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년ㆍ소녀가정을 위한 복지대책과 개선방안
2. 소년ㆍ소녀가정가족의 복지정책의 나아가야 할 방향
3. 공동모금의 의의 및 필요성
4. 공동모금의 사회적 기능
5. 우리나라 공동모금제도의 문제점
6. 우리나라 공동모금제의 개선방안
7. 사회복지 행정의 필요성 및 중요성
8. 사회복지행정의 의의
9. 에릭슨과 프로이드의 이론 비교 분석
10. 가족생활주기
2. 소년ㆍ소녀가정가족의 복지정책의 나아가야 할 방향
3. 공동모금의 의의 및 필요성
4. 공동모금의 사회적 기능
5. 우리나라 공동모금제도의 문제점
6. 우리나라 공동모금제의 개선방안
7. 사회복지 행정의 필요성 및 중요성
8. 사회복지행정의 의의
9. 에릭슨과 프로이드의 이론 비교 분석
10. 가족생활주기
본문내용
완료기(막내 출산~첫 자녀 결혼)과 축소완료기(막내 결혼~남편 사망)는 상당히 길어졌다. 이러한 변화는 평균수명의 연장과 함께, 적은 수의 자녀를 원하고
노후에 자녀와 동거하기를 원치 않는 경향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한국의 가족은 지난
반세기 동안 가족생활의 주된 역할이 자녀의 출산이나 양육 중심에서 자녀의 교육과 부부 중심의 핵가족으로 바뀌었다고 볼 수 있다.
<표1-1> 가족생활주기 각 단계의 시작 및 종결 당시 부인의 평균연령
결혼 연도
초혼 연령
첫째
자녀 출산
막내
자녀 출산
자녀
결혼 시작
자녀
결혼 완료
남편 사망
본인 사망
1959년
이전
18.77
21.14
32.04
46.84
57.74
58.75
67.31
1960~
1969년
21.30
23.01
29.81
49.41
56.21
57.38
69.84
1970~
1979년
22.19
23.63
27.58
51.33
55.28
60.26
72.57
1980~
1989년
23.50
24.83
28.04
52.53
52.53
63.70
76.51
1990~
2000년
24.77
25.99
28.34
53.69
53.69
68.69
80.93
단위:세
특히 전통적 직계가족이 부부 중심의 핵가족으로 변모하면서 모든 자녀를 출가시킨 후
부부만의 중노년기를 어떻게 보내느냐 하는 문제와 배우자의 사망 후 혼자서의 삶을
어떻게 영위해 나가느냐 하는 문제가 가족생활주기의 변화와 관련된 중요한 관심사이다. 무엇보다 여성의 변화하는 역할은 이러한 가족생활주기 변화유형의 중심이 된다.
어머니와 가정주부의 주 역할을 선택하는 여성일지라도 점차적으로 자녀양육에 헌신했던 시간과 같은 기간만큼 ‘빈둥우리’ 단계에 직면해야만 하며, 남편의 사망 후에도 많은 기간 동안 홀로 생을 보내야만 한다<표1-3>참조. 명백히 이전보다 중노년기가 매우 중요한 생활단계로 대두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오늘날의 가족생활주기의 변화는 각 단계별 가족생활의 여건과 내용을 변화시키므로 가족주기 단계별로 복지 정책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표1-2> 가족생활주기 각 단계별 기간
주기별 기간
부인의 결혼 코호트
1959년
이전
1960~
1969년
1970~
1979년
1980~
1989년
1990~
2000년
가족형성기
(결혼시기~첫 자녀 출산)
2.37
1.71
1.44
1.33
1.22
가족확대기
(첫 자녀 출산~막내 출산)
10.90
6.80
3.95
3.21
2.35
확대완료기
(막내 출산~첫 자녀 출산)
14.80
19.60
23.75
24.49
25.35
가족축소기
(첫 자녀 결혼~막내 결혼)
10.90
6.80
3.95
3.21
2.35
축소완료기
(막내 결혼~남편 사망)
1.01
1.17
4.98
7.96
12.65
가족해체기
(남편 사망~본인 사망)
8.56
12.46
12.31
12.81
12.24
전체 기간
(결혼 시기~사망시기)
48.54
48.54
50.38
53.01
56.16
단위: 세
<표1-3> 신혼기간자녀양육기간노인생활기간
단위: 세
결혼 코호트
신혼부부
생활기간
자녀
양육기간
노인생활기간
소 계
노인부부만의
생활기간
여자노인만의
생활기간
1959년 이전
2.37
36.60
9.57
1.01
8.56
1969~1969년
1.71
33.20
13.63
1.17
12.46
1970~1979년
1.44
30.65
17.29
4.98
12.31
1980~1989년
1.33
30.91
20.77
7.96
12.81
1990~2000년
1.22
30.05
24.89
12.65
12.24
4) 핵가족의 주기와 확대가족의 주기
1. 핵가족의 가족주기
핵가족의 가족주기는 비교적 발전해 가는 상황을 구분 짓기에 용이하다. 그러나 같은
핵가족이라 하더라도 개인에 따라 결혼연령, 자녀의 수, 자녀간의 연령차이(터울),
은퇴연령 등이 각기 다르므로 가족주기를 일반화시킬 수는 없다. 그러나 결혼 후
부부만의 신혼기, 자녀를 낳아서 기르는 자녀양육기, 자녀들을 교육시키는 자녀교육기,
그들이 성장하여 독립하고 결혼하는 시기, 그리고 노부부만의 시기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이러한 핵가족은 1세대에 그치고 그 기간이 확대가족에 비하여 짧으므로, 가정경영상의 계획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그리고 노후의 생활보장이 문제되므로 가족의 핵가족화
현상이 증가된다면 여기에 따른 국가의 사회보장제도 실현이 시급한 문제가 된다.
2. 확대가족의 가족주기
확대가족의 가족주기는 장자가 성장하여 결혼하게 되더라도 부모와 같이 살게 되어
가족의 주기가 연속적으로 중첩되므로 주기상의 단계가 분명하지 않다. 즉, 핵가족의
경우에는 한 가족이 신혼부부로 시작되고 그들의 사망으로 해체된다고 하겠으나,
확대가족은 연속되는 가족 속에서 세대의 교체가 이루어지는 격이 된다. 그러므로 가족의 시작과 형성기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규정지을 것인가가 문제가 된다. 따라서 확대가족의 경우 부모의 가족주기와 자녀의 결혼과 더불어 시작되는 그들의 새로운 가족주기가
중첩되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가족주기를 이광규(1975:266)는 다음과 같이 8단계로 구분하였는데, 3단계
이후에는 자녀의 수나 결혼 여부 또는 분가 여부 등에 따라 8단계까지 차례로 성장하기도 하고, 도중에 1세대 부부의 사망 등으로 앞의 단계로 되돌아가기도 한다. 또 본가에서
분리된 분가는 1단계로 돌아가 다시 같은 유형의 성장을 하게 된다.
1단계- 부부의 결혼
2단계- 자녀의 출산
3단계- 자녀가 결혼하여 처자를 갖는 단계(미혼자녀 동반 직계가족)
4단계- 차남결혼하여 분가하기까지 부모와 동거하는 단계(기혼중(衆)자녀 동반 직계가족)
5단계- 완형(緩刑)직계가족
6단계- 3세대 자녀가 결혼(미혼자녀 동반 4대 직계가족)
7단계- 기혼 중자녀 동반 4대 직계가족
8단계- 기혼 중자녀가 분가(완형 4대 직계가족)
우리나라에서는 맏아들인 경우 분가하여 핵가족을 이루고 있어도 부모의 노후에는 부모를 모시고 부양하는 미풍이 아직도 많이 남아 있다. 따라서 핵가족화된다 하더라도 맏아들인 경우에는 외형적으로 핵가족이지만 내용적으로는 가계계승의 직계가족 의식이 아직 남아 있다.
노후에 자녀와 동거하기를 원치 않는 경향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한국의 가족은 지난
반세기 동안 가족생활의 주된 역할이 자녀의 출산이나 양육 중심에서 자녀의 교육과 부부 중심의 핵가족으로 바뀌었다고 볼 수 있다.
<표1-1> 가족생활주기 각 단계의 시작 및 종결 당시 부인의 평균연령
결혼 연도
초혼 연령
첫째
자녀 출산
막내
자녀 출산
자녀
결혼 시작
자녀
결혼 완료
남편 사망
본인 사망
1959년
이전
18.77
21.14
32.04
46.84
57.74
58.75
67.31
1960~
1969년
21.30
23.01
29.81
49.41
56.21
57.38
69.84
1970~
1979년
22.19
23.63
27.58
51.33
55.28
60.26
72.57
1980~
1989년
23.50
24.83
28.04
52.53
52.53
63.70
76.51
1990~
2000년
24.77
25.99
28.34
53.69
53.69
68.69
80.93
단위:세
특히 전통적 직계가족이 부부 중심의 핵가족으로 변모하면서 모든 자녀를 출가시킨 후
부부만의 중노년기를 어떻게 보내느냐 하는 문제와 배우자의 사망 후 혼자서의 삶을
어떻게 영위해 나가느냐 하는 문제가 가족생활주기의 변화와 관련된 중요한 관심사이다. 무엇보다 여성의 변화하는 역할은 이러한 가족생활주기 변화유형의 중심이 된다.
어머니와 가정주부의 주 역할을 선택하는 여성일지라도 점차적으로 자녀양육에 헌신했던 시간과 같은 기간만큼 ‘빈둥우리’ 단계에 직면해야만 하며, 남편의 사망 후에도 많은 기간 동안 홀로 생을 보내야만 한다<표1-3>참조. 명백히 이전보다 중노년기가 매우 중요한 생활단계로 대두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오늘날의 가족생활주기의 변화는 각 단계별 가족생활의 여건과 내용을 변화시키므로 가족주기 단계별로 복지 정책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표1-2> 가족생활주기 각 단계별 기간
주기별 기간
부인의 결혼 코호트
1959년
이전
1960~
1969년
1970~
1979년
1980~
1989년
1990~
2000년
가족형성기
(결혼시기~첫 자녀 출산)
2.37
1.71
1.44
1.33
1.22
가족확대기
(첫 자녀 출산~막내 출산)
10.90
6.80
3.95
3.21
2.35
확대완료기
(막내 출산~첫 자녀 출산)
14.80
19.60
23.75
24.49
25.35
가족축소기
(첫 자녀 결혼~막내 결혼)
10.90
6.80
3.95
3.21
2.35
축소완료기
(막내 결혼~남편 사망)
1.01
1.17
4.98
7.96
12.65
가족해체기
(남편 사망~본인 사망)
8.56
12.46
12.31
12.81
12.24
전체 기간
(결혼 시기~사망시기)
48.54
48.54
50.38
53.01
56.16
단위: 세
<표1-3> 신혼기간자녀양육기간노인생활기간
단위: 세
결혼 코호트
신혼부부
생활기간
자녀
양육기간
노인생활기간
소 계
노인부부만의
생활기간
여자노인만의
생활기간
1959년 이전
2.37
36.60
9.57
1.01
8.56
1969~1969년
1.71
33.20
13.63
1.17
12.46
1970~1979년
1.44
30.65
17.29
4.98
12.31
1980~1989년
1.33
30.91
20.77
7.96
12.81
1990~2000년
1.22
30.05
24.89
12.65
12.24
4) 핵가족의 주기와 확대가족의 주기
1. 핵가족의 가족주기
핵가족의 가족주기는 비교적 발전해 가는 상황을 구분 짓기에 용이하다. 그러나 같은
핵가족이라 하더라도 개인에 따라 결혼연령, 자녀의 수, 자녀간의 연령차이(터울),
은퇴연령 등이 각기 다르므로 가족주기를 일반화시킬 수는 없다. 그러나 결혼 후
부부만의 신혼기, 자녀를 낳아서 기르는 자녀양육기, 자녀들을 교육시키는 자녀교육기,
그들이 성장하여 독립하고 결혼하는 시기, 그리고 노부부만의 시기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이러한 핵가족은 1세대에 그치고 그 기간이 확대가족에 비하여 짧으므로, 가정경영상의 계획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그리고 노후의 생활보장이 문제되므로 가족의 핵가족화
현상이 증가된다면 여기에 따른 국가의 사회보장제도 실현이 시급한 문제가 된다.
2. 확대가족의 가족주기
확대가족의 가족주기는 장자가 성장하여 결혼하게 되더라도 부모와 같이 살게 되어
가족의 주기가 연속적으로 중첩되므로 주기상의 단계가 분명하지 않다. 즉, 핵가족의
경우에는 한 가족이 신혼부부로 시작되고 그들의 사망으로 해체된다고 하겠으나,
확대가족은 연속되는 가족 속에서 세대의 교체가 이루어지는 격이 된다. 그러므로 가족의 시작과 형성기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규정지을 것인가가 문제가 된다. 따라서 확대가족의 경우 부모의 가족주기와 자녀의 결혼과 더불어 시작되는 그들의 새로운 가족주기가
중첩되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가족주기를 이광규(1975:266)는 다음과 같이 8단계로 구분하였는데, 3단계
이후에는 자녀의 수나 결혼 여부 또는 분가 여부 등에 따라 8단계까지 차례로 성장하기도 하고, 도중에 1세대 부부의 사망 등으로 앞의 단계로 되돌아가기도 한다. 또 본가에서
분리된 분가는 1단계로 돌아가 다시 같은 유형의 성장을 하게 된다.
1단계- 부부의 결혼
2단계- 자녀의 출산
3단계- 자녀가 결혼하여 처자를 갖는 단계(미혼자녀 동반 직계가족)
4단계- 차남결혼하여 분가하기까지 부모와 동거하는 단계(기혼중(衆)자녀 동반 직계가족)
5단계- 완형(緩刑)직계가족
6단계- 3세대 자녀가 결혼(미혼자녀 동반 4대 직계가족)
7단계- 기혼 중자녀 동반 4대 직계가족
8단계- 기혼 중자녀가 분가(완형 4대 직계가족)
우리나라에서는 맏아들인 경우 분가하여 핵가족을 이루고 있어도 부모의 노후에는 부모를 모시고 부양하는 미풍이 아직도 많이 남아 있다. 따라서 핵가족화된다 하더라도 맏아들인 경우에는 외형적으로 핵가족이지만 내용적으로는 가계계승의 직계가족 의식이 아직 남아 있다.
추천자료
가정위탁 보호사업의 이론적 배경
우리나라 가정위탁 보호사업의 현황과 문제점
에릭슨의 자아심리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성격이론 분석
에릭슨의 심리 사회학적 성격과 자아발달 8단계
여성성범죄문제(여성의 성범죄문제), 여성가정문제(여성의 가정문제), 여성경제문제(여성의 ...
피아제, 비고츠키, 프로이드, 에릭슨, 몬테소리, 반두라, 브론펜브레너, 콜버그, 볼비 중 한 ...
요보호아동의 건강한 발달 증진을 위해 제공되고 있는 우리나라 아동복지사업과 이러한 복지...
[동화][동화 애니메이션화][동화와 동화작가][동화와 천도교소년운동]동화의 환상성, 동화의 ...
[심리사회이론] 에릭슨의 생애,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의 8단계, 심리사회이론의 특징 그리고...
[교육심리학] 인인간발달에 대한 이론 『성격발달이론 및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프로이트(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프로이트(프로이드/Freud)와 에릭슨(Erikson)의 생애에 대해 조사하시오.
[발달이론] 프로이드의 성격발달이론(단계), 에릭슨의 사회심리적 성격발달이론(단계), 피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