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목적
2.이론 및 원리
3.실험장비 및 기구
4.실험방법
5.실험결과
6.결론 및 토의
7.Reference
2.이론 및 원리
3.실험장비 및 기구
4.실험방법
5.실험결과
6.결론 및 토의
7.Reference
본문내용
T
99.4C
T
26.3C
10.8mm
측정값
1.95X10
실제값
2.1X10
오차
7.14%
C.
6. 토의 및 결과
물체의 길이및 질량측정 이후로 오랜만에 I-CA없이 한 실험이다. I-CA실험의 경우 알아서 데이터 값이 좔좔좔 나오지만 이번실험같은 경우는 스스로 세심한 밑작업을 하면서 다이얼게이지와 전자온도계의 수치를 측정해야 했다.
일단 시료재질은 내가 인터넷에서 찾은 위의 수치에 가장 가까운 금속들을 적어놓은 것이다. 비슷한 값의 물질이 한두개가 아니었으나 시료의 색깔까지 고려하여 한번 분석해보았다. 근데 색깔까지 고려하여 찾아보니 선팽창계수 데이터테이블에서 위 데이터와 드러맞는 금속이 딱딱 한 개씩 밖에 없어서 저 금속들이 맞을 듯 싶다. 오차는 시료가 이 금속이 확실하다는 전제하에 실제값과 비교하여 계산해보았다.
그럼 오차분석으로 넘어가서 황동을 빼면 오차가 크지 않는걸 볼수 있다.(물론 저 시료재질들이 확실히 알루미늄, 강철이 맞다는 전제하에...). 그렇다면 그 작은 오차의 원인으로 작용할수 있는건 일단 열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것이다. 최고 온도에서 금속의 열전달이 아직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금속이 덜 팽창했다면 그건 오차의 원인으로 확실히 작용 했을 것이다. 그리고 황동을 보면 오차가 좀 큰걸 볼수 있는데 황동은 실험때 다이얼게이지를 잘못 만져버려서 측정을 다시 해야할 상황이 되었다. 근데 다시 이미 온도는 100도에 가깝고 그걸 식히고 다시 실험할려 하니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릴것 같아서 다른 두 실험과는 다르게 99.4도를 처음 온도로 잡고 온도가 내려갈때의 길이변화를 측정하여 계산 하였다. 근데 여기서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왜냐 하니 온도가 올라가면서 금속이 팽창될때는 금속고정대부분은 팽창이 일어나지 않고 다이얼게이지가 있는 부분에만 팽창이 일어난다. 하지만 금속의 온도가 하강하면서 다시 수축될때는 다이얼게이지와 고정대 둘다 수축이 일어날것이다(고정대로 고정을 해도 금속은 아주 약간 좌우로 움직여진다. 이걸 고려한것이다.). 이로인해 황동은 오차가 다른 실험보다 오차가 크게 나타난걸로 생각된다. 오차분석은 여기까지로 끝내고 시료재질이 저것들이 맞았으면 좋겠다.
6.Reference
http://physics.skku.ac.kr/mannual/exp7.pdf
http://mulinara.net/physics/
일반물리실험메뉴얼
할리데이 일반물리학 제 1권
99.4C
T
26.3C
10.8mm
측정값
1.95X10
실제값
2.1X10
오차
7.14%
C.
6. 토의 및 결과
물체의 길이및 질량측정 이후로 오랜만에 I-CA없이 한 실험이다. I-CA실험의 경우 알아서 데이터 값이 좔좔좔 나오지만 이번실험같은 경우는 스스로 세심한 밑작업을 하면서 다이얼게이지와 전자온도계의 수치를 측정해야 했다.
일단 시료재질은 내가 인터넷에서 찾은 위의 수치에 가장 가까운 금속들을 적어놓은 것이다. 비슷한 값의 물질이 한두개가 아니었으나 시료의 색깔까지 고려하여 한번 분석해보았다. 근데 색깔까지 고려하여 찾아보니 선팽창계수 데이터테이블에서 위 데이터와 드러맞는 금속이 딱딱 한 개씩 밖에 없어서 저 금속들이 맞을 듯 싶다. 오차는 시료가 이 금속이 확실하다는 전제하에 실제값과 비교하여 계산해보았다.
그럼 오차분석으로 넘어가서 황동을 빼면 오차가 크지 않는걸 볼수 있다.(물론 저 시료재질들이 확실히 알루미늄, 강철이 맞다는 전제하에...). 그렇다면 그 작은 오차의 원인으로 작용할수 있는건 일단 열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것이다. 최고 온도에서 금속의 열전달이 아직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금속이 덜 팽창했다면 그건 오차의 원인으로 확실히 작용 했을 것이다. 그리고 황동을 보면 오차가 좀 큰걸 볼수 있는데 황동은 실험때 다이얼게이지를 잘못 만져버려서 측정을 다시 해야할 상황이 되었다. 근데 다시 이미 온도는 100도에 가깝고 그걸 식히고 다시 실험할려 하니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릴것 같아서 다른 두 실험과는 다르게 99.4도를 처음 온도로 잡고 온도가 내려갈때의 길이변화를 측정하여 계산 하였다. 근데 여기서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왜냐 하니 온도가 올라가면서 금속이 팽창될때는 금속고정대부분은 팽창이 일어나지 않고 다이얼게이지가 있는 부분에만 팽창이 일어난다. 하지만 금속의 온도가 하강하면서 다시 수축될때는 다이얼게이지와 고정대 둘다 수축이 일어날것이다(고정대로 고정을 해도 금속은 아주 약간 좌우로 움직여진다. 이걸 고려한것이다.). 이로인해 황동은 오차가 다른 실험보다 오차가 크게 나타난걸로 생각된다. 오차분석은 여기까지로 끝내고 시료재질이 저것들이 맞았으면 좋겠다.
6.Reference
http://physics.skku.ac.kr/mannual/exp7.pdf
http://mulinara.net/physics/
일반물리실험메뉴얼
할리데이 일반물리학 제 1권
추천자료
[유체실험] 파이프 내부유동의 수두손실 예측 (예비+결과레포트)
[물리실험] 단진자의 주기 측정 실험(예비+결과)
[생물학 실험] 수질의 세균학적 검사에 대한 예비레포트+결과 레포트
[물리실험] 수파투영장치를 이용한 파동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화학실험] 종이 크로마토그래피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진동실험] 외팔보의 고유진동수 측정 (예비+결과레포트)
[물리실험] 자기유도 측정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물리실험] 낙하운동과 중력가속도 측정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물리실험] 원운동과 구심력 측정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화학실험] 액체-증기 평형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식품화학실험] 유지의 산가와 과산화가 실험(예비+결과레포트)
[물리실험] 전류 천칭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저항 판독법 및 옴의 법칙 실험 레포트(예비+결과)
PH미터에 의한 수소 이온 농도의 측정 [예비+결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