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자아효능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정의와 특성

Ⅲ.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측정

Ⅳ.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과 학업

Ⅴ.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과 진로성숙

Ⅵ.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증진프로그램

Ⅶ.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증진 과제

Ⅷ. 결론

본문내용

多野誼余夫稻垣佳世子)(1993).
2. 자기효능감 프로그램의 개입 전략
Bandura(1977)의 자기효능감의 정보원을 근간으로 하여 자기효능감 프로그램의 개입 전략으로 언어적 설득, 대리 경험, 심상적 경험, 생리정서적 상태, 성취 경험 전략 등을 사용.
▶프로그램의 내용
1회기 : 별칭 짓기와 자기소개
2회기 : 이완 훈련과 자기 프로필을 작성발표하여 몸의 긴장과 불안을 제거하고 편안한 상태에서 내면의 모습을 들여다보도록.
3회기 :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물건, 사람과 성공했던 장면을 직접 느껴보고 경험하여 자신의 능력과 잠재력에 대해 자신감을 갖도록.
4회기 : 신념의 중요성, 그리고 합리적 신념과 비합리적 신념의 관계에 대해 강의와 토의.
5회기 : 구성원들의 비합리적 신념을 찾아내어 이를 스스로 논박하여 합리적 신념을 형성하는 연습.
6회기 : 마술 가게(magic shop)를 열어 자신이 버리고 싶은 것을 팔고, 대신 가장 얻고 싶은 것을 구매하는 활동. 서로 다른 구성원들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성취감과 자신감을 얻도록 이루어짐.
7회기 : 자기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주장하지 못하는 상황을 스스로 찾아내어, 이를 의도적이며 적극적으로 주장하는 역할극.
8회기 : 목표를 설정하여 목표 달성을 위한 행동 전략을 세우고 이를 달성하는 활동. 목표 달성 정도는 10단계 평정 척도를 사용하여 스스로 체크.
9회기 : 심상 훈련을 사용하여 장래에 성공하는 장면을 떠올려 자신감을 확고히 하고, 사고정지(thought stopping) 연습을 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것을 심상적으로 정지하는 훈련.
Ⅶ.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증진 과제
첫째, 자기효능감을 높힐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 학생 개인의 자기효능감을 고려한 수준별 수업 연구 및 개발.
둘째, 생물 자기효능감 척도의 개발.
셋째,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메타-인지적 관점에 주는 영향 연구.
Ⅷ. 결론
자기효능감이란, 개인으로 하여금 행동의 수행 여부를 결정,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행위 과정을 조직하고 실행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신념이다. 수행과 정적으로 관련되어 있고, 수행에 있어서 매개 변인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자기효능감이 높은 개인은 도전적이고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성취하기 위해 행동을 잘 방향 지을 것이고, 자기효능감이 낮은 개인에 비해 더 많은 노력을 투입할 것이며 어려움이 닥쳐도 과제를 지속적으로 해결하려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4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40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