 꿈에서 요지로 간다) “저 홍포금관하신 이는 상제요, 좌우 시위하는 d는 제불제천이요, 녹의홍상한 이는 모두 선녀이어늘, 마침 칠월 칠석이매 견우 직녀 서로 만나는고로 이미 모인바이니, 상제 명하사 인간에 적강한 선관 선녀를 불러 베필을 정하심이니, 그대 부르거든 대답하옵소서.”하고, 즉시 올라가 남윤을 패초한 말씀을 아뢰되 답왈, “주성은 배필을 거느리고 았느냐.”하시되, 한 선녀 왈 “다 불러 왔나이다.” 상제 전지하사, “각각 차례로 부르라.” 하시니, 한 노승이 육환장을 짚고 장삼을 입고 염주를 목에 걸고 앞에 나와 명을 듣잡고 섬에 내려 청의선아를 명하여 남윤을 부르라 한 대, 선아 승명하여 남윤을 인도하여 계하에 세우고 상제의 명을 전하여 왈, “주성으로 말미암아 세 선녀 투기하여 남방에 화변이 자심하기로 인간에 적강하였더니, 인간에 적거한 연한이 지나거든 다 모아 즐기다가 칠십이 차거든 올라오되 월중선은 그 중에 죄가 경하니, 십년 후에 먼저 불러 올리리라. 너희는 자세히 청념하라.”
1. 위 글을 지도하기 위해 주요 학습 내용을 정리한 뒤 심화 자료를 선정하였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교수·학습요소
주요 학습 내용
①
작가
충효의 원리를 강조하는 점을 볼 때 보수적인 집권층의 작가이다.
②
가치관
집권층이지만 이상계를 설정했다는 점에서 근세지향적이다.
③
세계관
인간계와 비인간계가 있는 이원론적 세계관이다.
④
배경
경험의 세계인 지상과 선험의 세계인 천상이있다.
⑤
구조
환몽소설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임용 문제는 개개의 작품을 묻는 문제도 나오지만 상위갈래를 끌어 올려 묻는 문제가 출제 된다. (2010년도 임용 기출, 30번 문제 참고) <남윤전>중 위의 지문은 이상지향적 소설을 나타낸다고 할 때, ②의 근세지향은 현실지향적 소설의 특징이다. 이상지향적 소설의 가치관은 중세, 전근대 지향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