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역량모델의 개념
Ⅱ. 역량의 개념요소
Ⅲ. 역량모델에 대한 관심
Ⅳ. 역량모델 활용의 장점
1. 역량모델에 대한 비즈니스의 니즈
2. HRM시스템에서의 역량모델의 효용
Ⅴ. 역량 모델의 유형
Ⅵ. 역량 모델 구축
<참고문헌>
Ⅱ. 역량의 개념요소
Ⅲ. 역량모델에 대한 관심
Ⅳ. 역량모델 활용의 장점
1. 역량모델에 대한 비즈니스의 니즈
2. HRM시스템에서의 역량모델의 효용
Ⅴ. 역량 모델의 유형
Ⅵ. 역량 모델 구축
<참고문헌>
본문내용
체적인 직무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역량을 정리한 것으로, 직무 역량 단계에서 가장 구체적이고 개인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역량 모델이다.
Ⅵ. 역량 모델 구축
1. 1단계 : 전략적 배경과 목표에 대한 분석(Analysis of Strategic Context)
1단계에서는 전략이 수립된 배경과 그 내용, 그리고 최종 목표에 대해 분석한다. 역량 모델은 조직의 전략 달성을 가능하도록 하는 도구가 되기 때문에 전략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외에도 역량 모델의 시행에 대한 조직의 준비도 평가, 직무 역량 모델을 실질적인 업무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와 그 적용 방법의 설정, 사용할 역량 구축 기법의 선정과 전반적인 프로젝트 계획의 수립 등이 이루어진다.
2. 2단계 : 직무 역량 모델의 구축(Model Building)
본격적인 역량 모델의 구축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선정된 역량 구축 기법에 따라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역량 모델을 구축하게 된다. 시행 전에 구축된 역량 모델의 타당성 검증도 이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각 조직에 필요한 직무 역량을 구축하는 기법은 일반적으로 4가지 방법이 있다. 가장 정확한 방법은 전문가에 의한 중요행위 면접법(Behavioral Event Interview Method)이 있고, 이를 보완하거나 대체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문가 패널(Expert Panels), 역량 메뉴 개발법(Developing Competency Menu Method), 그리고 직무역량 사전(Competency Dictionary) 활용법 등이 있다. 각 방법의 내용과 장단점에 대해서는 다음 호에 소개한다.
3. 3단계 : 직무 역량 모델의 시행(Implementation)
구축된 직무 역량 모델을 시행하는 단계이다. 시행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활동들은 다음과 같다. 만들어진 역량 모델을 어떻게 현업에 적용할 지 검토하고 방법을 수립한다. 시행에 따른 반응이나 효과, 문제점 등을 찾아내고 평가한다. 성공적인 시행을 위해 역량 모델에 대한 교육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한다.
<참고문헌>
피터 드러커 외, 현재경제연구원 옮김, 성과측정, 21세기북스, 1999
일경 BP편, 아더 앤더슨 코리아 옮김, 최신 이노베이션 기법 50, 21세기북스, 1996
정종진, 이덕노, 인적자원관리, 법문사, 1994
최종태, 현대 인사관리론, 박영사, 1993
이학종, 인적자원관리, 세경사, 1996
Ⅵ. 역량 모델 구축
1. 1단계 : 전략적 배경과 목표에 대한 분석(Analysis of Strategic Context)
1단계에서는 전략이 수립된 배경과 그 내용, 그리고 최종 목표에 대해 분석한다. 역량 모델은 조직의 전략 달성을 가능하도록 하는 도구가 되기 때문에 전략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외에도 역량 모델의 시행에 대한 조직의 준비도 평가, 직무 역량 모델을 실질적인 업무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와 그 적용 방법의 설정, 사용할 역량 구축 기법의 선정과 전반적인 프로젝트 계획의 수립 등이 이루어진다.
2. 2단계 : 직무 역량 모델의 구축(Model Building)
본격적인 역량 모델의 구축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선정된 역량 구축 기법에 따라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역량 모델을 구축하게 된다. 시행 전에 구축된 역량 모델의 타당성 검증도 이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각 조직에 필요한 직무 역량을 구축하는 기법은 일반적으로 4가지 방법이 있다. 가장 정확한 방법은 전문가에 의한 중요행위 면접법(Behavioral Event Interview Method)이 있고, 이를 보완하거나 대체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문가 패널(Expert Panels), 역량 메뉴 개발법(Developing Competency Menu Method), 그리고 직무역량 사전(Competency Dictionary) 활용법 등이 있다. 각 방법의 내용과 장단점에 대해서는 다음 호에 소개한다.
3. 3단계 : 직무 역량 모델의 시행(Implementation)
구축된 직무 역량 모델을 시행하는 단계이다. 시행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활동들은 다음과 같다. 만들어진 역량 모델을 어떻게 현업에 적용할 지 검토하고 방법을 수립한다. 시행에 따른 반응이나 효과, 문제점 등을 찾아내고 평가한다. 성공적인 시행을 위해 역량 모델에 대한 교육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한다.
<참고문헌>
피터 드러커 외, 현재경제연구원 옮김, 성과측정, 21세기북스, 1999
일경 BP편, 아더 앤더슨 코리아 옮김, 최신 이노베이션 기법 50, 21세기북스, 1996
정종진, 이덕노, 인적자원관리, 법문사, 1994
최종태, 현대 인사관리론, 박영사, 1993
이학종, 인적자원관리, 세경사, 1996
추천자료
사이버사회의 형사법적 문제
인사관리 - 대한항공 인사고과시스템
[기업의 인사고과 시스템] 대한항공 인사고과 시스템 분석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 대한항...
e-scm의 구축과 운용 ERP구조, 유연성 및 확장 가능성 시스템 선정방식
국제기준 OSI참조 모델
[기술이전][해외기술이전][국내기술이전]기술이전의 유형, 기술이전의 필요성, 해외 기술이전...
[역량]국가자율성과 국가역량, 리더십역량평가, 기술역량, 심리검사를 통한 잠재 역량, 기업...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목표
인터넷 정보검색시스템과 정보검색수법, 인터넷 정보검색시스템과 질의 트리, 인터넷 정보검...
비즈니스모델(수익구조, 비지니스모델) 정의, 분류, 비즈니스모델(수익구조, 비지니스모델) ...
인터넷비즈니스(E비즈니스, E-BIZ, 이비즈니스)의 의미, 유형, 인터넷비즈니스(E비즈니스, E-...
[인사관리][인사관리 시스템][인사관리 규정][인사관리 제도][인사관리 관행][인사관리 전략]...
[기업경영][지역경제통합][정보화통합][브랜드통합][M&A][기업인수합병][기업 사회통합][...
OJT의 유형을 조사해서 제시하고 유형별 핵심적인 수행방법과 현업에서 기대효과를 기술해주세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