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량모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량모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역량모델의 개념

Ⅱ. 역량의 개념요소

Ⅲ. 역량모델에 대한 관심

Ⅳ. 역량모델 활용의 장점
1. 역량모델에 대한 비즈니스의 니즈
2. HRM시스템에서의 역량모델의 효용

Ⅴ. 역량 모델의 유형

Ⅵ. 역량 모델 구축


<참고문헌>

본문내용

체적인 직무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역량을 정리한 것으로, 직무 역량 단계에서 가장 구체적이고 개인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역량 모델이다.
Ⅵ. 역량 모델 구축
1. 1단계 : 전략적 배경과 목표에 대한 분석(Analysis of Strategic Context)
1단계에서는 전략이 수립된 배경과 그 내용, 그리고 최종 목표에 대해 분석한다. 역량 모델은 조직의 전략 달성을 가능하도록 하는 도구가 되기 때문에 전략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외에도 역량 모델의 시행에 대한 조직의 준비도 평가, 직무 역량 모델을 실질적인 업무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와 그 적용 방법의 설정, 사용할 역량 구축 기법의 선정과 전반적인 프로젝트 계획의 수립 등이 이루어진다.
2. 2단계 : 직무 역량 모델의 구축(Model Building)
본격적인 역량 모델의 구축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선정된 역량 구축 기법에 따라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역량 모델을 구축하게 된다. 시행 전에 구축된 역량 모델의 타당성 검증도 이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각 조직에 필요한 직무 역량을 구축하는 기법은 일반적으로 4가지 방법이 있다. 가장 정확한 방법은 전문가에 의한 중요행위 면접법(Behavioral Event Interview Method)이 있고, 이를 보완하거나 대체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문가 패널(Expert Panels), 역량 메뉴 개발법(Developing Competency Menu Method), 그리고 직무역량 사전(Competency Dictionary) 활용법 등이 있다. 각 방법의 내용과 장단점에 대해서는 다음 호에 소개한다.
3. 3단계 : 직무 역량 모델의 시행(Implementation)
구축된 직무 역량 모델을 시행하는 단계이다. 시행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활동들은 다음과 같다. 만들어진 역량 모델을 어떻게 현업에 적용할 지 검토하고 방법을 수립한다. 시행에 따른 반응이나 효과, 문제점 등을 찾아내고 평가한다. 성공적인 시행을 위해 역량 모델에 대한 교육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한다.
<참고문헌>
피터 드러커 외, 현재경제연구원 옮김, 성과측정, 21세기북스, 1999
일경 BP편, 아더 앤더슨 코리아 옮김, 최신 이노베이션 기법 50, 21세기북스, 1996
정종진, 이덕노, 인적자원관리, 법문사, 1994
최종태, 현대 인사관리론, 박영사, 1993
이학종, 인적자원관리, 세경사, 1996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09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25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