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견병(rabies)의 임상증상, 검사, 치료방법, 예방접종, 특수상황에서의 치료 지침에 대해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광견병(rabies)의 임상증상, 검사, 치료방법, 예방접종, 특수상황에서의 치료 지침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광견병의 특성
2.광견병의 임상증상의 발현단계
 (1)Prodromal period
 (2)Excitement phase
 (3)Brainstem dysfuction phase
 (4)회복기
3.임상증상
 (1)Classic rabies
 (2)Paralytic rabies
4.임상검사
 (1)동물검사
 (2)인체검사
5.치료방법
 (1)상처치료
 (2)항생제 투여 및 파상풍 예방
 (3)동물의 관찰
 (4)면역치료
6.예방접종
7.특수한 상황에서의 치료 지침
 (1)산모
 (2)소아
 (3)면역결핍 환자

본문내용

료를 계속 시행한다.
③면역치료에 사용되는 약제
면역방법
약품명
합병증
투여량
투여방법
능동
HDCV
통증, 두통, 오심, 피로감
1.0ml
0, 3, 7, 14, 28, 90 일째 근육주사
RVA
1.0ml
수동
HRIG
20IU/kg
1/2은 상처 부근에 주사
1/2은 둔부에 근육주사
ARS
40U/kg
6.예방접종
-동물과 접촉이 많은 사람은 광견병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안전하다.
-HDCV 0.1ml를 deltoid muscle에 intra-dermal로 주사
-2차 추가 접종은 1주 후에 동량으로 시행
-3차 추가 접종은 2~3주 후에 시행한다.
-3차 추가 접종을 시행하더라도 2년 후에 항체를 측정해 항체가 없으면 추가로 접종해야 한다.
7.특수한 상황에서의 치료 지침
(1)산모
-수동 및 능동 면역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별한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소아
-HRIG와 GDCV는 모두 성인 용량으로 투여하며, 근육주사시 대퇴부의 전외측부, deltoid 근육에 주사한다.
(3)면역결핍 환자
-면역치료를 시행하는 동안에는 투여를 중단해야 하며, 면역치료가 완료되면 2~4주 후에 항체를 측정해 추가 접종 여부를 결정한다.
  • 가격1,2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3.09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25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