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_및_목의_근육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근육의 종류

골격근의 형태

골격근의 기시와 정지

골격근의 작용

머리의 운동

안면근

안면근(얼굴근육)의 종류

저작근

저작근의 특징

저작근(씹기근육)의 종류

목의 근육

천경근

외측경부근

설골근

본문내용

이기도 한다. 이와 같은 운동으로 상하악 치아가 맞물리고 음식물을 씹을 수 있으며 그 외의 구강운동이 가능하다. 이 근육들은 매우 강력하며 4종류가 있다.
저작근의 특징
1. 음식물을 씹을 수 있도록 저작운동을 한다
2. 근육을 싸는 근막이 있다.
3. 기시와 정지가 모두 뼈에 있다. 즉 머리뼈바닥바깥면에서 기시하여 하악골에 정지한다.
4. 삼차신경의 세 번째 가지인 하악신경이 지배한다.
저작근(씹기근육)의 종류
측두근 교근 외측익돌근 내측익돌근
1. 측두근
편평한 근육이고. 측두와 속에 있으며, 전측두른, 중측두근, 후측두근 등 3부분으로 나뉘어 진다.
기시 : 측두근막, 하측두선 및 측두와
정지 : 전측두근 - 근돌기의 앞모서리
중측두근 - 근돌기의 꼭대기 부위
후측두근 - 근돌기의 뒤모서리
작용 : 1. 폐구. 즉, 하악골을 위로 올린다.
2. 전측두근은 하악골을 앞으로 끈다.
3. 후측두근은 하악골을 뒤로 끌고, 좌, 우 운동에 관여한다.
4. 중측두근은 하악골의 회선운동에 관여한다.
신경지배 : 하악신경의 심측두신경
2. 교근
하악지의 바깥면에 있는 근육이고, 천부와 심부로 구분한다.
기시 : 얕은부분 - 권골궁의 앞 2/3부위
깊은부분 - 권골궁의 뒤 1/3부위
정지 : 얕은부분 - 후하방으로 비스듬히 내려가서 하악지의 바깥면에 있는 교근조면에 정지
깊은부분 - 거의 수직으로 내려가서 하악지의 바깥면 위부위에 정지
작용 : 1. 폐구운동. 즉, 하악골을 위로 올린다.
2. 얕은부분 : 하악골을 앞으로 끈다.
3. 깊은부분 : 하악골을 뒤로 끈다.
신경지배 : 하악신경의 교근신경
3. 내측익돌근
하악지의 안쪽면에 있다.
기시 : 1. 접형골의 익돌와
2. 상악골의 상악결절
3. 구개골의 추체돌기
정지 : 후하방으로 비스듬히 내려가서 하악지의 안쪽면에 있는 익돌근조면에 정지
작용 : 1. 폐구. 즉, 하악골을 위로 올린다.
2. 하악골을 앞으로 끈다
신경지배 : 하악신경의 내측익돌근신경
4. 외측익돌근
하악지의 안쪽에 있고, 수평으로 있으며, 상두와 하두로 구분한다.
기시 : 위갈래 - 접형골 대익의 안쪽면 및 측두하능
아래갈래 - 접형골의 외측익돌판의 바깥면
정지 : 위갈래 - 악관절의 관절낭
아래갈래 - 하악두의 전내측면에 있는 익돌근와
작용 : 1. 개구운동. 즉, 하악골을 아래로 내리는 작용을 한다.
특히 개구운동의 초기 때 작용한다.
2. 하악골을 앞으로 끈다.
3. 하악골을 좌, 우로 움직이는 작용을 한다.
저작근의 작용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폐구운동 : 교근, 측두근, 및 내측익돌근
2) 개구운동 : 외측익돌근 및 설골상근
3) 하악골의 전진운동 : 외측익돌근, 내측익돌근, 교근의 얕은 부분 및 전측두근
4) 하악골의 후퇴운동 : 후측두근 및 교근의 깊은 부분
5) 하악골의 측방운동 : 외측익돌근 및 후측두근
목의 근육
천경근
광경근이 있다.
광경근
넓고 얇은 피근으로 피부에 밀착되어 해부시 분리하기 어렵다.
기시 : 쇄골 및 제 1, 2늑골
정지 : 내상방으로 가고, 하악골의 바깥면을 넘어 얼굴의 아래부위에 이른다.
작용 : 목의 피부를 위로 당기고 목의 주름살을 만들며, 앞부위는 하악골, 아랫입술 및 입꼬리를 아래로 잡아 당긴다.
신경지배 : 안면신경의 경지
외측경부근
흉쇄유돌근이 있다.
흉쇄유돌근
기시 : 흉골 및 쇄골
정지 : 측두골의 유양돌기 및 후두골의 상항선
작용 : 양쪽이 동시에 작용하면 얼굴을 위로 하고 머리를 뒤로 당기며, 한 족이 작용하면 머리를 근육 작용의 반대쪽으로 돌리며 턱을 올린다. 머리를 고정하면 가슴을 올리고 호흡을 돕는다.
신경지배 : 부신경 및 제 2,3경신경
설골근
설골은 턱 밑에 위치하며 U자 모양의 작은 뼈로서 다른 뼈들과 만나지 않으며, 하악골의 갑상연골 사이에 위치하는 특유희 뼈이다. 그러나 주변의 많은 근육이 설골에 부착하므로 실질적으로 근육의 닻 역할을 하고 있다.
설골상근
구강의 바닥을 이루고, 일명 부저작근이라 하며, 하악골을 아래고 잡아 당길 때에 보조적 역할을 한다.
종류 :
1. 악이복근
전복
후복
2. 경돌설골근
3. 악설골근
4. 이설골근
1. 악이복근
앞힘살과 뒤힘살로 구분된다.
기시 : 앞힘살 - 하악골의 이복근와
뒤힘살 - 측두골의 유돌절흔
정지 : 중간건
중간힘줄은 설골의 소각에 부착한 결합조직인 섬유성 활차를 통해서 움직인다.
작용 : 앞힘살은 개구운동의 말기에 작용하고, 설골이 고정된 경우에는 하악골을 후하방 으로 잡아당긴다.
신경지배 : 앞힘살은 하악신경, 뒤힘살은 안면신경
2. 경돌설골근
기시 : 측두골의 경상돌기
정지 : 설골의 대각
작용 : 설골을 후상방으로 당긴다.
신경지배 : 안면신경
3. 악설골근
기시 : 하악골의 악설골근선
정지 : 설골체 및 정중봉선
작용 : 설골이 고정된 경우에는 하악골을 아래로 끌어 내린다.
신경지배 : 하악신경
4. 이설골근
기시 : 하악골의 이극
정지 : 설골체
작용 : 설골이 고정된 경우에는 하악골을 아래로 끌어 내린다.
신경지배 : 설하신경
구강저의 형성에 관여하는 근육은 악설골근과 이설골근이고, 개구운동의 말기에 작용하는 근육은 악이복근전복이며, 개구운동의 보조적 역할을 하는 근육은 악설골근 및 이설골근이다.
설골하근
설골, 갑상연골, 흉골 및 견갑골에 부착하는 편평하고 가늘면서 긴 4개의 근육으로 구성된다.
종류 :
1. 흉골설골근
2. 견갑설골근
상복
하복
3. 흉골갑상근
4. 갑상설골근
1. 흉골설골근
기시 : 흉골병 및 쇄골
정지 : 설골체
작용 : 설골을 아래로 당긴다.
신경지배 : 경신경계제의 가지
2. 견갑설골근
중간건에 의하여 위힘살과 아래힘살으로 구분한다.
기시 : 위힘살 - 중간건
아래힘살 - 견갑골 위모서리
정지 : 위힘살 - 설골체
아래힘살 - 중간건
작용 : 설골을 후하방으로 당긴다.
신경지배 : 경신경계제의 가지
3. 흉골갑상근
기시 : 흉골병
정지 : 갑상연골의 사선
작용 : 갑상연골을 아래로 당긴다.
신경지배 : 경신경계제의 가지
4. 갑상설골근
기시 : 갑상연골의 사선
정지 : 설골체 및 대각
작용 : 설골을 아래로 당기고, 설골이 고정된 경우에는 갑상연골이 올라간다.
신경지배 : 설하신경
  • 가격2,8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03.08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23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