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아직도 냄비인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냄비 근성이란...

Ⅱ.본론
1. 대표적 냄비현상의 예
ㄱ. 뜨거운 화두, 위험한 망각
장자연 사건 , (????????)
2. 단순히 국민들의 문제인가?
ㄱ. 냄비 저널리즘 ㄴ. 언론 플레이


Ⅲ.결론
냄비근성의 인식전환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목표로 정 반대의 단어인 ‘뚝배기 근성’을 추켜 새우기도 한다. 하지만 단순히 냄비근성이 과연 나쁜 것일까? 오히려 냄비 근성을 갖고 있는 한국인이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이고 문제 해결 능력이 뛰어나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냄비근성은 단거리 달리기로, 뚝배기근성은 마라톤에 비유하자면, 해결해야 할 문제와 성취해야 할 목표의식이 분명하고 확실할 경우에는 한국인의 냄비근성을 자극해서 한국민을 하나로 뭉쳐 문제를 해결하면 좋을 것이다. 또한 한류열풍처럼 길고 긴 호흡으로 한민족의 우수한 문화적 역량을 펼치는 일에는 뚝배기근성을 자극해서 면밀히 준비하고 계획해서 장기적인 효과를 기울이면 될 것이다.
마치며 냄비근성과 뚝배기 근성이라는 이분법적 사고 방식을 탈피하고 벗어 던지자. 무슨 일이 생기면 너도 나도 해결하려고 하는 냄비근성, 그리고 심사숙고하여 최선을 다하며 문제를 해결하고 원래의 자아로 돌아와 냉정을 찾는 뚝배기근성이 조화롭게 이루어진 한민족이라면 세계 속의 한국이 아닌 한국 속의 세계를 품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국민이 될 것이다.만약 한국인들의 이러한 행동방식이 다른 나라보다 더 유별나다고 생각된다면 그것은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한국사회에 대한 애정이 각별하기 때문일 것이다. 사회에 대한 애정과 관심이 없다면 끓어오를 일도 없고 쉽게 식어 버릴 일도 없는 것은 아닐까.스스로 우리를 세뇌시키고 있는 부분이 존재하고 있다. ‘우리는 냄비근성이다’ 라는 사고에서 벗어나 냄비의 끓어오름과 뚝배기의 지속성이 함께 이루어 질 수 있는 한국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우리가 해야 할 몫이 아닌가 생각한다.
  • 가격3,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4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40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