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제목: 스트레인게이지[Strain Gauge]
2. 목적
3. 이론
4. 실험
5. 고찰
2. 목적
3. 이론
4. 실험
5. 고찰
본문내용
(켠다). 그리고 DMM을 TP3과 TP4 사이에 연결한다. 10VDC 공급이 켜지면 게이지는 내려가지 않는다. 그리고 R1은 브리지를 맞추기위해 눈금이 움직인다(Null 또는 0V). 게이지 레버를 풀고 브리지의 밸런스가 맞지 않는지 확인한다. 여러번 시도 후, 브리지가 매번 밸런스 포인트로 돌아온다면 이것을 기록해라. 전압은 얼마나 많이 변화하는가? 결과치 : 0~166mV
5. SWa-1, 2 스위치를 켠다(닫는다.). 브리지의 밸런스가 맞춰진 상태에서, DMM을 증폭기 output(TP5)에 연결하고 전압 output을 0로 밸런스를 맞춘다. 게이지 레버를 눌러서 output 전압의 변화를 측정한다. 결과치 : 166mV
6. 브리지와 TP5의 DC output 으로부터 증폭기의 DC gain을 계산한다.
결과치 : 21
7. 스트레인 게이지가 반대방향으로 움직였을 때, 눈금이 변하는 것을 정의해라.
결과치 : -35mV , 전압이 내려간다
8. 온도상승이 브리지 언밸런싱을 일으키는지 알아보기위해 게이지를 테스트해라. 브리지가 밸런스 상태이고 게이지의 눈금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테스트를 시작한다. 인두, 램프, 히팅건 같은 가열기구를 게이지 근처에 놓고, 게이지를 건들지 않는다. V, 전압이 변화하는가? 결과치 : Yes
5. 고찰
본 실험에서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재료의 변형률을 측정해 보는 실험을 했다.
측정값을 토대로 미지의 하중, 변위를 구할 수 있었고 직접 실험을 해봄으로써 스트레인 게이지 사용법도 알게 되고 이론적인 부분을 더욱더 자세히 알게 되어 참으로 만족스러운 실험이었다.
5. SWa-1, 2 스위치를 켠다(닫는다.). 브리지의 밸런스가 맞춰진 상태에서, DMM을 증폭기 output(TP5)에 연결하고 전압 output을 0로 밸런스를 맞춘다. 게이지 레버를 눌러서 output 전압의 변화를 측정한다. 결과치 : 166mV
6. 브리지와 TP5의 DC output 으로부터 증폭기의 DC gain을 계산한다.
결과치 : 21
7. 스트레인 게이지가 반대방향으로 움직였을 때, 눈금이 변하는 것을 정의해라.
결과치 : -35mV , 전압이 내려간다
8. 온도상승이 브리지 언밸런싱을 일으키는지 알아보기위해 게이지를 테스트해라. 브리지가 밸런스 상태이고 게이지의 눈금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테스트를 시작한다. 인두, 램프, 히팅건 같은 가열기구를 게이지 근처에 놓고, 게이지를 건들지 않는다. V, 전압이 변화하는가? 결과치 : Yes
5. 고찰
본 실험에서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재료의 변형률을 측정해 보는 실험을 했다.
측정값을 토대로 미지의 하중, 변위를 구할 수 있었고 직접 실험을 해봄으로써 스트레인 게이지 사용법도 알게 되고 이론적인 부분을 더욱더 자세히 알게 되어 참으로 만족스러운 실험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